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플레인베이글 Jun 23. 2019

오직 바라는 건, 카지노 게임 소소한 일상

쌍문동에 쓸모책방이란 곳이 있다. 몇달 전 이곳을 처음 알게 됐는데 문득문득 생각이 난다. 시골에 온 것처럼 조용하고 한적한 동네 주택가. 소박하지만 솜씨있게 고친 단독주택 한 켠에 마련한조그만 서점. 사장님은 이곳을 좁작서점이라 부른다. 1쩜5인용 서점이라 칭하기도 한다. 2명도 아니고, 1.5명 정도면 딱 좋다는 뜻이기도 하고 이곳이 대략 1.5평 정도라는 의미기도 하다. 1점이 아니고 1쩜이라 쓰시는 지는 모르겠다. 사장님을 뵌 적이 있는데 사실 1.5평도 조금 안 된다며 웃으셨다.


좁작서점은 사랑스러운 모습이다. 가게 앞에는 작은 화분과 화단이 있고 작은 창문에는 동사무소와 서울의 이런저런 기관에서 하는 행사 포스터가 걸려있다. 지난 번 갔을 때 본 포스터에는 "어르신 쌍문1동에 얽힌 옛날 이야기 좀 들려주세요~"하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기록공간쌍심지'란 곳에서 하는 프로젝트였는데 어르신들과의 만담 같은 토크쇼를 기획카지노 게임 싶던 터라 내심 반가웠다.

카지노 게임
카지노 게임
카지노 게임

좁작서점의 인스타그램 피드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흐뭇해진다. 특히 좋아하는 건 이 문구. "잠깐 빨래 널고 올게요. 바쁘시면 감나무를 향해 '저기요!' 하고 불러 주세요" 단정한 글씨, 배려하는 마음. 이런 문장을 A4지에 써 창문에 붙이시는데 종이 테이프에는 유모차 끌고가는 엄마, 고양이와 강아지, 꼬마 그림이 연속적으로 그려져 있다. 스팸깡통에 파종한 토마토 모종이 텃밭으로 옮겨가 구슬처럼 매달린 날, 나스메 소세키의

<도련님을 읽고 난 감상문도 올라온다.그 작은 1.5평 서점이 사장님께 선물하는 자유와 기쁨은 참으로 크구나 생각한다. 작은 공간을 결심하는 것이 더 어려운데 그곳에서 큰 쓸모를 발견하고 실행으로까지 옮기신 걸 생각하면 참 단단한 내면을 가지셨구나, 삶의 기준이 명확한 분이구나 싶다. 무엇보다 부러운 건 카지노 게임에서 읽고 느끼고 기록하는 시공간을 마련했다는 것. 하루하루 정신없이 사느라 이 세 가지를 마음껏 못카지노 게임 게 나는 내내 아쉽다.


그집에 다녀온 후 나중에 나이가 들면 집 한켠에 그렇듯 작은 서점을 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규모에서만 자유로워지면 생각보다 빨리 실현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쓸모의발견 사장님께 물어보니 요즘엔 작은 서점도 많고 큰 출판사에서도 유통 시스템에 신경을 많이 써 인터넷에 접속해 몇 분만 시간을 쓰면 손쉽게 필요한 책을 주문, 구비할 수 있단다.


만약 그런 책방을 한다면 나는 에세이만 취급하고 싶다. 다양한 사람들, 다양한 삶들, 다양한 생각들이 각각의 책으로 묶여 한 곳에 모인 공간은 웬지 정원이랑 비슷할 것 같다. 비슷비슷한 생김새지만 또 저마다 개성이 확실하고 향도 다른. 오솔길 걷듯 여유로운 마음으로, 입가에 미소도 한 번씩 지으며 읽기에는 역시 에세이만 한 것이 없고 내 공간이 그런 기쁨을 찾는 사람들로 채워지면 좋겠다. 여기까지 쓰고나니 집은 누가 준대? 에세이 팔아 월세나 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아, 돈으로만 상상력이 귀결되는 이 가여운 현실. 돈을 생각하니 계획이 턱 막히는 느낌이 드는데 한 십 년 또 열심히 살면 나도 작은 집과 그곳에 딸린1.5평 정도는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나이가 들수록 카지노 게임 일상을 향한 바람이 커져간다. 공연을 보고 온 날은 할아버지가 돼서도 이렇게 한 달에 한두 번 좋은 공연 즐길 만큼만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으면 좋겠다 싶고 맛있는 외식을 한 날은 또 이 만큼만 노년에 풍족했으면 좋겠다 싶다. 읽고 싶던 책을 사들고 오는 날은 한달에 책 10권 정도만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삶이었으면 하고...(그런 바람이 의식주 전반에 걸쳐 많긴 하다;;)


북유럽 국가들에게서 내가 가장 시샘하는 건 카지노 게임 일상이다. 그곳에서는 어느 날 갑자기 직장을 잃었다고 해서, 큰 병이 걸렸다고 해서 일상이 끊기지 않는다고 들었다. 그러니 평온한 일상을 더 평온하게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내 경우 친구들과 기분 좋게 술자리를 하면서도, 가족 여행을 마치고 행복한 상태로 돌아오는 길에도 불쑥 이런 생각이 들곤 한다.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일 할 수 있을까, 그 때는 뭐 먹고사나...행복의 순도를 떨어뜨리는 불순물 같은 걱정과 불안이 훅 하고 침투하는데 북유럽의 그들은 이런 순간이 우리보다는 적을 것 같다. 다함께 지켜야 할 최고의 가치가 '우리의 일상' 이외에 또 뭐가 있을까. 입법하고 행정하는 분들은 왜 그걸 모르는 걸까.


같은 서울, 그런데 어느 소읍처럼 고요한 기운이 흐르는 쌍문동 작은 서점의 소식을 보며 오늘도 대리만족을 한다. 옆집 자두나무에 열린 자두 소식이 올라왔는데 마당에 자두나무가 있는 집은 또 처음 보는 것 같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