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불교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적
카지노 게임 추천 통제 넘어: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불교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적 국가 전략 제안
국문 초록
디지털 게임 및 도박 중독은 다차원적 공중보건 위기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 심리학적, 사회적, 신경생물학적 기제들이 이미 다각도로 연구되었지만, 불교 심리학은 중독의 근원을 ‘자아에 대한 집착(Ātman)’으로 간주하는 철학적·치유적 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도파민 중심의 보상회로 등 디지털 중독의 신경기제를 검토하고, 마나(māna) 및 네 가지 근본 번뇌(avidyā, asmitā, rāga, dveṣa)와 같은 불교 심리학의 개념을 통합하여 중독의 본질을 탐구한다. 나아가 신경과학, 교육, 정신건강 인프라가 결합된 국가 차원의 디지털 디톡스 전략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1. 서론
디지털 환경이 일상에 깊이 스며든 오늘날, 온라인 게임 및 도박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정체성 강화 및 스트레스 회피의 수단으로 소비되고 있다. 특히 보상 시스템은 인간의 인지적 취약성을 악용하도록 설계되어 중독 행동을 유발하고 있다(King et al., 2020).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경과학적 사실과 사유 중심의 철학이 통합된, 보다 총체적이고 문화 친화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2. 디지털 카지노 게임 추천의 신경과학적 이해
2.1 도파민 보상 회로와 카지노 게임 추천 기제
디지털 중독은 중뇌변연계 경로, 특히 복측 피개 영역(VTA)과 측좌핵(NAcc)을 포함한 도파민 보상 회로의 활성화와 깊은 연관이 있다(Robinson & Berridge, 2003). 이 회로는 실제 보상보다는 기대하는 과정에서 더욱 활발히 작동하여, 사용자는 지속적인 자극을 추구하게 된다.
2.2 습관화와 실행 기능 저하
반복된 사용은 습관 형성과 관련된 선조체(dorsal striatum)를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억제력과 의사결정을 관장하는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의 기능을 저하시킨다(Volkow et al., 2011). 이는 자기 조절력 상실로 이어지며, 결국 사회적·직업적 기능의 손상을 야기한다.
3. 불교 심리학에서 본 카지노 게임 추천과 자아 집착
불교 심리학은 카지노 게임 추천을 탄하(taṇhā, 갈망)와 우파다나(upādāna, 집착)의 결과로 본다. 이 둘은 자아에 대한 잘못된 인식, 즉 아트만(ātman)에의 집착에서 비롯되며, 이는 마나(māna)—자신을 남과 비교하고 경쟁하려는 자아의 욕망—를 통해 강화된다(Wallace, 2007).
3.1 마나와 네 가지 근본 번뇌
유식학(Yogācāra)에서는 말라식(第七識, manas)이 아뢰야식(ālaya-vijñāna)과 결합하여 네 가지 근본 번뇌를 생성한다고 본다(Siderits, 2011).
- 아비디야(avidyā): 현실에 대한 무지 → 카지노 게임 추천의 부정
- 아스미타(asmitā): 자아 동일시 → 디지털 자아에의 몰입
- 라가(rāga): 탐욕 → 과도한 사용과 자극 추구
- 드베샤(dveṣa): 혐오 → 단절 시 분노와 불안
이는 카지노 게임 추천 행동의 심층적 동기와 일치한다.
4. 국가 차원의 디지털 디톡스 전략
디지털 중독은 개인 의지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심리적·신경학적 고착 현상을 포함하므로, 국가 차원의 체계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4.1 정책 제안
- 디지털 웰니스 교육: 초·중등 교육과정에 디지털 위생 및 마음 챙김 포함
- 규제 강화: 확률형 아이템(loot box) 등 착취적 게임 설계 금지
- 정신건강 접근성 확대: 카지노 게임 추천 전문 클리닉 설립 및 통합 치료 제공
4.2 신경과학 기반 디톡스 개입
- 마음 챙김 기반 중재(MBIs): 갈망과 관련된 뇌 활성 감소(Tang et al., 2015)
- 명상과 통합된 인지행동치료(CBT): 습관 회로의 재구성
- 디지털 수행 프로그램: 사찰식 묵언 수행, 절제 생활 등 전통적 계율 활용
5. 논의
신경과학과 불교 심리학의 융합은 중독 현상을 표층적 기제와 심층적 원인.모두에서 조망하게 한다. 전자는 ‘어떻게’ 중독이 발생하는지를 설명하고, 후자는 ‘왜’ 중독에 빠지는지를 해명한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예방과 치유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자아 집착의 해체를 통해 지속 가능한 회복을 유도한다.
그러나 카지노 게임 추천의 사회구조적 원인—소외, 실업, 교육 경쟁, 공동체 해체—을 간과한다면 개별 치료는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국가 차원의 구조적 변화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6. 결론
디지털 중독을 불교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이중 렌즈로 이해하는 것은 분석적 깊이와 실천적 통찰을 동시에 제공한다. 도파민 회로의 보상 패턴이 카지노 게임 추천을 유도한다면, 그 기저에는 자아 동일시와 집착이라는 심리적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기반 디지털 복지 정책과 명상 중심의 자기 조절 교육을 결합한 ‘신경윤리적 공공정책’이 21세기 디지털 웰빙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제안된다.
Abstract
Digital gaming and gambling addiction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multidimensional public health concerns. While psychological, social, and neurobiological mechanism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Buddhist psychology provides a distinct philosophical and therapeutic framework focused on the root of addiction—attachment to the self (ātman). This paper explores the neurobiological basis of digital addiction, especially dopamine-driven reward circuitry, and integrates insights from Buddhist psychology, particularly the concept of māna (conceit) and the four fundamental afflictions (āvidyā, asmitā, rāga, and dveṣa). Furthermore, it argues for national-level interventions, including digital detoxification policies supported by neuroscience, education, and mental health infrastructures to address the emerging crisis of technology-induced behavioral addictions.
참고문헌
- King, D. L., et al. (2020). Problematic online gaming and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9(2), 184–186.
- Robinson, T. E., & Berridge, K. C. (2003). Addic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25–53.
- Siderits, M. (2011). Buddhism as Philosophy: An Introduction. Ashgate Publishing.
- Tang, Y.-Y., et al. (2015). The neurosci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6(4), 213–225.
- Volkow, N. D., et al. (2011). Addiction: Beyond dopamine reward circuitry. PNAS, 108(37), 15037–15042.
- Wallace, B. A. (2007). Contemplative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