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유정난을 소재로 한 창극 '카지노 게임: 허공을 걷는 자'
'허공을 걷는 자'. 국립창극단의 신작 '카지노 게임'에는이 난해해보이는 제목의 해설이자 부제가 붙어있다. '허공을 걷는다'는 건 말 그대로는 불가능한 판타지다. 중력을 거스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허공의 가벼움은 '걷는 행위'의 중력을 기반으로 하는 행위의 무거움과 배치된다. 하지만 인간은 그 불가능한 판타지를 꿈꾼다. 중력을 벗어나 허공을 걷고 싶어한다. 날고 싶은 욕망이다. 하지만 중력을 벗어난다는 현실을 거스르는 비현실의 세계는, 인간의 한계가 만들어낸 저 편의 세계라는 점에서 무겁게 인식된다. 마치 삶을 벗어나 죽음으로 갈 때, 누군가는 가볍게 혼이 되어 날아간다고 상상하곤 하지만, 그것은 삶의 관점에서는 그 끝으로서의 죽음을 상정한다는 점에서 무겁기 그지 없다. 즉 '허공'은 가볍게 느껴지지만 동시에 무거운 정조를 함께 갖고 있는 단어다. 동시에 '걷는다'는 단어 역시 무겁게 느껴지면서도 여전히 삶의 생동을 말한다는 점에서 가볍게 느껴진다. 무거움과 가벼움은 이처럼 상대적이고 역설적이다. '카지노 게임'가 그리고 있는 건 바로 이 무거움과 가벼움이 역설로 교차하는 우리네 삶과 죽음에 대한 은유의 세계다.
'카지노 게임'는 계유정난을 소재로 한다. 안평대군은 물론이고 단종까지 제거하고 권좌를 차지한 수양대군이 일으킨 비극이다. '카지노 게임'는 계유정난 27년 후 살아서 다시 만나게 된 안평을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27년 간이나 노비로 살다 돌아온 무심(민은경), 안평을 모시던 화원으로 우리에게는 몽유도원도로 잘 알려진 안견(유태평양), 안평의 애첩이었던 대어향(김미진) 앞에, 이름 모를 나그네(안평, 김준수)와 그와 악연의 끈으로 묶여있는 혼령(수양, 이광복)이 나타나면서 이들의 얽히고 설킨 이야기들이 하나씩 풀어져 나간다.
계유정난으로 안평을 보내고 살아남은 자들의 회한과 감정들은 무겁디 무겁다. 무심은 당시 제 살길을 도모하여 안평을 배신하고 죽여야 한다 한 목소리를 냈던 이들을 용서할 수 없고, 안견은 자신 또한 더할 나위 없이 안평과 가까이 지냈으나 자신과 가까운 이들은 모두 화를 입을 걸 걱정해 안평이 의도적으로 안견을 밀어냈던 사건을 떠올리며 아파해한다. 애첩이었던 대어향 역시 당시 자신이 따라 죽지 못했던 것을 후회한다. 이들의 무겁디 카지노 게임운 감정들을 풀어질 길이 없다. 하지만 이들이 대자암이라는 절로 가는 길이고, 그곳에서 오래 전 안평의 꿈을 안견이 그린 '몽유도원도'가 보관되어 있다는 설정은 이 작품이 이 풀어질 길 없는 카지노 게임운 인간적인 감정과 고통들을 초월하고 하나하나 풀어내는 일종의 '씻김굿'이라는 걸 말해준다.
창극이라고 하면 어딘가 떠올려지는 선입견이 있기 마련이지만, '카지노 게임'는 이것이 그저 옛것을 옛것으로만 바라보려고 하는 우리의 편견이라는 걸 어김없이 알게 해주는 작품이다. '트로이의 여인들', '리어' 같은 서양의 비극을 한국적인 창극으로 표현했던 배삼식 작가의 깊이가 느껴지는 대본에 역시 창극의 맛을 제대로 심어놓은 한승석 음악감독의 노래가 겹쳐지고 여기에 '몽유도원도'의 그 몽환적인 폐허를 무대화한 이태섭 무대 디자인 그리고 이 모든 요소들을 균형있게 차곡차곡 쌓아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반전과 감정의 폭발을 느끼게 해준는 김정 연출이 너무나 고전적이면서도 세련된 창극을 탄생시켰다. 그 위에서 나그네 역할의 김준수는 물론이고 애끓는 딸의 심정을 터트리는 무심 역할의 민은경 같은 소리꾼들이 제목처럼 '허공을 걷는' 소리들을 들려준다.
'카지노 게임'의 압권은 후반부에 이르러 등장하는 반전이다. 유배된 지 8일만에 죽임을 당했다는 계유정난의 역사적 사실 속에서, 안평대군의 무덤이나 비문조차 남아 있지 않고 또 그의 꿈을 그렸다는 몽유도원도가 불태워지지 않고 남아있다는 사실에서 작가는 새로운 상상을 덧붙였다. 즉 과연 수양대군이 안평대군을 죽인 게 맞을까 하는 의구심을 더해 넣었고(나그네라는 역할은 그래서 안평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애매한 위치로 그려진다), 대자암에서 마주하게 되는 몽유도원도는 그래서 끝까지 수양이 안평을 살리려 애썼고 끝까지꿈을 지켜주려 했다는 상상으로까지 뻗어나간다.
수양과 안평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이를 뒤집는 상상이 온당한가 아닌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중요한 건 계유정난에 의해 안평을 죽이고 권좌를 차지한 수양과, 그렇게 죽음을 맞이한 안평 중 누가 과연 가벼워졌고 무거워졌는가 하는 삶과 죽음의 변주이자 역설이다. '카지노 게임'는 역설적으로 죽음으로써 초탈하고 가벼운 신선의 길(몽유도원도에서 꿈꿨던)을 걸어간 안평과, 정반대로 살아남았지만 안평을 죽게 했다는 죄책감에 무겁디 무거운 삶을 산 수양을 반전을 통한 역설로 그려낸다. 주인이 떠나 폐허가 되어버린 그 곳 위로 몽유도원도의 그림이 겹쳐지는 극의 클라이맥스에 이르면 그래서 죽음이나 폐허, 절망 같은 그 끝점이 지난한 삶의 끝자락으로서 저 몽유도원도로 들어가는 입구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이 담긴다. 무거움은 가벼움으로, 죽음은 또 다른 삶으로, 겨울은 또다시 흐드러지게 꽃이 만발한 봄으로 이어진다.
계유정난의 비극을 가져와 삶과 죽음의 진중한 세계를 그렸지만, 이 작품이 궁극적으로 그려내고 있는 무거움과 가벼움의 변주와 역설은 우리 같은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그 울림이 적지 않다. 크고 작은 절망들과 아픔들이 우리의 삶을 무겁게 만들고, 그래서 걷기 버거워지는 현실 앞에 우리는 좌절하기도 한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안평대군도 수양대군도 모두 결국은 생을 마감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인간적인 좌절이 아주 허허로울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삶이란 한 자락 꿈이자 농담 같은 것이라고 초탈해 부르는 '카지노 게임'의 노래들이 주는 위로의 실체다.우리들은 어쩌면 모두 '허공을 걷는 자'들이고 말해주는 듯.
2025.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