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네 튀르머 《生이 보일 때까지 걷기》(살림, 2017)
잘 나가던 사무직 여성이 도보여행자로 변신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그녀는 트래킹을 하며 내면의 단단한 토대를 다졌고 세상과 관계 맺는 새로운 방식을 깨달았다. ‘여자 혼자’ 미국에서 가장 긴 3대 장거리 트레킹 코스를 걷는 것은 이를 위한 최선의 조건이었다.
첫 트래킹 도전에서 그녀는 젊고 근육질인 두 남성과 함께였다. 그녀는 잔뜩 기죽었다. 모든 면에서 자신이 그들보다 덜 준비됐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때 안내원이 위로(어쩌면 위로가 아닌 통계학적 사실)의 말을 건넨다.
그런데 통계적으로 보면 당신은 완주할 가능성이 가장 큰 사람이에요. 여성이고, 혼자라는 점에서요. 혼자 여행하는 여자들은 준비를 정말 철저히 해 오거든요. 게다가 이들에게는 누군가에게 뭔가를 증명해 보여야 한다는 부담감도 없어요.
조금 더 직접적인 동료의 말도 있다.
남자 둘이 걷다 보면 어느 쪽에서도 휴식을 취하고 싶다거나 좀 천천히 걷자는 말을 꺼내지 않아요. 자신이 더 빠르고 강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싶어서죠. 그러다 보면 카지노 게임 일이 점점 더 경쟁으로 치닫게 돼요.
위 말에 책의 거의 모든 메시지가 압축되어 있다. 주인공은 남들과 경쟁‧비교하며 괴로워하지 않는다. 길 위에서 단단한 내면을 다져나가고 이를 기반으로 타인‧세계와 카지노 게임 맺는다. 모든 껍데기를 벗어내고 세상과 직접 소통하며 삶의 감각을 재조정한다.
이 모든 게 ‘카지노 게임’에게 더 유리하다. ‘카지노 게임’라는 범주는 관성적인 관계 맺음 방식에 익숙한 ‘남자’의 타자로해석되어야 한다. 경쟁‧비교로만 맺어지는 관계에 소외감과 불만을 느끼는 모두가 ‘카지노 게임’다. ‘카지노 게임’는 생물학적 근거라기보다는 기존의 남성적(폭력적) 관계를 거부하는 모두에게 부여할 수 있는 이름이다. ‘카지노 게임’ 범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아래의 인용구도 다르게 보일 것이다. 필요한 건 ‘현실적인 두려움’이 아니라 ‘과감한 결단’이다.
카지노 게임들이 돌아다니기에 위험하기로 치면 이렇게 외진 트레일보다 미국 전역의 대도시들이 훨씬 더하죠. … 그런데도 많은 카지노 게임가 두려움 때문에 주저하죠. 전혀 그럴 필요가 없는데 말이에요.
당장 모든 걸 때려치우고 트래킹에 도전해야만 그녀의 깨달음을 공유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트래킹은 하나의 은유다. 비교‧경쟁이 앗아간 삶의 가능성을 안타까워하는 사람, 폭력적인 관계에 지친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트래킹을 시작할 수 있다. 트래킹의 은유를 내 삶에서 무엇으로 대체할지는 본인의 선택이다.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행복감” 대신 “지극히 직접적이고 육체적인 체험”을 중시하기만 하면 된다. 머리로 계산한 것보단 몸으로 익힌 감각이 오래가는 법이다.그 과정에서 만나는 동료는 최고의 선물이다.
스루하이커들에게는 모두 나름의 사연이 있지 않나. 당신들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재미있는 책을 읽는 기분이야.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리는 수고도 할 필요 없지. 책들이 스스로 카지노 게임를 찾아오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