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갑자기 주어진 자유시간, 이 시간이 부담스럽다. 올 들어 벌써 두 번째다. 새벽같이 일어나 운동하고 출근 준비를 마쳤는데 병원단체 카톡이 울렸다. '***기상 악화로 오늘 병원문을 닫습니다. 안전하게 집에 머물며 가족들과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올 겨울은 유독 추운가 보다. 안 그래도 어제 베란다에 내놓은 김치통을 열었더니 표면에 살얼음이 얼어있었고 세탁기는 수도관이 얼어 돌아가지 않았다.춥고 눈이 많이 내리고아침에 기상청에서 온 문자엔 충북 충주에 지진이 일어났다고도 했다. 갑작스레 병원에서 휴가를 받았지만 여러모로 뒤숭숭한 마음이다.
예상치 못했던 휴가가 생기면 사람들은 무얼 할까? 어떤 마음이 들까? 우선 출근을 안 해도 되니 좋을 것이고 하루라는 시간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그동안 밀린 집안일을 하거나 친구를 만나는 등 해야만 하는데 못했거나 하고 싶었던 것을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우선 카톡을 보고 마음이 답답했다. '휴... 차라리 일을 하지.. 앞으로 9시간이 있는 거네? 이 시간 동안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하루를 알차게 보내는 걸까?'
나는 자유시간이 주어지면 업무를 할 때보다 더 자신을 다그치는 경향이 있다.자기 계발서와 강의를 통해 알게 된 시간관리 방법은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높이려면 1분 1초라도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아야 한다. 9시간이 낭비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바쁘고 부담스러웠다.
자유가 주어졌는데 일을 카지노 쿠폰 게 낫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부담스러운 건 왜일까? 내가 알고 있는시간관리 방법이 진짜 나에게유익한 것일까? 복잡한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글로 쓰거나 코칭을 받으며 스스로 이야기카지노 쿠폰 것이다. 둘 다 사용해'시간 관리'라는 주제로 셀프 코칭을 시행하고 글로 정리해보려한다.
(셀프코칭)
"어떤 주제로 이야기하고 싶으세요?"
"기대하지 않은 시간이 대여섯 시간 이상 주어졌을 때 그 시간을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싶습니다."
"특별히 이 주제를 선택하게 되신 계기가 있을까요?
"사실 오늘처럼 예상치 못한 시간이 주어지면 저는 기쁘다기보다 답답한 마음이 들어요. 왜냐면 업무처럼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 없으니 하루를 온전히 알차게 보내야 하는데 또 어떤 성과를 내야 하나 싶거든요."
"답답한 마음이 드는 건 왜일까요?"
"또 쉴 새 없이 무언가를 계획하겠구나 싶어서요"
"쉴 새 없이 계획을 세운다는 게 희원님의 마음을 답답하게 만드는 거네요."
"그렇죠. 업무를 볼 때는 숨 쉴 틈이라도 있는데 저는 오히려 꽁으로 얻은 시간이니까 생산적인 일을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거든요."
"그러면 희원님한테 '생산적'인 일을 한다는 건 어떤가요?"
"시간을 보내면 그에 해당하는 어떤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 한다는 걸 뜻해요."
"그렇군요.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하나요?"
"코칭 연습을 해서 시간을 채우거나, 책을 읽으면 책을 통해 글을 한편 업로드하거나, 영상을 만들거나... 시간의 가치와 맞바꿀 수 있는 어떤 상품? 같은 거네요"
"네. 그렇다면 오늘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어떤 상품이 나와서 '오늘 알차게 보냈다'라는 생각을 하면 어떤 기분이 드세요?"
"아..... 오늘도...... 강박적으로 보냈구나.....난 절대 변할 수 없겠구나...."
"지금까지 말씀해 보시니까 희원님께서 오늘 이야기하고자 하시는 주제가 어떻게 보이시나요?"
"저에게 시간을 활용한다는 의미가 저를 강박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시간을 활용하는 것보다 기대하지 않은 시간이 주어졌을 때 시간을 보낸 후 기분이 좋아졌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오늘 주제를 희원님이 정리해서 말씀해 주시겠어요?"
"기분 좋게 시간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좋아요. 희원님은 무엇을 했을 때 기분이 좋다고 느끼시나요?"
"생각해 보면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없이 좋아하는 걸 했을 때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커피숍에서 책을 읽거나 미술학원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시간이 흐르고 결과가 나오는 게 아니라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과정을 온전히 즐겼을 때?"...........................(중략)
지금까지 내가 생각하는 시간관리 방법은 1분 1초도 허투루 쓰지 않고가시적인 결과물을 내는 것이었다. 이렇게 학습된 시간관리법은 스스로를몰아세우며결과에 대한강박에사로잡히게 만들었다.계획되지 않은 자유시간은 병원 근무보다 더 혹독하게노동을 해야 하는 시간이었고'결과를 내야 한다'는 사실이 부담스러웠던것이다.
앞으로 예상치못했던시간이생기면,나를 기분 좋게 만드는 행위를 하면서시간을 보낼 것이다. 왜냐하면기분 좋은 행위를 하는 과정이 나에게는 '시간관리를잘하고 있다'라는 의미이기때문이다.우리는성장하기위해, 변하기 위해자기 계발서를 읽고 동기부여 전문가의 강의를 듣는다.하지만아무리 자기 계발책을 읽고강의를 들어도자기내면의움직임이 일어나지 않으면 절대 움직이지 않는 게 우리 인간의 특성이다.
모든 문제의 답은 자기안에 있으니 잘묻고 잘들으며스스로해결해 보기를 바란다. 우리는 스스로답을 찾아낼힘을 이미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