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가짜카지노 게임와 음모론은 왜 끊임 없이 확산할까

과학과 종교에 대한 소양은 여전히 중세적인 관념에 사로잡힌 종교 근본주의자나 보수적 종교에서 낮게 나타난다. 과학에 대한 무지와 경시로 코로나 19 펜데믹 당시 교회에서 많은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왔다. 전광훈 목사의 사랑제일교회는 논란의 중심에 서있었다. “모여서 기도하면 코로나를 이길 수 있다.”라는 ‘중세적’ 광신이 낳은 비극이었다. 진중권 교수는 이에 대해 “종교가 아니라 미신이다.”라고 맹비난했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일부 기독교인의 행태에 분노했다. 신천지 사태는 말할 것도 없다.


미국도 우리나라와 상황이 비슷하다. 미국은 기독교 민족주의라는 현상이 있다. 미국인은 신에 의해 선택되었으며 신은 자신들을 보호한다는 믿음이다. 실제로는 보호하기는커녕 가장 많음 감염자와 사망자가 나왔다.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과학을 신뢰하지 않으며 백신을 잘 맞지 않는다. 기독교 보수주의가 강한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진화론을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전염병과의 싸움은 종교적인 광신과의 싸움의 역사였다. 1918년 스페인 독감 당시 사모라(Zamora)시의 주교도 독감을 극복하려면 신에게 용서를 빌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보건당국의 반대를 무릎 쓰고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여 스페인에서 최고의 사망률이 나왔다. 얼마나 많은 사망자가 나왔는지 관을 짤 나무를 구할 수도 없었다.


종교뿐만 아니라 과학이슈, 정치적 성향 같은 분야에서도 각종 음모론과 가짜카지노 게임 그리고 잘못된 인식이 나타난다. 특히 가짜 카지노 게임 때문에 전 세계가 몸살을 앓는다. 가짜 카지노 게임 중 위험한 것은 사실과 거짓을 교묘하게 섞은 이야기이다. 특히 정치사회적 사건에 대한 해석은 근거 없는 주관이 섞여 어디서부터 사실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럴싸한 논리로 마구 떠들어대고 사람들은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인다. 그 배경에는 무지가 있다.


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의하면 수면 부족을 겪거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카지노 게임에 더 취약하다. 카지노 게임 사고방식 및 특정한 카지노 게임도 더 쉽게 믿는다(유의미한 통계적인 연관성). 수면이 부족하면 인지능력이 저하된다. 또는 인지능력의 저하 또는 뇌의 노화로 인하여 불면증이 올 수 있다. 카지노 게임에 쉽게 빠지는 것은 인지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무지 때문이다.

https://doi.org/10.1177/13591053251320598


이를 막기 위하여 팩트 체크 등이 동원되지만 쉽지 않다. 팩트 체크는 부분적인 효과는 있다. 2025년 연구에 의하면 ‘가짜카지노 게임일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 문구들 달면 이런 카지노 게임를 진짜로 믿어버리는 것이 약 30% 정도 감소한다. 이런 카지노 게임를 공유하는 것도 약 30% 정도 감소한다. 경고 문구에 회의적인 사람에게도 약 10% 정도 잘못된 믿음을 예방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사실 확인(fact-checking) 제도가 한계는 많지만 어느 정도 필요함을 의미한다.


물론 이런 시도의 효과는 제한적이다. 음모론이나 가짜카지노 게임를 막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다룬 연구 25개를 메타 분석한 결과 절반에 못 미치는 사람들에게만 효과가 있다. 문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못했다는 점이다. 특히 단순한 팩트 체크나 반론의 제기는 음모론이나 가짜 카지노 게임에 대응하는데 가장 효과가 떨어졌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오류를 스스로 알 수 있게 하고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최소 3개월가량 교육하는 것이었다.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합리적·과학적 판단이 가능하도록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우리가 가진 앎과 지식이란 손바닥만도 못한 크기이다. 그것도 오류가능성이 높고 잘못된 견해일 때가 많다. 마음 한켠에 오류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두는 것이 바른 자세이다. 올바른 ‘지식인’이라면 기존의 앎과 믿음이 ‘가설’임을 인정하고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최고 저널에 실린 학술논문도 늘 오류가능성을 내재한다. 학술논문도 아닌 출처라면 더더욱 신뢰할 수 없다. 게다가 최초 출처가 인터넷 커뮤니티, 소셜네트워크, 유튜브 등이라면 대부분 오류이다. 배운 사람들이 이런 출처 정보나 지식을 사실인 것처럼 주장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특히 정치와 종교의 영역에서 사실 어렵다. 종교에서는 사실상 불가능이다. 처음 가진 믿음을 절대화하기 때문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