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왜 다이어트는 늘 실패할까?
다이어트를 해야 하긴 하는데..
그렇지만 도저히 다이어트 의지가 생기지 않으신가요?
의지가 부족하다고만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다이어트 의지가 생기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고
음식에 관한 자기 카지노 가입 쿠폰을 기르는 법을배워보겠습니다.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 균형이 깨지면서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하기 어려워집니다. 대신, 평소에 하던 습관적인 행동을 더 하게 만들죠.(1),(2)
예를 들어, 배가 고프지 않아도 무의식적으로 음식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 그 행동을 무심코 할 가능성이 큽니다.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을수록 기존의 습관적인 행동을 더 부추깁니다. 그래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이런 불필요한 식습관을 고치기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나쁜 습관을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 카지노 가입 쿠폰요?
위에 이미 답이 있듯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체내 환경을 안정적인 상태로 잘 만들어내야 합니다.내 몸과 마음이 안정적이어야 좀 더 쉽게 의식하고 좋은 행동을 할 여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체중, 사이즈와 같은 수치에 '집착'하는 것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니 그것은 더욱이 '지양'해야겠지요?
우리가 살면서 불안과 스트레스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누구에게나 스트레스는 찾아옵니다.
그렇다면 이를 무조건 긍정적이 게만 생각카지노 가입 쿠폰 것이 좋을까요?
내 감정을 알아차리기도 전에 억지로 긍정적이게 생각하려 하면 오히려내 감정을 부정카지노 가입 쿠폰 일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어쩌면 스트레스는 우리의 내면을 알아차리는 좋은 기회일지도 모릅니다.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해 보는건 어떨까요?
당신의 '감정'은 충분히 옳기 때문입니다.
한 사람이 제대로 살기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할 스펙이 감정이다. 감정은 존재의 핵심이다. 한 사람의 가치관이나 성향, 취향 등은 그 존재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중요한 구성 요소들이지만 그것들은 존재의 주변을 둘러싼 외곽 요소들에 불과하다. 핵심은 감정이다. 내 가치관이나 신념, 견해라는 것은 알고 보면 내 부모의 가치관이나 책에서 본 신념, 내 스승의 견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내 감정은 오로지 '나'다. 그래서 감정이 소거된 존재는 나가 아니다. 희로애락이 차단된 삶이란 이미 나에게서 많이 멀어진 삶이다.[1]
평소 제 아무리 합리적인 사람도 그가 한 행동 뒤의 마음을 제대로 공감받지 못하면 그다음 합리성과 논리성이 제대로 작동카지노 가입 쿠폰 않는다. 그논리성은 오히려 삐뚤어진 마음을 옹호카지노 가입 쿠폰 궤변을 펼치는데 동원돼 본질과는 더욱 멀어진다. 평소 스마트한 사고와 태도로 인정받던 사람이 이해 불가할 정도로 억지와 비상식을 주장카지노 가입 쿠폰 경우, 공감받지 못해 그럴 가능성이 높다.[2]
공감은 타인도 해줄 수 있지만 스스로에게도 해줄 수 있습니다.
스스로의 감정을 오로지 공감할 수 있다면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그 후에어쩔 수 없는 것에 집중하기보다 할 수 있는 것에 집중카지노 가입 쿠폰 것이 중요하죠.
나의 내면을 절대로 무시하지 마세요.
글을 쓰거나 명상을 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내 안의 아이가 카지노 가입 쿠폰 소리에 귀 기울여보세요.
그리고 꼭 나를 위한 주체적인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의지력은 무한카지노 가입 쿠폰 않습니다. 한정된 에너지가 소진되면 이성이 흐려지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기 쉬워집니다.(3)(4)
우린 흔하게 다이어트 상황에서 이런 상황을 겪습니다. 단순히 먹고 싶은 것을 잘 참고 억제하고 있었다가도, 결국 의지력이 바닥날 때 폭식을 경험합니다. 그렇게 자기 카지노 가입 쿠폰을 실패했다며 원망하곤 하죠.
그렇다면 우리가 정말 자기 카지노 가입 쿠폰을못한 탓일까요?
2)스트레스: 특히, 불확실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자기 통제를 방해합니다.(5)
3) 수면 및 휴식 부족: 충분한 휴식을 취카지노 가입 쿠폰 않으면 전두엽에서 뇌활동이 변화합니다. 그 결과, 보상을 추구하려고 하고 부정적인 건강 결과(ex. 탐닉성 음식 소비 증가)를 촉진카지노 가입 쿠폰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6)
4) 강박: 반복적으로 해오던 습관적인 행동을 고치기 어렵게 합니다.(7)
5) 정신적 질환: 불안, 우울증 등의 정신 건강 문제가 실행기능을 저하시킵니다.(8)(9)
위와 같은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우리의 이성이 흐려지고 충동적인 행동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해결하고 나서 진정 나를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음식을 카지노 가입 쿠폰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힘들지 않을 정도의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반복하며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습관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그 시작은 바로'나에게질문하기'입니다.
음식을 섭취하기 전엔 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세요.
- 카지노 가입 쿠폰 지금 배가 고픈가?
- 배고프지 않다면 왜 먹고 싶은가? (=지금 무슨 상태인가)
- 무엇이 먹고 싶은가?
- 어떤 음식을 먹어야 만족감을 느끼겠는가?
식사 시간이 되어 배고프면 만족감이 높은 음식을 먹고, 배고프지 않다면 내가 왜 먹는 행위를 하려는지 알아차리기만 해도 불필요한 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더 나아가이유를 알고 그것을 음식이 아닌 방법으로 해결하시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남이 건강하다고 말하는 음식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몸 상태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카지노 가입 쿠폰만 같은 음식이라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야채와 고구마는 어떤 사람에겐 소화를 방해하고 복부팽만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음식을 먹고 나서도나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을 곱씹으며 섭취한 후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세요.
