CUI vs 카지노 게임
1966년정해진 응답대로 답하던 챗봇 심리 치료사,ELIZA
1980년대 전화로 음성을 듣고 월하는 동작의 번호를 누르던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2010년대 아이폰 Siri와 스마트스피커 Alexa
그리고 2022년 ChatGPT
대화형 카지노 게임는 기술 도약을 통해 카지노 게임를 보조하던 역할을 넘어 카지노 게임를 대체하고 있다.
GUI의 카지노 게임는 뚜렷하다.
1. 사용자가 방법을 익혀서 사용해야 한다.
명확한 CTA 버튼만몇 개 있다면 비교적 쉽다.
하지만 기능이 많은 앱 화면을 보면 원하는 작업을 위해 무엇을 눌러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앱을 처음 사용한다면 레이아웃을 파악하기는 한층 더 어렵다.
먼저, 화면에 많은 요소들을 훑어보고 원하는 기능이 있는 위치를 기억해야 한다.
각 계층을 탐색해서 숨겨진 기능을 찾아야 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기능이 어디에 있을까?
하단 탭의 네모 모양 아이콘이 쇼핑백이라는 것을 유추해서 '상품을 탐색하는 기능'이라는 것을 찾아내야 한다.
깊은 depth를 타고 들어갔다면 다시 메인으로 나오기 위해 뒤로가기를 쭉 눌러야할 필요도 있다.
2. 화면의 수가제약적이다.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화면을 제공할 수 없다.
최대한 많은 기능을 만들더라도 그 많은 화면을 찾기 쉽게 모아두기란 쉽지 않다.
3.다중 작업이나 복잡한 로직 수행이번거롭다
30명에게 돈을 송금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우리는 금액을 직접 입력하고, 계좌 번호를 입력하고, 버튼을 눌러 송금해야 한다.
이 과정을 30번 진행하게 된다.
대화형 카지노 게임는 카지노 게임의 일부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1. 사용자가 방법을 익혀서 사용해야 한다.
-- 인간의 기본 소통 방식인 언어를 활용할 수 있다.
2. 화면의 수가 제약적이다.
-- 카지노 게임창 한 개와 정말 필요한 시각 요소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3.다중 작업이나 복잡한 로직은번거롭다
-- 사용자는 한 마디로 여러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카지노 게임도 갖추고 있지만 더 뛰어난 항목들도 존재한다.
4. 맥락에 따른 맞춤형 요소의 다양화
5. 공감을 포함한 상호작용
몇 십년간 IT업계의 주축이 되어온 카지노 게임에서 CUI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을 지켜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