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_word_endYou can make anything
>102_word_end< writing
202_word_endC.S.Lewis
202_word_endYou can make anything
>102_word_end< writing
202_word_endC.S.Lewis
202_word_end흥미로운 사실들 - 주로 Gahl et al. 2011 리뷰
202_word_end>180_word_end< 사람은 발화 전체의 단위시간당 정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 '균일 정보 밀도' uniform information density라고 한다.
202_word_end정보량이 많은 음절은 길게 발음하고 정보량이 적은 음절은 짧게 발음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180_word_end<>180_word_end< 구글 n-gram 데이터를 가지고 11개 유럽 언어의 단어들을 분석해 보니, 11개 언어 모두에서 정보량이 많은 카지노 게임 추천일수록 (정서법 기준)글자수가 많고, 정보량이 적은 카지노 게임 추천일수록 글자수가 적다고 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2. 심지어 똑같은 카지노 게임 추천에 대해서도 그렇다.
202_word_end같은 'nine'이어도, "I would like nine ple>202_word_end
202_word_end(왜냐면 후자의 'nine'은 매우 예측가능하고 따라서 정보량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191_word_end< 자주 등장하거나 예측가능한 부분의 발음이 축약된다(reduced)는 것은 단순히 길이가 짧아진다는 것만은 아니다.
202_word_end자음을 약화lenition시키거나, [인접 음소에] 동화(coarticulation 동시조음? 위백의 1번 뜻일 듯)시키거나, 모음을 중설 중모음에 가깝게(centralization) 발음하거나 하는 일도, 자주 등장하거나 예측가능한 말을 발음할 때는 일어난다.
202_word_end('... 때 일어난다'라고 썼더니 흥미롭게도 의미가 꽤 다르게 읽히길래 바꿔 적는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4. 음운 이웃(phonological neighbor)이라는 개념이 있다.
202_word_endA라는 카지노 게임 추천에(서) 음소 한 개를 탈락시키거나, 삽입하거나, 대체했을 때 B라는 카지노 게임 추천가 만들어지면,
202_word_endA와 B는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5.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은 단어는 알아듣기 불편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202_word_end전에 블로그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202_word_end'cat'이란 말을 들을 때, 조금만 시끄럽거나 부주의해도 그 음운 이웃인 'cap'으로 오해하거나 'hat'으로 오해할 수가 있다.
202_word_end
202_word_end이렇게 상상해 보자.
202_word_end단어가 여럿 있다. 이 단어들은 '듣는이의 머릿속'이라는 골대를 향해 움직인다. 이 골대는 아주 좁아서 딱 한 개의 단어만 들어갈 수 있는데, 음운 이웃을 많이 달고 다니는 'cat'이 골대에 들어가려고 하다 보니 'cap'도 방해하고 'hat'도 방해하는 것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즉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 밀도'가 높으면 목표 어휘와 그 이웃들 간에 경쟁이 일어나며, 따라서 듣는이가 이해하는 데에 시간도 더 걸리고 정확도도 떨어진다.
202_word_end
202_word_end여기까지는 그렇게 놀랍지 않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6. 나한테 꽤 새롭고 신기한 사실은, 이렇게 듣기를 방해하는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 밀도'가 말하기에서는 정반대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은 단어를 말할 때는 시간도 덜 걸리고 실수도 덜 한다고 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7. 이건 사실이라기보다 가설적인 모형에 가깝겠지만, 6에 대해 아래와 같은 설명이 제시되어 있다고 한다. (Dell and Gordon, 2003)
202_word_end
202_word_end- 사람 머릿속엔 카지노 게임 추천의 집합과 음소의 집합이 각각 있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사람이 말을 할 때 특정한 카지노 게임 추천를 내뱉으려고 하면, 머릿속 카지노 게임 추천 집합에서 그 카지노 게임 추천가 '활성화(activate)'되는 동시에, 그 카지노 게임 추천를 이루는 음소들도 머릿속 음소 집합에서 함께 활성화된다.
