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카지노 게임 사이트 시 유의사항
시간이 흘러 드디어 연금을 수령할 시점이 왔습니다. 이제 어떻게 인출할지,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연금 카지노 게임 사이트 요건
연금저축이나 IRP에서 연금 형태로 수령하려면 만 55세 이상이고, 계좌 보유 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니 미리미리 계좌를 만들어두는 게 유리합니다. 여러 개 만들어도 불이익은 없습니다.
시간 날 때 증권사 앱으로 비대면으로 여러 개 연금계좌를 개설해 두세요. 나중에 인출 전략 짤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단, IRP에 퇴직금을 이체한 경우에는 보유 기간 요건 없이, 만 55세 이상이면 바로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2. 연금 인출 순서
연금계좌에 들어 있는 자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한 계좌에서 연금 인출 시 이 순서대로 인출되며, 순서를 임의로 바꿀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방법이 있습니다.인출순서는계좌별로 적용이 됩니다. 즉, 계좌를 나누면 계좌의 재원 구조에 따라 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계좌 : 연금저축펀드, 매년 600만 원씩 납입하여 세액공제받은 금액과운용수익. 전액 과세재원
B 계좌 : 연금저축펀드,초과납입분전용 계좌로 활용.비과세재원과 과세재원(운용수익) 혼합
C 계좌 : IRP, 매년 300만 원씩 납입하여 세액공제 받은 금액과 운용수익. 전액 과세재원
D 계좌 : 퇴직금 수령용 연금계좌.퇴직금 재원과 과세재원(운용수익) 혼합
이렇게 계좌를 분리해 두면, 향후 인출 시 A의 과세재원, B의 비과세재원, C의 과제재원, D의 퇴직금을 상황에 맞게 조합해 인출할 수 있습니다.
즉, 법적으로 정해진 인출 순서를 따르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재원별 전략적 인출이 가능해지는 셈입니다.
다만, 이런 계좌 분리는 연금 투자를 시작할 때부터 미리 계획하고 세팅해 두어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3. 연금카지노 게임 사이트한도
연금수령 연차에 따라 연간 인출 한도가 정해집니다.한도는 연금개시 연도에는 개시일의 평가액, 이후 연도부터는 매년 1월 1일 기준 평가액에 정해진 수령률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위의 산식을 풀어쓴 표입니다.
11년 차부터는 연금카지노 게임 사이트한도가 없어집니다.즉, 계좌 잔액 내에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연금을 개시한 날의계좌에 3억이 있다고 하면 수령한도는 3 X 0.12 = 0.36억, 3,600만 원이 됩니다. 다음 해 1월 1일이 되면, 1월 1일의 계좌 평가액X 0.1333이 수령한도가 되는 것입니다. 이 한도는 증권사에서 알아서 계산해 줍니다.
4. 1,500만 원까지만 저율 분리과세
연금은 매년 1,500만 원 이하로 수령 시에 나이에 따라 5.5~3.3% 분리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1,500만 원을 1원이라도 초과하면 전액에 대해 16.5%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600만 원을 수령하면,그중 1,500만 원만 저율, 나머지 2,100만 원을 종합과세로 나누는 건 불가능합니다.
연금 수령 한도가 3,600만 원인 경우, 실제로 3,600만 원을 수령하면 다음 해 증권사에서 연락이 옵니다.
"1,500만 원 초과 수령했으니, 16.5% 분리과세 또는 종합소득세 중 하나를 선택해 신고하라"라고 안내가 옵니다. 이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하면 됩니다. (신고 방법은 추후 설명 예정)
참고로 퇴직금은 이 1,500만 원 저율 분리과세와는 별도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퇴직금 3억을 IRP로 수령하여 1년 차의 수령한도인 3,600만 원을 수령하여 1,500만 원을 넘더라도 퇴직소득세 30% 감면 혜택은 유지되며 분리과세나 종합소득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퇴직금은 세법상분류과세항목으로 별도 처리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활용한 절세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 편에 소개하겠습니다.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면… 꼭 1,500만 원까지만 받아야 할까?
많은 재테크 책과 유튜브에서는“연금은 1,500만 원까지만 받아야 세금 폭탄 안 맞는다”, "무조건 5.5%로 받게 1,500만 원 이하만 수령하세요”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다르게 생각합니다.오히려 종합과세를 선택하면 세금을 더 적게 내는 경우도 많고,최적의 조건에서는 세금을 0원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가능하냐고요?
그건 다음 편에서 공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