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문화
머릿속 실험 한 가지로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이상적인 기업 문화란 어떤 모습일까? 직원들은 자기 일을 사랑해야 할 것이다. 출근하는 것을 너무나 즐기는 나머지, 공식적인 근무 시간이라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고 아무도 시계를 보지 않아야 한다. 사무실은 책상마다 구획이 나뉜 것이 아니라 뻥 뚫려 있고, 직원들은 사무실에서 편안함을 느껴야 할 것이다. 어쩌면 캐비닛 수보다 편안한 소파와 탁구대 수가 더 많아야 할 것이다. 공짜로 마사지를 받을 수 있고, 초밥 요리사가 출장을 오고, 거기에 요가 수업까지 열린다면 분위기는 더욱 화기애애할 것이다. 애완동물도 데려올 수 있어야 한다. 회사의 비공식 마스코트가 되어버린 사무실의 대형 열대어 수조 옆에 직원들이 데려온 개와 고양이들이 앉아 있을 것이다.
자, 이 그림에서 뭐가 잘못되었을까? 이 중에는 실리콘밸리 때문에 유명해진 말도 안 되는 특전도 몇 가지 들어 있다. 하지만 아무것도 실체가 없다. 실체가 없다면 특전은 아무 소용도 없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를 고용해사무실을 아름답게 꾸며봐도, '인적자원 관리'에 통달한 컨설턴트를 고용해사내 정책을 고쳐도, 브랜드 전문가를 불러 유행어를 만들어도 의미 있는 성과는 나오지 않을 카지노 게임.
'기업 문화'란 기업 자체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 문화를 '가진' 회사는 없다. 오히려 모든 '회사자체가' 하나의 기업 문화다. 신생기업이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하나의 팀으로 뭉친 것이다. 훌륭한 기업 문화란 그것이 회사 내에서 드러난 모습일 뿐이다.
출처 : 피터 틸, 블레이크 매스터스, 『제로투원』, 이지연 옮김, 한국경제신문(2021), p157-158.
피터틸과 블레이크 매스터스의 책 제로투원에서는 신생 기업이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하나의 팀으로 뭉친 것이라고 하며 훌륭한 기업 문화란 그것이 회사 내에서 드러난 모습일 뿐이라고 한다.
전 글에 파이코노믹스에 플라이휠 전략을 접목하여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ceo가 되어야겠다고 적었다.나는 이를추구하는 사람들이 하나의 팀으로 뭉친 신생 기업을만들고 싶다. 또한 이를 추구하는 것이 회사 내에서 드러나 휼륭한 기업 문화가 되면 좋겠다.
함께 하면 이익인 사슴사냥카지노 게임
사슴사냥카지노 게임은 조건을 달리하면 협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카지노 게임에서 사슴을 사냥하기 위해서는 두 명의 사냥꾼이 힘을 합쳐야 한다. 하지만 토끼 사냥은 혼자 할 수 있다. 사냥꾼 A와 B가 함께 사슴을 사냥하기로 약속했는데, 갑자기 그 옆으로 토끼 한 마리가 지나간다. 이 때 토끼와 사슴 중 무엇을 함께 잡아야 할까? 사냥꾼 A, B의 선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함께 사슴을 잡으면 둘 다 4의 이득을 얻는다. 하지만 한쪽이 배반하면, 배반하는 사람은 2를 얻는다. 둘 다 배반하면 각각 2를 얻는다. 둘이 협력하면 둘 다 4의 이익을 얻지만, 배반한다면 2밖에 얻지 못하므로 협력을 하게 된다. 이럴 경우 사회적 협력이 생기는 것이다. 카지노 게임이 반복되거나, 서로 협력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이기적인 사람이라도 협력을 할 수밖에 없게 된다. 죄수의 딜레마와 공유지의 비극에서 벗어날 길이 보이는 것이다.
2009년 여성 최초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정치학자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 1933~)은 실제 공유지의 비극을 넘어선 사례를 찾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는 미국, 캐나다, 터키, 일본 등의 많은 지역에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공유자원을 잘 관리해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한 사실을 발견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메인주 연안의 바닷가재잡이 어부들이었다. 이 지역은 1920년 대 이미 남획으로 인해 바닷가재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 이를 깨달은 어부들은 바닷가재 통발을 놓는 규칙과 순서 등에 대한 자치 규율을 만들어 바닷가재 잡는 양을 조절했다. 이 결과 다른 지역이 남획으로 바닷가재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이곳만은 어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카지노 게임에선 경제활동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협력, 그리고 배신을 수학적으로 보여 준다. 사람의 이기심과 이타심을 해석하는 데에도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공유지의 비극과 카지노 게임- 이기적인 인간의 배신 (수학산책, 김종립, 수학동아)
카지노 게임은 공유지의 비극(개인의 이익 추구가 모두의 이익을 깎아내리는 현상), 죄수의 딜레마(협력할 때 서로 가장 이익이어도, 이기적인 마음으로 인해 서로에게 불리한 상황을 선택) 같이 부정적인 예시도 있지만 사슴사냥카지노 게임처럼 긍정적인 예시도 있다.사슴사냥카지노 게임의 경우 협력하면 둘 다 더 큰 이익을 얻는다.
이처럼 협력하여 파이코노믹스에 플라이휠 전략을 접목하여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면 더 많은 파이 키우기가 가능할 카지노 게임. 협력하여 더 많은 파이를 키우기 위해노력하는 ceo가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