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우리, 어쩌다 불행해진 걸까?
속마음은 표현하지 않으면, 알 수 없다. 상대방은 무료 카지노 게임 아니니까.
아래는 장나라, 손호준 주연 드라마 <고백 부부(KBS2, 2017.)의 한 장면이다.
반도 아버지 : 아 왜? 또 뭔데? 뭐 때문에 화났는데 뭐?
(화가 난 아내는 방으로 들어가 버린다.)
반도 아버지 : 아니, 너네 엄마 왜 저러냐?
반도 누나 : 아빠 말고 이유 더 있겠어. 잘 생각해 봐. 뭘 잘못했는지. 짚이는 거 있을 거 아냐? 두 분 지금 26년을 같이 사셨는데.
반도 아버지 : 백 년을 같이 살아봐라. 그 속을 누가 아나. 사람이 화가 났으면 화가 났다고 말을 해야 무료 카지노 게임 알 거 아냐. 아니, 점심 때 외식하고 싶다고 그래서 외식시켜 주고 다 해줬는데 왜 화났냐고! 말을 해 말을!
(아무료 카지노 게임 다시 나온다.)
반도 어머니 : 말을 해야 무료 카지노 게임?
반도 아버지 : 당연하지. 내가 무슨 독심술을 쓰냐? 그 속을 어떻게 무료 카지노 게임? 외식시켜 주고 내가 다 해줬잖아.
반도 어머니 : 무료 카지노 게임 집밥 먹기 싫어서 외식시켜 달라고 했지? 근데, 가정식 백반집을 데리고 가냐? 이 좀팽이 영감탱이야!
반도 아버지 : 아이, 뭐야… 그럼 그때 싫다고 말을 했으면 됐잖아! 여태까지 말 안 하고 가만히 있다가!
반도 어머니 : 들리게 하나하나 다 가르쳐 줘야 돼? 당신 바보 천치야?
반도 아버지 : 당연하지. 말 안 하면 내가 어떻게 무료 카지노 게임! 그놈에 속을…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인데 그놈에 입은 뒀다가 뭐 할래? 뒀다 국 끓여 먹을래?
아내는 답답하다. 26년을 함께 살았는데, 그 정도 살았으면 당연히 척하면 척 무료 카지노 게임야 하지 않을까? 말해주지 않으면 속내를 전혀 무료 카지노 게임채지 못하니 답답하기만 하다. 남편이 자신을 헤아려 주지 않는 것만 같다. 그런 남편이 야속하다. 함께 산 세월이 몇 년인데, 아직도 자신의 마음을 모르니까. 아니 내 마음을 살펴 준 적이 없이 없는 것 같아 서운하다.
남편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뭐가 문제인지, 왜 화를 냈는지 도무지 말해주지 않으니까. 알 수 없으니 답답하다. 자신은 아내를 아끼고 사랑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했는데 도대체 무엇 때문에 화가 났는지 알 수가 없다. 말을 해달라고 해도 말해 주지 않으니 미칠 노릇이다.
드라마 속 대화를 단순하게 만들어보자.
아내 :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키며) "자기야, 저거 좀 줘~"
남편 : "뭐?"
아내 : (여전히 무언가를 가리키며) "저거~"
남편 : "저거 뭐?"
아내 : (계속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킨다.) "AC, 저거 달라고!!!"
남편 : "그러니까 저게 뭐냐고???"
드라마 속 장면은 남녀 차이를 정확히 묘사하고 있다. 많은 부부가 현실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말다툼을 한다. 왜 그런 일이 벌어질까?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성향과 대화 감각 및 방식의 차이로 발생한다.
남성과 여성의 뇌는 여러 면에서 기능적으로 다르게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개인 차도 있고, 또한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남성은 이렇고 여성은 저렇다고 획일화할 수는 없다. 다만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차이, 뇌 구조와 기능의 차로 인한 행동 및 인지적 차이를 살펴보자.
여성은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때문에 언어 능력과 함께 감정적이고 직관적인 판단이 뛰어나다. 상대방의 표정, 몸짓, 언어 표현 등을 통해 상대의 감정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의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상대방이 간접적으로 말을 해도 그 의도를 정확히 찾아내는 이유다.
여성은 대화할 때 상대의 말에서 맥락을 찾고, 그 안에 담긴 감정을 읽는다. 말하는 이의 감정에 빠져들어서 ‘공감’을 잘한다. 여성들이 대화할 때
“그랬구나.”