- 어떤 점이 입맛을 만족시켰는가?
- 포만감이 어떤가? 오래가는가?
- 먹고 나서 속이 편한가? 더부룩한가?
- 다음 날 배변은 원활했는가?
이러한 질문을 기록하면 자신의 몸 상태를 살피고 나에게 맞는 음식 종류와 적절한 양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좋은 컨디션과 활력이야말로 꾸준한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확실한 기반입니다.(10)(11)(12)반대로 컨디션이 나쁘면, 사소한 일조차 애쓰는 일이 되어버리죠.(13)
활력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결국 잘 먹고 잘 자고 잘 움직이며 주체적이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를통해 신체적·정신적 컨디션을 최적화하면, 이는 더 나은 자기 카지노 가입 쿠폰력과 행동의 지속성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우리는체중 감량목표보다 건강한 신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내 몸은 왜 다이어트를 거부할까?]에서도 본능과 맞서지 않는 건강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좋은 컨디션과 활력을 추구하면, 몸의 본능을 거스르지 않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건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그러니 또한 이를 아니 추구할 수 없겠지요?
1)내면에 귀 기울이고 감정을 수용하며 주체적이게 나아가세요.
2)'나에게 질문하기'를 통해 나에게 맞는 음식 종류와 적절한 양을 찾아가보세요.
3)체중 감량을목적으로 두지 말고 최상의 컨디션유지를 위한 행동을 하여 건강한 신체 환경을 조성하세요.
결국, 성공적인 다이어트의 핵심은 몸과 마음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두는 것입니다.
각주
[1],[2] 정혜신 교수의 《당신은 옳다》책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1) Schwabe L, Wolf OT. Stress-induced modulation of instrumental behavior: from goal-directed to habitual control of action. Behav Brain Res. 2011 Jun 1;219(2):321-8. doi: 10.1016/j.bbr.2010.12.038. Epub 2011 Jan 8. PMID: 21219935.
(2) SchwabeL, Wolf OT. Socially evaluated cold pressor stress after instrumental learning favors habits over goal-directed action. Psychoneuroendocrinology. 2010 Aug;35(7):977-86. doi: 10.1016/j.psyneuen.2009.12.010. Epub 2010 Jan 13. PMID: 20071096.
(3) BaumeisterRF, André N, Southwick DA, Tice DM. Self-control and limited willpower: Current status of ego depletion theory and research. Curr Opin Psychol. 2024 Dec;60:101882. doi: 10.1016/j.copsyc.2024.101882. Epub 2024 Sep 5. PMID: 39278166.
(4) BaumeisterRF. Ego depletion and self-regulation failure: a resource model of self-control. Alcohol Clin Exp Res. 2003 Feb;27(2):281-4. doi: 10.1097/01.ALC.0000060879.61384.A4. PMID: 12605077.
(5) LempertKM, McGuire JT, Hazeltine DB, Phelps EA, Kable JW. The effects of acute stress on the calibration of persistence. Neurobiol Stress. 2017 Nov 22;8:1-9. doi: 10.1016/j.ynstr.2017.11.001. PMID: 29214188; PMCID: PMC5709305.
(6) DorrianJ, Centofanti S, Smith A, McDermott KD. Self-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during sleep deprivation. Prog Brain Res. 2019;246:73-110. doi: 10.1016/bs.pbr.2019.03.010. Epub 2019 Apr 10. PMID: 31072564.
(7) GillanCM, Morein-Zamir S, Urcelay GP, Sule A, Voon V, Apergis-Schoute AM, Fineberg NA, Sahakian BJ, Robbins TW. Enhanced avoidance habit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iol Psychiatry. 2014 Apr 15;75(8):631-8. doi: 10.1016/j.biopsych.2013.02.002. Epub 2013 Mar 16. PMID: 23510580; PMCID: PMC3988923.
(8) BassoMR, Bornstein RA, Carona F, Morton R. Depression accounts for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Neuropsychiatry Neuropsychol Behav Neurol. 2001 Oct-Dec;14(4):241-5. PMID: 11725218.
(9) Billingsley-MarshallRL, Basso MR, Lund BC, Hernandez ER, Johnson CL, Drevets WC, McKee PA, Yates WR. Executive function in eating disorders: the role of state anxiety. Int J Eat Disord. 2013 May;46(4):316-21. doi: 10.1002/eat.22086. Epub 2013 Jan 28. PMID: 23354876.
(10) LaoSA, Kissane D, Meadows G. Cognitive effects of MBSR/MBCT: A systematic review of neuropsychological outcomes. Conscious Cogn. 2016 Oct;45:109-123. doi: 10.1016/j.concog.2016.08.017. Epub 2016 Aug 28. PMID: 27580462.
(11) SilvaMN, Vieira PN, Coutinho SR, Minderico CS, Matos MG, Sardinha LB, Teixeira PJ.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women. J Behav Med. 2010 Apr;33(2):110-22. doi: 10.1007/s10865-009-9239-y. Epub 2009 Dec 11. PMID: 20012179.
(12) PatrickH, Williams GC. Self-determination theory: its application to health behavior and complementarity with motivational interviewing.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2 Mar 2;9:18. doi: 10.1186/1479-5868-9-18. PMID: 22385676; PMCID: PMC3323356.
(13) Ickmans K, Clarys P, Nijs J, Meeus M, Aerenhouts D, Zinzen E, Aelbrecht S, Meersdom G, Lambrecht L, Pattyn N.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performance,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in women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J Rehabil Res Dev. 2013;50(6):795-810. doi: 10.1682/JRRD.2012.08.0156. PMID: 2420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