202_word_end예를 들어 cat이라는 단어를 내뱉으려고 하면 cat이라는 단어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k/라는 음소, /æ/라는 음소, /t/라는 음소도 함께 활성화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이때 활성화되는 /k/, /æ/, /t/ 음소는 자신이 구성하는 다른 카지노 게임 추천들에게도 그 활성화를 전파(spread)한다.
202_word_end예를 들어 /k/의 활성화는 'cap'이란 단어에도 전파되고, /t/의 활성화는 'hat'이란 단어에도 전파되며, /æ/의 활성화는 'cap'에도 'hat'에도 다함께 전파될 것이다. (동시에 각 음소로부터 cat을 향한 역전파도 함께 일어날 것이다.)
202_word_end즉, cat의 활성화가 결과적으로 그 음운이웃인 hat과 cap의 활성화를 또한 불러오는 것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활성화된 음운이웃 단어들은 자신을 구성하는 모든 음소에게 다시 활성화를 전파한다. 'hat'은 /h/, /æ/, /t/에게, 'cap'은 /k/, /æ/, /p/에게.
202_word_end단순히 'cat', 'hat', 'cap' 세 개의 단어만 고려하더라도 이상의 시나리오에서 벌써 /k/는 두 번, /æ/는 세 번, /t/는 두 번 활성화되었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이렇게 강하게 활성화된 음소들은 다시 자신을 포함하는 모든 단어에 활성화를 전파하는데, 이때 맨 처음 활성화되었던 목표 단어 cat도 같이 활성화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결과적으로 머릿속 단어 집합 안에서 가장 여러 번, 가장 강하게 활성화되는 것은 유일하게 cat뿐이 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써 놓고 보니까 '활성화'라는 말이 약간 속 편한 이론적 추상화인 듯 느껴지기는 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8. Dell et al.(1997)에 따르면 원래 말하기 과정에서 목표 단어의 산출을 방해하는 주된 경쟁자는 음운적으로 관련된 단어가 아니라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라고 한다.
202_word_end(예를 들어 '비가 오네'를 말하려고 하다가 말실수를 한다면 '눈이 오네'라고 말실수하는 게 '피가 오네'라고 말실수하는 것보다 더 흔하다. 는 이야기인가 보다. 평소에 '불가리스'를 '불가사리'라고 말하는 등 카지노 게임 추천적 이유로 말실수가 나오는 경우를 많이 목격하는 편인데, 이건 어떻게 나온 결론인지 좀 궁금하기도 하다.)
202_word_end
202_word_end위 7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오로지 cat의 음운 이웃들(cap, hat 등)만 활성화되지 의미적으로 유관한 단어(dog 등)가 활성화되지는 않는다. (혹 의미적으로 유관한 단어가 우연히 음운 이웃이기도 한 경우는 예외)
202_word_end
202_word_end따라서 음운 이웃 밀도가 높다고 해서 말실수나 발화 지연의 위험성은 커지지 않는 것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반면 듣기 과제는 의미가 아니라 형식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cat을 dog으로 잘못 듣는 일은 상상하기 어렵다) 음운 이웃이 많으면 듣기에 방해가 되는 것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9. 이처럼,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은 단어는 듣는이 입장에선 잘못 들을 위험이 큰데 말하는이 입장에선 빠르고 정확하게 인출하여 말하기가 편하다.
202_word_end말을 빨리 할 때는 보통 대충 발음하게 되는데, 만약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은 단어를 이렇게 빠르게 대충 발음하면 듣는이 입장에서는 더더욱 잘못 들을 위험이 커질 것이다.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다는 것은 한 음소만 잘못 들어도 곧장 후보 단어가 몇 개씩 생겨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이렇게 양쪽의 이해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화자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202_word_end
202_word_end청자 입장에서는 좀 억울하겠지만, 202_word_endGahl et al.(2011)에 따르면 화자는 음운 이웃이 많은 단어를 말할 때 더 축약된 발음을 사용한다고 한다.