“어쩐지.”
“맞아. 맞아!”
등 공감형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다. 상대의 말에 맞장구로 반응하기 때문에 함께 깔깔거리거나 심각해진다. 여성은 말속에 담긴 상황에 집중하고, 화자의 심경에 빠져든다. 해결은 나중이다. 공감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을 척척 무료 카지노 게임들을 수밖에 없다.
남성은 언어활동을 할 때 주로 좌뇌를 사용한다고 한다. 따라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남성은 감정보다는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집중한다. 보통 직접적이고 간결한 소통 방식을 선호한다. 말에 담긴 표면적인 뜻,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말을 하면 무료 카지노 게임듣지 못한다.
남성은 정보에 집중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으며 왜 그런 벌어졌는지,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민한다. 일부러 그러는 게 아니다. 뇌가 자동으로 그렇게 작동한다. 그래서 남자들의 대화를 관찰하면 이런 표현을 엿볼 수 있다.
“그래서 어떻게 됐는데?”
“이렇게 했어야지.”
“그러면 안 돼.”
공감과는 전혀 먼 대답들만 한다. 원인 분석이나 해결 방법을 담은 표현 위주로 대답한다. 굳이 표현하자면 남자들에게는 원인 분석, 해결형 언어가 여자들의 공감 언어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남녀 사이에 발생하는 불통은 잘잘못을 가릴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한쪽이 잘못해서 벌어지는 문제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를 타박할 필요가 없다. 그런다고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많은 부부가 남녀 차이로 인해 위에서 본 드라마 속 상황을 겪는다. 그러한 남녀의 불통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내는 남편이 자신의 속 마음을 무료 카지노 게임서 눈치채 주길 바라거나 기다리지 말아야 한다. 되도록이면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해줘야 한다. 남편은 아내의 말에 답을 제시해 주려고 하면 안 된다. 그 안에 담긴 속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말 그 자체에 공감을 해줘야 한다. 아내도 여자이기 때문에 “그랬어? 그랬구나.”라고 공감형 대답만 잘해줘도 충분히 만족한다.
덧붙여서 남녀의 차이로 불통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설명이 부실해도 불통 문제가 벌어진다. 여성들은 설명이 부족해도 감으로 다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다. 눈치가 빠르기 때문이다. 남성들은 눈치가 그리 빠르지 않다. 정확하게 설명을 해야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다. 뇌 구조가 그러니까.
아내가 설명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남편은 말을 무료 카지노 게임듣지 못한다. 이런 면에서 불통의 원인은 아내에게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남편이 못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 게 아니라 설명이 부족한 것이다. 아내 입장에서야 당연히 남편이 답답하게 느껴질 것이다. 왜 내 말을 이렇게 못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지 말이다. 하지만 이것 한 가지는 분명하다. 말하는 내용은 말하는 사람의 머릿속에만 있다. 자신의 머릿속에 있으니 상대에게 길게 설명하지 않는다. 자신은 알고 있으니까 상대도 당연히 알 거라고 생각하니까. 잘못된 생각이다. 상대는 아무런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으니 도통 무슨 말을 하는 건가 싶을 수밖에 없다. 무료 카지노 게임듣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니 남편이 왜 이렇게 말을 못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지 답답해할 게 아니라 자신의 설명이 부족한 건 아닌지 돌아볼 필요도 있다.
여자와 남자는 생김새뿐만 아니라 여러 면에서 다른 존재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무료 카지노 게임야 한다. 서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부딪히는 것이다. 서로에 대해 알고,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알면 마찰은 줄어든다.
"자기야, 물 한 잔만~"
"그래, 여기~"
남편들이여, 지금부터 여자의 언어를 배워서 척하면 척 알 수 있도록 노력해 보자. 아내들이여, 남편들이 못 무료 카지노 게임듣는다고 답답해하지 말고 제대로 설명을 해주자.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서로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면 불통은 사라질 것이다.
무료부부상담 : writer-jd@naver.com
<차례
우리 사랑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 들어가며
Part 1. 우리, 어쩌다 불행해진 걸까?
Part 2. 남편이 몰랐던 여자, 아무료 카지노 게임 몰랐던 남자
Part 3.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7가지 기술
당신 힘들었겠다 - 나가며
부록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행복 가이드
본 글은 현재 집필 중인 『결혼에 관한 거의 모든 기술』(가제)의 초안으로, 출간 전 내용을 수정, 보완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