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뭐 먹지?
초콜릿케이크, 남은거있잖아? 그거간식으로주면되겠네. 점심은아이들이학교에서먹고오니까남편이랑둘이매운걸먹을까? 혹은비계가들어간건너무싫어하니까아무래도그건어른이먹지뭐. 하루세번식사를하는데왜여섯끼를먹는것같은느낌이들까. 홈오피스를하는남편이아무리다이어트를한다고는하지만, 점심도은근히차려내야하는느낌이다. 얼마전, 조깅메이트에게나오전에도남편토스트내가만들어, 하는말에너무나놀라눈이빠질것같던친구의표정이식사준비때마다떠오른다.
혼자살지않는다는말은책임감에관해자유롭지않다는말이다. 내가이끄는사람들이셋이라서내가건강해야한다. 내가멀쩡해야하루가멀쩡하다. 하루가멀쩡하면나의사람들도다행히모난데없이즐거워보인다. 이런하루는어느정도성공적이라는것. 그래서무엇을해먹어야하고어떤요리를해야하는지에대한고민은단순히아무거나먹는메뉴고민이아닌, 어떻게하루를보낼것인지에대한이야기가된다. 오늘뭐먹지? 생각하는것, 그리고장을보고음식을준비하는것이모든과정은절대로혼자만의것이아니다.
엄마가되자마자나는작은어른이되었다. 배우지도, 연습하지도않았는데태어난지얼마되지도않는아기에게“엄마가해줄게.”라는말을시도때도없이했다. 이름을불러줘야진짜정체성을갖는다는말이떠오른다. 그러면나도조금은늦게‘책임있는엄마’가되었을것같기도하다. 아이들이말을하기시작하면서정확한발음으로엄마라고나를불렀을때부터아무래도. 결국앞서가던나의생각이나의정체성을만들었다. 게다가여기에스스로를구원하고자하는일련의책임감은나를더책임있게만들었다.
결국남편은요리를영영못하게되었고, 현재까지아이들은엄마에대해덜독립적이며, 나는몸이쉽게피곤해지는사람이되었다. 그런데도난오늘뭐먹을까? 를시작으로하나부터열까지내가엄마로서해야할일을나열한다. 자, 이제가장먼저커피원두, 치실, 비타민, 냉동만두를사러나가볼까?
커피는 잠깐의 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