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의 내포절 부정 접속과의 비교
A robot may not injure a human being or, through inaction, allow a human being to come to harm.
위 문장은 Issac Asimov라는 작가가 만든 로봇의 3원칙 중 하나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는 안 되고 ~도 안 된다.' 형식으로 해석된다.[1]그런데 원문에 사용된 접속사를 보면 'or'이다.
구문을 분석해 보면, 'not'에 'injure'와 'allow'가 걸린다. 논리학적으로 보면 명제와 명제의 합집합(intersection)에 해당하니 or가 바른 선택이다. 그리고 or는무료 카지노 게임로 '또는'이나 '-거나'로 번역하는 게 일반적이다. '안 되거나 안 된다'로 해석해야 되는 걸까? '안 되고 안 된다'는 굳이 따지자면 AND 접속인데 영어에서는 OR 접속이니까 무언가 괴리감이 느껴진다.
굳이 or를 직역하여 '-거나'를 쓴다고 해 보면 아래와 같은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밑줄 친 두 동사가 논리적으로 '-거나(or)'에 의해 합쳐진 후에 부정어 '안'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무료 카지노 게임에서도 자연스럽다.
무료 카지노 게임에서는 부정의 해석 영역이 영어와는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다. 영어의 'not X or Y'구성인 무료 카지노 게임의 'X not and Y not' 구성과 'X or Y not' 구성에 대응한다. 왜 그럴까?나만 그렇게 느끼는지 모르겠지만,절 접속과 부정 해석의 체계라는 관점에서무언가 체계상의 빈칸이 있지 않을까 한다.
=각주============
[1] 영어를 무료 카지노 게임로 번역할 때, 혹은 무료 카지노 게임를 영어로 번역할 때 보조사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는 안 되고 ~도 안 된다' 구성도 그런 예이다. '~도 안 되고 ~도 안 된다' 구성도 가능한데 어떤 것이 논리적으로도 가장 정확하고 문법적으로도 가장 자연스러운지 판단하기란 쉽지가 않다. '해치면안 되고방치해도안 된다'를 두고 비슷한 고민을 해 보면 '해쳐서도안 되고방치해서도안 된다'로 바꿀 수도 있다. 절 관계의 문제임이 분명한데 무료 카지노 게임에서는 이런 관계가 보조사와 무관하지 않고, 무료 카지노 게임에서는 보조사의 유무에 따른 미묘한 어감의 차이가 있다. 어쩌면 초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에서 무료 카지노 게임가 학술적인 언어로서 더 좋아 보이기도 하고. 영어와는 다른 까다로움 내지는 멋이 있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