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경제 상식
온라인 카지노 게임 영수증을 보면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이 나눠져 있어요. 무엇이 다른지 알려드릴게요.
진찰료, 입원료, 기본 검사비, 처방 약 등은 급여 항목이에요. 건강보험 혜택을 적용받아 일부 금액을 국가에서 지원받을 수 있죠.
동네 병원, 즉 1차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면 보통 진료비의 30%만 환자가 내고 나머지는 국가로부터 지원받아요. 반면 대학병원 같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받았다면 환자가 진료비의 60%를 내야 하죠.
모든 급여 항목이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1차 병원의 진료 의뢰서 없이 바로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을 때, 응급 상황이 아닌데 응급실 진료를 받았을 때는 환자가 모든 진료비를 내야 해요. 다만, 암이나 난치병 환자는 병원 규모와 상관없이 진료비의 5~10%만 내면 돼요.
치료 목적이 아닌 진료는 대부분 비급여 항목이에요. 라섹 수술 같은 시력 교정술, 성형 수술비, 상급 병실 입원비 등이 대표적이죠.
비급여 항목 중 실손 보험으로 보장받는 진료도 있어요. 진료 전 내가 가입한 보험의 보장 내용을 확인하는 게 좋아요.
의료인은 ‘비급여 사전 설명 제도’를 꼭 지켜야 하는데요, 비급여 진료를 하기 전에 환자나 보호자에게 진료 항목과 가격을 자세하게 설명해야 해요. 단, 환자의 상태가 위급해서 당장 수술이나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사전 설명을 생략할 수 있어요.
급여 항목의 진료비는 전국 어느 병원에서나 같지만, 비급여 진료비는 병원마다 달라요. 병원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이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www.hira.or.kr) 속 ‘비급여 진료비 정보’에서 전국 모든 병원의 비급여 진료비를 볼 수 있어요. 의료 기관 규모별 비교, 지역별 평균 금액 등 상세하게 검색할 수 있으니 병원에 가기 전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