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에 진실이 들릴 기회를 만들어라
- 집단은 구성원의 오류를 바로잡는 데 실패할 뿐 아니라 오히려 오류를 확대한다.
- 집단 구성원들은 먼저 말을 꺼내고 행동을 시작한 사람을 그대로 따르려는 경향이 있어 폭포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설령 그런 말과 행동이 집단을 불행하고 심각한 비극에 몰아넣더라도 말이다.
- 집단은 논의를 거친 후에 더욱더 극단화되어, 논의 전 구성원들의 성향 중 가장 극단적인 입장을 결론으로 도출하게 된다. 이를테면 지나치게 낙관적인 사람들이 모여 논의한 결과 한층 더 낙관적으로 변하는 식이다.
- 집단은 공유된 정보, 즉 모든 사람이 이미 아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느라 공유되지 않은 정보를 간과하여, 한두 명이 가지고 있는 결정적인 정보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
- 캐스 R. 선스타인, <와이저 -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시스템 원형 - 부담 떠넘기기(Shifting the burden)
[설명]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표면적으로는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듯 보이는 ‘단기 해결책’이 활용된다. 이러한 단기 해결책을 많이 사용할수록,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서는 더더욱 멀어진다. 그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근본 해결책을 활용할 능력은 위축되거나 불가능해지고, 증상 위주 해결책에 대한 의존도가 한층 높아지게 된다.
[사례]
- 경영진에서 제시한 공격적인 목표에 부담을 느낀 영업 부서가 빠른 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 고객을 위주로 대규모 거래를 한다. 그 결과 소수 고객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산업의 변화로 침체기를 맞이하자 매출이 반토막 났다.
- 개발 속도가 느려진 상황에 대해 관리자에게 압박을 가하거나 단순히 개발자 수를 늘려서 해결하려고 하는 경우
- 예산 집행을 점검하기보다는 돈을 빌려 당장의 금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관리 원칙]
근본 해결책에 집중하라. 근본 해결책 도출이 지연되면서 증상 위주 해결책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시간을 버는 용도로 그러한 대책을 활용하되, 근본 해결책 모색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 피터 센게, <학습하는 조직
살가닉의 연구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들은 실험 참가자들이 신규 밴드의 48개곡을 듣고 그중 한 곡 이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통제집단을 구성했다. 통제집단의 참가자들은 음악의 본질적 가치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선택했다. 그들은 다른 사람이 어떤 음악을 다운로드하거나 좋아하는지에 대해 아무 말도 듣지 못했으므로, 순전히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자신이 좋아하는 곡을 고를 수 있었다.
한편 살가닉과 공동 연구자들은 사회적 압력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여덟 개의 다른 하위 집단을 구성했다. 이 하위 집단에 속한 참가자들은 자신이 속한 특정 집단에서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어떤 곡을 다운로드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결과적으로 그런 정보는 참가자들의 선택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통제집단에서 적은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해 최하위권에 머무른 노래가 다른 하위 집단에서 최상위권에 오르거나, 많은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해 최상위권에 머무른 노래가 다른 집단에서 최하위권에 머무르는 경우는 없었지만, 그 외에는 사실상 어떤 일도 벌어질 수 있었다. 실험집단에서 초기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노래는 계속 상위권에 머물렀지만, 초기 다운로드 횟수가 적은 노래는 거의 예외 없이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
- 캐스 R. 선스타인, <와이저 -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이 실험에서 우리는 콜로라도 주에 있는 두 도시의 시민을 대상으로 실험 참가자를 모집한 뒤, 그들을 같은 도시 출신끼리 여섯 명 정도씩 묶어 여러 개의 소집단으로 나눴다. 각 소집단에는 당시 가장 첨예한 쟁점이던 기후변화, 소수집단 우대정책, 동성애 시민연대 등 세 가지 주제를 논의하게 했다.
참가자를 모집한 두 도시는 대단히 진보적인 정치 성향으로 유명한 볼더(Boulder)와 대단히 보수적인 정치 성향으로 유명한 콜로라도스프링스(Coloardo Springs)였다. (...) 실험 참가자들은 먼저 각자의 생각을 익명으로 기록한 후 토론에 참여해 집단으로 의사결정을 내렸다. 논의를 마친 후에 참가자들은 다시 한번 각자의 생각을 익명으로 기록해 제출했다.
[결과]
1. 볼더 시민들은 세 가지 주제 모두에 대해 논의 이후 훨씬 더 진보적으로 변했다. 반면에 콜로라도스프링스 시민들은 훨씬 더 보수적으로 변했다. 집단적 논의의 결과는 개개인의 의견을 더욱 극단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2. (...) 논의 시작 전에는 많은 집단이 구성원들의 의견이 제각기 다양하다는 의미에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여줬다. (...) 하지만 논의 후에는 진보 성향의 참가자들끼리 의견이 비슷해졌고, 보수 성향 참가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짧은 논의를 마친 후 익명으로 조사한 개인적인 의견에서 집단 구성원들은 다양성이 크게 줄어들고 합의점이 크게 늘어난 변화를 보여줬다.
3. 논의 후에 대체로 진보적이었던 볼더 시민과 대체로 보수적이던 콜로라도스프링스 시민 간의 의견 격차가 더 크게 벌어졌다. (...) 진보 성향과 보수 성향으로 극명히 나뉜 것이다.
- 캐스 R. 선스타인, <와이저 -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조직의 위계적인 구조는 통찰을 걸러낸다. 통찰이 최상위 의사결정자에게 도달하려면 각 단계의 결정자 모두가 사인해야 한다. 만약 하급 정보 분석가가 이례적인 것을 감지하고 알렸다고 해도 그 메시지가 위로 올라가는 연결고리 중 어딘가에서 묻혀버릴 확률이 있다. 이것이 바로 '조직적 억압'이다. (...)
예측 가능성에 대한 필요와 완벽성(실수의 회피)에 대한 필요 같은 힘들은 조직들이 선택하는 가치가 아니다. 그것들은 조직의 본성 그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것 같다. 심지어 스스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도 조직은 어찌해야 할지 모른다.
- 게리 클라인, <통찰, 평범에서 비범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