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海街diary)] 리뷰
때때로 사람들은 ‘상처’에 대해 무지하다. 타인의 상처는 물론, 자신의 상처까지도 방치하거나 모른 척하기 일쑤다. 가장 가깝다는 이유로 더욱 곪을 수밖에 없는 상처를 가진 이들. 상처를 마주하고 인정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진짜 가족이 되었다. 영화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이야기다.
고에레다 히로카즈 감독의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작은 바닷가 마을 카마쿠라에 살고 있는 세 자매 사치(아야세 하루카 분), 요시노(나가사와 마사미 분), 치카(카호 분)가 15년 전 가족을 떠난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홀로 남겨진 이복동생 스즈(히로세 스즈)를 만나면서 시작된 네 자매의 새로운 일상을 담아낸 가족 드라마다.
첫째 사치는 돌아가신 아버지의 장례식장에 가는 것도 자매들과 연락을 끊고 지내는 어머니도 탐탁지 않다. 남자친구의 권유로 아버지의 장례식장에 간 그는 울기만 카지노 게임 새어머니와 묵묵히 곁을 지키는 이복동생 스즈를 지켜보며 자신과 똑 닮았다고 여긴다. 오랜 간호사 경력을 가진 사치는 묵묵히 아버지의 병수발을 들었을 이가 새어머니가 아닌 이복동생 스즈였음을 직감하고 조용히 슬픔을 삭히는 이복동생에 측은함을 느낀다. 아버지에 대한 미움도, 추억도 어느덧 희미해졌지만 홀로 남겨진 이복동생 스즈가 마음이 쓰였던 사치는 스즈에게 함께 카마쿠라로 떠날 것을 제안한다.
예의 바르고 조숙한 스즈는 자신을 거둬준 언니들에게 고마움을 느끼지만 세 자매의 추억이 깃든 공간에서 홀로 낯섦을 느끼기도 한다. 또 자신의 존재 자체가 언니들에게 카지노 게임라고 생각,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을 숨긴다.
영화는 담담하게 상처를 입은 이들과 그들이 어떻게 상처를 대하는지 그 치유의 과정을 보여준다. 네 자매의 성장 과정과 따듯한 일상은 영화 속 계절과 더불어 ‘매실주’로 비유되는데 이는 할머니가, 어머니가, 언니가 만든 매실주가 익어가듯 시간에 따라 익어가는 이들의 성장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과정은 무리하지 않아도, 강요하지 않아도 큰 드라마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치, 요시노, 치카 세 자매가 스즈를 받아들이는 모습과 스즈가 세 자매와 동화되는 모습은 느리지만 짙은 여운을 남긴다. 특히 사치가 요시노, 치카의 성장 흔적이 담긴 벽면에 스즈의 키를 재고 적는 장면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말하고자 했던 가족의 탄생 결말이기도 하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한적하고 평화로운 바닷마을을 보는 순간 제주도의 탑동의 방파제 너머의 바다가 떠올랐다. 어쨌거나 바닷가 시골마을의 각자의 개성이 뚜렷한 네 자매 사치(아야세 하루카), 요시노(나가사와 마사미), 치카(카호), 스즈(히로세 스즈)의 이야기는 아름답게 펼쳐지는 마을의 사계와 함께 조용히 가슴을 물들인다. 부모에게 버림받고 그들에 대한 추억으로 성장해 가는 세 자매에게 뜬금없는 동생이 생기고 그 동생 역시 버림받을꺼라는 마음에 함께 가족이 되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영화는 그녀들이 가족이 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잔잔하고 조용하지만 힘있게 관객들의 마음을 치유한다.
특히 전혀 다른 성격의 세 자매와 "자신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처 받는다."는 자책감에 시달린 스즈가 세 언니들의 보살핌에 가족으로 스며드는 과정은 참 예쁘다. 스즈에게는 소중한 아빠의 추억이 치카에게 기억이 되지 못하고, 사치에게는 자신의 가족을 버리고 떠난 애증이라는 사실이 가슴 아프다. 이런 불편한 가족관계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그걸 넘어 부모를 용서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극중 대사의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 행복하다."가 울림이 된다. 잔잔하지만 지루하고 않게 사랑스러운 그녀들을 지켜보게 만드는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