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해영 Jan 29. 2025

못 믿어 겹겹 감시하다 생겨난 도군주(道郡州)

(한중 동일지명 현상 설명서 3-3)


지방행정단체 이름에 도-군-주(道--州)가 덧붙다.


우리의 지방온라인 카지노 게임단체 이름에서도주(道州)를 흔히 볼 수 있다.왕조 시대 지방행정체제는 도-주-부-군-현(道州府郡縣)이었다. 이 중에서 도와 군은 지방자치단체 종류에서 주는 대도시의 이름에서 볼 수 있고 부와 현은 이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은 언제부터 지명에 쓰였을까? 지방행정체제와 이를 사용한 중국 왕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 당나라, 청나라

주 -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부 -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군 - 진나라, 한나라

현 - 진나라 ~ 청나라


중국 왕조에서 도주부군현 사용 시기는 다르며 특히 도군주(道‧ 郡 ‧州)는 진한당청(秦漢唐淸) 왕조 시기적용되었다.과거 우리의지방행정체제 역시중국 여러 왕조의 지방행정을 참고하였다.


우리나라와 중국 왕조에서 도군주 설치


신라 초기의 경우 주(州)는국방상 중요 지역에 군주(軍州)를 두고 장군을 책임자로 임명하다가 군사적 역할이 감소하고 행정기능이 중요시되면서 군주(郡州)로 바뀌고역할에 부합되게 책임자도 문관을 임명하였다.


통일신라는 전국을 9주로 나눴으며이때의 주는 지리적 개념이었다.고려에서 주(州)는 행정체계로 도입하였으며 1백여 개로대폭 늘어나게 되었는데 통일과정에서 또는 왕조에 크게 협조 내지 공헌을 한 군현(郡縣)을 승격한 결과이다.


조선은 고려에서 크게 늘어난주(州)를 호구수(약 1천 호)를 기준으로 크게 줄였으며 조선말 갑오경장 때 군(郡)으로 흡수되고 주의 글자는 지명으로 남았다.


중국의 경우 하나라 시기 주(州)는 지리 구획 단위로 출발하였으나 서한에서 전국의 군현을 감찰하기 위해 다수의 주(州)를 설치하였다.


이후 동한 말기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반란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지방의 행정단위로 변경하였으며 남북조시기에 이르러주(州) 설치가 남발되고 그 영역의 범위가 군보다 작아지기도 하였다.


당나라는 초기부터 전국의 지방관리 측면에 주(州)를 도입하였다.그러나 이후 많은 주가 설치되고 관할 범위도 작아지면서 행정계층에서 사리지고 이제는큰 행정단위의 지명에 남아있게 되었다.


군현(郡縣)의 경우는 어떠했을까?


삼국시대 각 나라별로 군현이 나타나며 통일신라시기 전면적으로 설치되었다. 이후 고려와 조선에 들어서도 영역이나 숫자가 변동은 있었으나 군현 체제는 계속 유지되었다가 조선말에 현은 군에 흡수된다.


중국의 경우 군(郡)은 많은사람이 무리 지어 사는 곳으로식되었고춘추시기 제후가 남의 땅을 병합한 지역에 설치하였다. 진(秦) 시기전국 지방행정 체계를 군현제로 하였으나 송왕조 시기 폐지되었다.


현(县)은 제후가 백성을 억압하고 형벌을 무섭게 내린 지역으로 제후의직할지 개념으로 출발하여 통일왕조 시기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다음 도의 경우이다.궁예가 일부 주(州)를 도(浿西道, 羅州道, 朔方道)로 승격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때는 단순한 명칭 변경의 의미가 컸다.


고려에 들어서서는 상급행정단위로 역할이 변화되었다. 전국을 5도 양계로 개편하여 현재의 도 영역의 기틀이 시도되었는데 아래와 같이 어떤 의도하에분할되었다.


옛 신라 지역: 경상도(원래 신라와 가야 지역, 우호 세력 강화 차원)

후백제 지역 : 전라도, 양광도(견훤 근거지, 반대 세력 지역 분할 의도)

궁예 근거지: 교주도(철원지역), 양광도(기타 지역)

왕건 근거지: 경기도, 서해도(세력 강화 위함)


중국의 도(道)는 도로(道路)를 뜻하며 당나라 초기에 주현(州-縣)을 감찰하기 위해 설치하였으나 왕조 중기에 치소를 설치하여 차차 지방행정 단위로 변했다.


또한 초기에 황하지역은 장강지역에 비해 인구가 많고 행정구역도 밀집하였으나남방의 경제가 흥성하고 남북인구의 균형을 이루자 전국을 산천지리 형세를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나누고 도를 설치하였다.


부(府)는당나라 시기중요지역의 주(州)를직접 관리하기 위해 설치히였는데명청(明淸) 시기에 이르러아예 주를 부로 바꿨다.


우리나라 도주군현의 관계


신라시기는 최상위 지방행정단위는 주이고 그 아래에군현을 뒀다. 주의 휘하에 직속 현 1개와 다수의 군을 두었는데1군에 9~28 현을 두고 관할하였다. 이들은 주군현(州-郡-縣 ) 순서로상하관계이었다. 또한 주군현에 관리를 파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중앙정부가 집접 관리를 파견하는주현(主縣, 1/3)과 지방 호족에게 관리를 위임한 속현(屬縣, 2/3)을 두었다. 주현(主縣)은 주-부 -군-현(州-府 군사요지-郡-縣) 지역을, 속현(屬縣)은 주군현(州郡縣) 지역을 통칭하는데 현 단위가 대부분이었다.


행정단위 구역의 경계는역사적 경험과 산과 물줄기를 기준으로 구획하였다.조선시대에 들어서 모든 주부군현에 관리를 파견하여 남발된 주를 대폭줄이게 된다.


이처럼 지방행정의 기본은군현이나 왕조가 바뀌면서 이들을 관리 감독하기 위해 상급행정단위를 증설하는 경향을 띄어왔다. 그러나설치효과는 시간이 흐를수록 낮아져 새로운 감독기구를 또 도입하게 되는 특징을 띠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