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한글판 2022년 7-8월호에는 눈에 띄는 생각의 도구가 있었다. 둘 다 무료 카지노 게임 혹은 매트릭스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이를 주제로 글을 써본다.
하나는 <디지털 시대, 충족되지 않은 니즈를 찾아라 기사에 등장하는 사분면 프레임워크다. 주류와 비주류 사용자라는 축, 그리고 깊이 들여다 보는 줌 인 방법과 넓게 보는 줌 아웃이라는 축을 활용해 사고를 4분면으로 나눴다.
그리고기억하기좋게현미경, 파노라마, 망원경, 만화경등으로비유하여상징화시켰다. 이렇게사고의틀을짜려고 시도해보면 가장 먼저축을설정할수있는지묻게 될 듯하다. 내가쟁점이라생각하는요인이정말그러한지훑어보기위해축을그려보려 할 테니까. 추정이지만그렇게해보면내생각이지엽적이거나모호한경우쉽게감지가될듯하다.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즉, 빠짐없이망라하는사고를도울수도있지않을까?
<린 분석 함께 읽기에서 다뤘던 로널드 럼즈펠드의 4분면 프레임워크도 있다. 저자는 이런 사분면 고안에 대해 숨은 천재성이라고 극찬했다.
역시 사고의 엄밀함을 확인할 때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점검표라 할 수 있다.
HBR 같은 호의 또 다른 기사인 <고객 여정에 대한 오해안에 고객 여정 매트릭스라는 이름의 또 다른 사분면 프레임워크가 있다.
앞서보았던네가지시야처럼무료 카지노 게임을나누고적절한상징을만들어주는이름을붙였다. 물론무료 카지노 게임에담기는생각이나대상은다르다. 서로다른두개의무료 카지노 게임의공통점만추출해서그쓰임을보려고 쓰는 글이다. 그래서 패턴만 추려보면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 집합을 잘 설정하고 있나 물을 때 쓰는 틀로 사분면이 유용하구나 싶다. 그리고 그렇게 무료 카지노 게임을 설정하고 나면집합의요소가되는생각만하도록가이드하는쓰임새를갖는다.
만들면 좋지만, 언뜻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자주 보던 것을 모방하는 방법으로 만들면 더 수월할 듯하다. 매트릭스를 키워드로 구글링했더니 영화 매트릭스 탓에 바로 결과나 나오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매트릭스를 찾아볼 수 있었다.
플랭클린 다이어리 쓰면서 배웠던 내용인데 그 이름이 '아이젠하워 매트릭스'였는지는 몰랐다.
콘텐츠 마케팅 매트릭스란 것도 있었다.
사분면으로도 몇 가지 찾을 수 있었다. HBR에 소개된 몇 가지 사분면(혹은 매트릭스) 내용이 아니라 사고의 틀로써 이들을 좀 훑어 보았다. 향후에 경험이 생기면 이들을 상황에 맞춰 어떻게 쓰는지 다뤄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