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철근육 Jul 10. 2018

정말로 회사에 카지노 게임 추천 사람이 더 많을까? (하)

현실을 직시하되 희망은 밝게 가지자.

상편 링크.

16화 정말로 카지노 가입 쿠폰에


흔들린 세계관을 다잡을 해법이 필요했다. 내 삶의 목표가 나로 인해 주변이 조금이나마 더 행복해지게끔 만들고 직장에선 좋은 사람이 힘을 발휘하게끔 만들자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우선 다수와 소수의 정의부터 살펴보기로 했다.






"다수"와 "소수"는 수리적 표현이다. 우리는 이 단어들을 생각할 때 막연하게나마 각자 가지고 있는 기준치 이상의 수를 다수로, 이하의 수를 소수로 판단한다. 이는 '주관적'이되 '절대적'인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상편에서 언급했듯 유사한 업무성향을 띠는 사람에게 조차 특정한 인물에 대한 평이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좋고 나쁨이 주관적이라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현실이 그렇다는 거다. 현실을 직시해야 개선이 된다.(주관성 반박 실패)


그렇다면 다음으로 주목할 것은 절대적 수치를 상대적 수치로 바꿀 수 있는지 여부다. 즉 단 한명이라도 좋은 사람이 나쁜 사람보다 많기만 하면 되는 것인지 생각 해 보자.






가장 단순한 예는 단순 다수결이다. 회사 의사결정을 이 방식대로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좋은 사람이 단 한명만 많아도 회사 모든 안건이 좋은 사람 뜻대로 이뤄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사가 갖고있는 의사결정 방식은 이보다 보수적이다. 정족수가 2/3라거나 만장일치를 원하는 경우도 있다. 즉, 단순히 수 개념을 상대적 비교치로 치환한다고 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절대성 반박 실패)






다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주관성'이다. 특정 대상을 바라보는 입장이 주체에 따라 달라진다는 특징말이다.


앞서 반박하려다 실패한 주관성은 각 개인의 입장에서 바라본 관점이다. 이를 약간 넓혀 회사에 모인 개인의 집단으로 생각해 보자.


각자가 좋아하는 사람들로 집합을 만들어 보자. 나는 김과장, 박차장을 좋아하고 내 동료는 이대리, 박차장을 좋아한다. 다만 둘 다 황과장을 싫어 한다. 여기서 좋고 싫은 것은 개인 감정의 호오가 아니라 (완전히 배제할 수야 없겠지마는) 업무에 대한 태도나 성향에 대한 것이다.


나와 내 동료가 모두 좋아하는 박차장은 흔히 생각하는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일 가능성이 크고, 둘 다 싫어하는 황과장은 '좋지 않은 선배'일 가능성이 크다.






이쯤 되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회사에서 '좋은 사람'이란, 내게 좋은 업무 영향을 주는 사람만의 집합이 아니다. 내가 인정하는 내 동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선배 집합과의 "합집합"이라고 봐야 한다.


위의 경우라면 아래와 같은 식이다.

{우리 회사 선배 전체}=S={김과장, 이대리, 박차장, 황과장}

{내게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A={김과장, 박차장}

{내 동료에게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B={이대리, 박차장}

{우리 회사의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A U B={김과장, 이대리, 박차장}

{좋지 않은 선배}=S-(A U B)={황과장}





쓰면서 괜히 집합부호를 쓰고했더니 무슨 편가르기처럼 돼버렸다. 하지만 하고싶은 말은 분명하다.


회사엔 카지노 게임 추천 사람이 더 많다.

적어도 당신과 맞는 동료가 적지 않고, 당신과 그 동료들에게 좋은 사람들이 많다면 말이다.


그러므로 현실을 직시하되 희망은 잃지 말자.

우선 카지노 게임 추천 동료 곁에 머물러라. 그리고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를 많이 만들어라.


카지노 게임 추천 선배 찾는 법은 여기를 참고!

14화 카지노 가입 쿠폰 카지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