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알겠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3차 대유행으로 전국이 몸살을 앓던 지난해 말, 연합뉴스 속보에서 '코호트 격리' 대신 '동일집단 격리'라는 표현을 쓴 것을 보고 등줄기에 벼락을 맞은 것 같은 짜릿함을 느꼈다. '동일집단 격리' 쪽이 단번에 와닿고 이해도 잘 됐다. 왜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에서 '쉬운 카지노 게임 사이트 사용에 협조해 달라'라고 매번 득달같이 이메일을 보내 다그치는지 알 수 있었다.
기자 일을 하다 보면 '쉬운 카지노 게임 사이트 사용에 힘을 보태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종종 받곤 한다. 발신자는 문체부 국어정책과. 내용은 기사 제목에 쓰인 외래어나 외국어를 쉬운 카지노 게임 사이트로 바꿔 달라는 요청이다. 제목이 너무 길어지면 한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서 불가피하게 외래어·외국어 단어를 쓸 때도 있고, 업계에서 이미 일상 용어처럼 통용되는 단어까지 순화의 대상으로 지목될 때도 있어서, '좀 억지스럽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다. 카지노 게임 사이트 순화의 순기능을 직접 겪어 보고 난 뒤에는 한 번이라도 더 고민을 하게 된다.
기자들이 무식해 빠졌다고 요즘처럼 욕을 많이 먹을 때가 없지만, 어쨌든 기본적으로는 단어와 문장과 활자를 가지고 먹고사는 사람들이다. 많은 양의 활자화된 정보를 접하다 보면 자연히 '남들도 다 아는 말'에 대한 기준도 올라가기 마련이다. 내가 아니까 남들도 다 알 것이라는 함정이다.
하지만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 순위라는 게 아직 살아 있을 무렵에 "이걸 정말 모른다고?" 싶은 단어들이 심심찮게 순위 창을 점령했던 일들을 생각해 보면, 어떻게 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기사를 쓸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게 맞겠다 싶다. 어쨌든 우리 작업물이 최종적으로 가 닿아야 하는 목적지는 독자 일반이기 때문이다. "독자가 중학교 3학년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쓰라"라는, 누가 가장 먼저 말했는지 모를 언론계 격언(?)도 있지 않은가.
언제부터인가 문체부 이메일 하단에는 이런 내용이 추가됐다. "처음에는 다 낯설게 느껴지지만 최근에 '코호트 격리'도 '동일집단 격리'로 다듬어 많은 언론에서 쓰다 보니 익숙해졌고, 국민들은 뜻을 더 잘 알 수 있다고 좋아합니다. 힘을 모아 주십시오."역시 나부터가 제목을 달 때 불필요한 외래어·외국어 순화에 더 공을 들이는 게 좋겠다. 올바른 카지노 게임 사이트 쓰기 문화에 힘쓰고 계신 공무원과 연구자 여러분,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