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도 리뷰
영화 <사도의 힘은 익숙함에 있다. 뒤주에 갇혀 굶어죽은 사도세자와, 그것을 명령한 영조의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므로 <사도는 굳이 이 이야기를 설명하거나, 관객을 설득할 필요가 없다. 영화를 관객의 눈치를 보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원하는대로 장면을 그려낸다. 매 장면 장면이 감정의 극단으로 치닫아도 이야기는 여전히 견고함을 유지한다. 그 견고한 기반 위에서 사도세자의 한맺힌 울음소리가 울려퍼진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고, 또 잘 알려진 역사적 사실이다. '사도'는 '어떤 순간에도 왕이어야 했던 아버지 영조와 단 한 순간이라도 아들이고 싶었던 세자 사도, 역사에 기록된 가장 비극적인 가족사'를 그리고 있다고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아버지'는 똑똑한 사람이었다. 조선 왕조를 통틀어 '성군'으로 불리는 몇 안되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처음부터 왕은 아니었다. 취약한 기반으로 시작했으나, 운과 노력과 협상과 균형을 통해 왕의 자리를 확보하고 유지해왔다. 일종의 '자수성가'라고 해도 될 수 있으리라. 이 위대한 아버지 아래에 총명하지만, 아버지만큼은 못한 아들의 삶이 시작된다.
아버지는 아들이 못마땅하다. 자신은 그보다 잘났었기에. 자신은 그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서도 공부했었으나 더 좋은 성과를 냈었기에. 충분한 환경을 제공받고도 그만큼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아들이 그저 모자라 보일 뿐이다. 아들에게는 그래도 아버지에게 잘 보여 인정받고 싶은 마음과, 모든 것을 때려치우고 반항하고 싶은 마음이 동시에 있다. 이 양가적인 감정이 대립하고, 결국 분열한다. 그것이 아들이 '미친 세자'가 된 경위이다.
<사도의 핵심은 이 이야기가 오롯이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라는 데에 있다. 영화는 내내 그 단순함과 순전함을 유지해간다. 정쟁도, 모략도 배제한 가족 드라마이다. 재조명이자, 정석으로의 회귀이다. 왕이고자 한 아버지와, 자식이고자 한 세자의 이야기. 세자를 원했던 왕과, 아버지를 원했던 아들의 이야기. 엄격한 아버지와 미쳐버린 아들의 이야기이다. 사도세자의 이야기와 영화 <사도가 우리 세대에까지 울림을 주는 것은 바로 이 '단순함'으로부터 기인한다. 왕과 왕자의 이야기를, 어느 부자간에나 있을 수 있는, 아니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파더 컴플렉스의 이야기로 풀어낸 것이다. 왕가의 이야기가 모두의 이야기로 바뀌는 지점이다.
그렇게 우리도 이 카지노 게임 사이트의 한 일부가 된다. 자수성가해서 자존심 강한 아버지와 그 기대에 충족하지 못하는 아들들이 이 영화를 보고 운다. 88만원 세대밖에 되지 못한 이들이 울고, 잘 먹이고 학원 다 보내주고 공부시켰으나 '이것 밖에' 되지 못한 이들이 운다. 세상은 냉정하기에 우리는 더욱 강해져야 한다고만 배워왔던 이들과, 아버지의 관심과 인정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 해왔던 이들이 운다. 저 한 서린 눈물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같이 흘린다. 허공으로 날아가는 저 화살이 얼마나 떳떳한가.
흔히 영화에 대한 감상을 물을 때 '잘 봤냐' 혹은 '재미있었냐'는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사도'에 대해 같은 질문을 받는다면 '잘 봤다'는 말에는 여지없이 고개가 끄덕여지지만, '재미있었냐'는 물음에는 잠시 생각을 더하게 된다. 어느 하나의 표현으로 쉽게 정의내릴 수 없는 작품이 <사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