202_word_end
202_word_end화청자가 힘을 합쳐서 의사소통이란 미션을 성공으로 이끄는 기능주의적인 그림이 익숙한 나로서는 약간 의외인 결과이긴 하다. 어쨌든 논문을 더 제대로 읽어 보면 이해할 수 있겠지...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내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위와 같은 모음 공간(vowel space) 그림에서 카지노 게임 추천 이웃이 많은 단어일수록 가운데로 몰려 있다는 뜻이 될 것이다.
202_word_end저자들이 그걸 보여주려는 의도로 실은 그림인지는 모르겠다.
202_word_end다만 '음소'라는 것이 물리적으로(음성으로, 변이음으로) 실현되었을 때 얼마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그림 같아서 공유해 본다.
202_word_end
202_word_end논문 후반부는 아직 못 읽었다. 기회가 되면 마저 읽고 리뷰해 보도록 하겠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출처
202_word_end>180_word_end<202_word_endWord lengths are optimized for efficient communication.Piantadosi et al. 2010.
202_word_endA tendency for this type of "smoothing out" peaks and dips of informativeness is knows >202_word_end< uniform information density and h>202_word_end< been observed in choices made during online language production. Formally, uniform information density holds that language users make choices that keep the number of bits of information communicated per unit of time approximately constant. For instance, more informative syllables are produced with longer durations than less informative syllables, meaning that speech rate is modulated to prevent communicating too many bits in a short period.
202_word_end이 논문 참고문헌 중에 재미있어 보이는 제목이 많다.
202_word_end>180_word_end<>180_word_end<은 위 논문의 핵심 주장.
202_word_end
202_word_end2. (재인용 출처)
202_word_end202_word_endThe Smooth Signal Redundancy Hypothesis: A Functional Explanation for Relationships between Redundancy, Prosodic Prominence, and Duration in Spontaneous Speech.Aylett and Turk. 2004.
202_word_end위 논문 참고문헌인데 재미있어 보인다.
202_word_end근데 1도 2도 수식이 많아서 내가 정말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진 모르겠다. ㅋ...
202_word_end
202_word_end>191_word_end<202_word_endWhy reduce? Phonological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etic reduction in spontaneous speech.Gahl et al. 2012.
202_word_endPhonetic reduction is usually understood to mean not only durational shortening, but also articulatory undershoot resulting in consonant lenition, incre>202_word_end
202_word_end4. 같은 논문.
202_word_endtwo words are considered neighbors if they differ >102_word_end< deletion, insertion, or substitution of one segment
202_word_end5. 같은 논문.
202_word_endwords with many neighbors are recognized more slowly and less accurately than words with few neighbors
202_word_end...
202_word_endIt is e>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6, 7, 8, 9 또한 같은 논문.
202_word_end7~8은 재인용인데 꽤 많이 paraphr>202_word_end
202_word_endDell and Gordon 2003의 제목이 재미있다. Neighbors in the lexicon: Friends or foes?
202_word_endDell et al. 1997은 Lexical access in aph>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9가 논문의 주된 주장이다.
202_word_end
202_word_end
202_word_end+202_word_endhttps://www.phon.ox.ac.uk/jpierrehumbert/publications/clopper_JBP_j>202_word_end
202_word_endEffects of semantic predictability and regional dialect on vowel space reduction
202_word_end이라는 논문인데
202_word_end의미적 예측가능성이 영어의 각 방언별로 모음 공간 축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다룬 내용이다.
202_word_end초록을 훑어 보니, 본문에서 말했듯이 예측가능할수록 모음이 가운데로 몰리는 현상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데,
202_word_end북부 방언 화자들에게선 '202_word_endNorthern Cities shifting'이라는 모음 추이가 예측가능한 말에서 더 심하게 나타났다는 언급이 인상 깊다.
202_word_end
202_word_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