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큰 행사를 준비하면서 사소한 준비를 놓쳐서 틈새가 보일 때가 있다. '이것쯤이야. 이것은 무슨?'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에 문제가 될 때가 있다. 무엇이든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해도 행동으로 실천을 놓칠 때가 많다.작은 정성은 A4용지를 규격대로 가위질을 한다고 하는 작은 행동에도 적용된다. 이 작은 실천이 큰 파장을 가져온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겠지만, 작은 행동에 정성을 기울여서 하는'습관'이 중요하다. 이 습관이 체계화되어 있다면,어떤 장소, 무엇을 하든지 정성을 기울일 것이다.
교육 후 복귀를 하면서 체계화되지 않은 행동습관에 반성한다. '저런 것까지 왜 챙겨? 아니면, 간단한 저것이 무엇이라고 사무장님이 말씀하시는 거지?'라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이제 공무원을 시작하는 새내기에게는 작은 것이라도 알려주고 싶다. 혹여 누군가는 MZ세대는 묻지도 않지만, 일부러 알려주는 것조차 불편해한다고 말한다. 방법적으로 어떻게 말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조금은 부드럽게 , 조금은설득력 있게 말해야 한다. '사소한 습관' 중요성이 목적이 되어야 한다. 습관으로 체계화되는 반복적인 행동 주의점을 인지해야 하는 것이다.
나도 엄마가 처음이라 아이들을 키우면서 진정 소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을 가르치지 못했다. 책을 읽으면서 깨닫게 되는 가치의 소중함과 습관과 반복으로 정체성이 변화되는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결과'의 중요성보다 '과정'에서 복습과 반복 습관 만족감, 최선을 다한 노력에 대한 집중과 선택, 아침 일어나서 이불정리부터 시작되는 주변 정리정돈 습관등 부모가 진정으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작은 정성' 변화이다. 이제 습관형성 시기는 지나서 열정적으로 '정말 이것만은 해야 한다'라고 말하거나, 어른이 되어도 책 읽는 습관과 정리정돈만 해도 좋으련만 지금은 지나간 시간에 후회스럽다.
요즘 둘째 아들과 나는 작은 습관변화를 실천하고 있다. 자고 나서 이불정리 및 주변 자기 자리 정리정돈으로 서로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 쉽게 변화지 않는다. 기대보다는 아이와 관계를 더 중요하다고 늘 나에게 주지시킨다. '안된다'라고 말하기보다는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단어를 선택한다. 아들 귓가에 머물고 있을 테고 주의집중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시나브로 점점 더 적시고 있다. 언제 가는 변화할 것이라는 희망으로 함께 걸어간다. 언제 어디서나 '조급함'은 결코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운동할 때도 성급한 행동은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느긋하게 여유롭게 하는 사람이 선택과 집중에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운동도 본인 템포에 맞추어서 진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조금 더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카지노 게임 사이트 마음'이 쌓이면 몸과 마음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