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파이프일까? 아닐까?_패러디 작품의 묘미
이번 주 볼 작품입니다.
무료 카지노 게임 천천히 관찰해 주세요.
무료 카지노 게임 관찰하며 떠오르는 단어가 있나요?
이 그림의 제목은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그림을 보며 떠오르는 질문이 있나요?
떠오른 질문 중 함께 이야기 나누고 싶은 질문은 무엇인가요?
무료 카지노 게임 보며 든 생각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을 아는 사람이라면 이 작품이 바로 '패러디'라는 것을 바로 알았을 것이다. 패러디란 특정 작품의 소재나 작가의 문체를 흉내 내어 익살스럽게 표현하는 수법으로비평, 풍자를 끌어내는 작품을 일컫는다.파이프(Pipe)는 잘게 썬 담뱃잎을 담아 피우는 서양식 담뱃대와 물이나 가스 따위를 수송하는 데 쓰는 속이 빈 관이라는두 가지 뜻이 있다. 뱅크시 작품에 나오는 파이프는 후자의 의미이며 'This is a pipe'라는 텍스트와 함께 실제 파이프를 붙여 놓았다. 이 얼마나 멋진 언어유희인가! 아재 개그라고 치부하기에는 너무나 명쾌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이 작품은 파이프 그림이 아니고 실제 파이프를 소재로 사용했기에 마그리트가 <이미지의 배반을 통해 사람들에게 던지고 싶었던 질문을 거둬가게 한다. '이것은 파이프다'라는 텍스트는 모두가 동의할 수밖에 없다. 마그리트가 이 작품을 봤다면 뭐라고 했을까? '요놈 봐라.' 하지 않았을까?
무료 카지노 게임 관찰하며 떠오르는 단어
패러디, 언어유희, 말놀이, 가스밸브, 녹슨 쇠, 파이프의 일생, 쓰임, 아재개그, 동음이의어
내가 지은 제목
사물의 용도와 진실
떠오른 질문
-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해냈을까?
- 철판에 분필 같은 것으로 텍스트를 쓴 이유는 무엇일까?
- 액자 틀 밖으로 철판이 나오게 한 의도는 무엇일까?
- 액자 안에 액자를 넣는 이중액자로 만든 의도는 무엇일까?
- 바탕에 쓰인 철판이 녹슬지 않은 철판이었다면 어땠을까?
- 밖의 액자를 속 액자와 똑같은 모양과 색깔의 액자로 만들었다면 어땠을까?
<작품 정보
무료 카지노 게임,This Is A Pipe, 2011 페인트, 빈티지 프레임 및 재활용 금속 69x80x29cm, Christie's Hong-Kong: 2019년 3월 29일
1974년 잉글랜드 브리스톨에서 태어난 무료 카지노 게임는 얼굴 없는 화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래피티아티스트로 더 유명하다.그는 그래피티라는 거리 예술 형식을 활용하며 공공장소 혹은타인의 사유지를 무단 점거해 메시지를 남김으로써 게릴라 아티스트, 아트 테러리스트로 불린다.
그는 자신의 그림이 담긴 정치 사회적 메시지와 장소와의 관계, 그리고 작업의 시기를 면밀히 고려한다. 이는 실체가 없는 그를 예술가로 '실존'하게 만든다. (....)1980년대 뉴욕의 다른 그래피티 아티스트가 주류 예술계에 주목을 받으며 성장했던 것과 다르게 그는 '무명 실체가 없는', '불법적인', '임시적인' 활동 형태를 통해 작가의 명성, 예술의 자본화를 거부하는 대신 '관객'을 호명한다. 작품을 관조하는 수동적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변화된행동으로 나아가도록 그는 자신의 작품이 우리 삶에 대한 성찰, 혹은 캠페인과 같이 유용하길 자처한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뱅크시의 예술 행보는 그렇기에 '진정성'을 획득한다.그는 지속적으로 범세계적인 분쟁과 이슈의 현장에 출몰하며 자신의 예술 활동을 통해 폭력과 권위, 차별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2024. 리얼 무료 카지노 게임 전시장 내 소개 글 요약
마그리트는 이 그림을 통해
첫째, 사물(파이프)과 사실적으로 재현된 이미지(파이프 그림)는 매우 다르다.
둘째, 사물(파이프)과 언어(우리가 '파이프'라고 부르는 언어)는 성질에 있어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
셋째, 우리는 그림이 어떤 사물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그 사물을 재현한 것이라고 보는 데 익숙한 관습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넷째, 우리는 미술 작품 속에서 무엇을 보는가라는
질문과 메시지를던져 준다고 볼 수 있다.
자. 그럼, 뱅크시의 작품은우리에게 어떤 질문과 메시지를 던져 주는 것일까?
실제 파이프와 작품에 쓰인 파이프를 동일하게 볼 수 있을까?작품에 쓰인 파이프는 실제 파이프이지만 액자 안에 들어옴으로써 그 용도와 의미를 잃어버렸다.그렇다면 작품의'This is a pipe'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용도를 잃어버린 파이프는 실제 파이프와는 매우 다르다.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처럼'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텍스트가 이 작품에서도 유용한 것은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