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보이고 싶은지를 정하면 어떻게 말할지가 나온다
카지노 게임amp;톤, 그거 그냥 빛 좋은 개살구 아닌가요?
UX라이팅에서 보이스&톤에 대한 내 생각을 한마디로 말하면, 바로 유명무실이었다. 이렇게, 저렇게 그럴싸하게 표현할 순 있지만, 현실에선 막상 써먹지 않는 도구에 불과하달까. 어찌어찌 보이스&톤을 정하더라도 실무에서 과연 얼마나 보이스&톤을 의식하고, 적용하고 있는지를 묻는다면 "글쎄?"라는 회의적인 반응만 나올 뿐이었다. 솔직히 패션/금융/F&B/자동차 앱에 쓰인 UX라이팅을 같은 산업군별로 모아놓고 블라인드 테스트를 한다면 텍스트만 보고도 특정 브랜드를 떠올릴 수 있을까? I don't think so.
텍스트만으로는 브랜드 간 변별력이 사라진 지 오래라고 생각한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나 내가 하고 싶은 말은, 텍스트만 보고도 브랜드를 떠오르게 할 수 있으려면 보이스&톤은 결국 브랜딩 그리고 콘텐츠와의 접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그리고 보이스&톤+브랜딩+콘텐츠 3가지를 함께 버무린 UX라이팅은 비로소 고유의 색을 띠게 된다고 믿는다.
그런데 나는 왜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걸까?
새로운 환경에서 일을 시작한 지 3개월 차에 접어들면서 어느덧 적응이란 걸 하고 보니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깊이 생각할 여유가 생겼는데 그중 하나가 보이스&톤이었다. 사실 보이스&톤 이야기만 나오면, 속으로 그랬다. 또, 또, 또 뻔한 이야기들 하고 앉아 있네....라고. 그런데 '내 브랜드'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보이스&톤을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UX라이팅에 적용하다 보니 조금씩 생각이 바뀌어 갔다. '어랏? 꽤 필요한 개념인데?'하고. 여기서 중요한 건, 카지노 게임의 변화가 생각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사실이다.
그렇다. UX라이터로서 나의 카지노 게임가 달라졌다. ①내 브랜드라는 인식. ②여기에 어떻게 보이스&톤을 녹여 넣을 것인가 라는 의식 그리고 이를 라이팅에 ③적용하는 것. 이 3박자가 실제하는 보이스&톤을 만들어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건 UX기획자&콘텐츠 에디터들과 함께 소규모 단위의 과업을 진행하면서다. 과업의 시작과 진행과 마무리를 위해 중간중간 소소한 미팅을 진행하면서 '나 자신'의 보이스&톤을 먼저 톺아봤다. 나는 최선을 다해 해답을 나누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상대를 설득하지 못한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봤다. 부끄럽지만, 3박자에 대한 확신이 부족했고, 해답을 꺼내 보이는 카지노 게임 또한 매끄럽지 못했다. 그런 나 자신을 돌아보며 깨달은 것 하나는 내 속에 진짜 다이아몬드가 들어있다 해도, 어떤 모양으로 나타내느냐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값어치가 달라진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카지노 게임를 바꾸었다. 마음을 정비했고, 다이아몬드를 담는 그릇을 바꾸려고 노력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카지노 게임가 달라지자 그에 걸맞은, 나만의 보이스&톤이 수면 위로 제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를 먼저 생각하면
그에 걸맞은 목소리와 톤은 자연스레 나오기 마련이다
UX라이팅에서의 보이스&톤도 '어떻게 말하느냐' 이전에 '어떻게 보이느냐'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를 먼저 생각하면 그에 걸맞은 목소리와 톤은 자연스레 나오기 마련이다.
<전략적 UX라이팅이란 책에서 작가는 좋은 UX라이팅이란 사용자가 텍스트의 존재조차도 인식하지 못할 만큼 있는 듯 없는 듯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우리는 '인상적인 글귀'로 누군가의 기억에 남고 싶다.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설령 그게 UX라이팅이라 할지라도- 당연한 감정이 아닐까? 말하고 싶은 건, 어떤 카지노 게임로 어떤 생각의 깊이로 텍스트를 설계하느냐에 따라 좋은 UX라이팅도 탄생한다고 믿는다. 그러니까 UX라이터도 회자되는 라이팅을 쓸 수 있다! 인상적인 글귀로 사랑받는 보이스&톤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인상은 영원히 잊히지 않을 것이다... :)
보이스앤톤과 관련해 시즌1에서 내 생각은 이랬다. 에세이 형식을 빌려 가볍게 쓴 글이고, 당시엔 딱 거기까지였다. 생각은 성장한다는 걸 새삼 느낀다. 30. [UXW 에세이] 텍스트에 목소리를 입히면
Epilogue
참 재밌다. 개인적으로 UX라이팅 시즌1에서 시즌2로 넘어오며 달라진 '나 자신'의 변화를 감지하는 일이 참 재밌다. 나름 겁 없이 뛰어든 이 세계에 두 발을 짚고 서서 시즌1을 시작할 때를 다시 떠올려 봤다. 돌아보니 알겠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비로소 시작할 때'라는 진리를. 요새 새로운 꿍꿍이를 하나 끌어안고 있는데 이번에도 역시 '늦었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비로소 '시작할 때'라는 걸 알고 있다.
새로운 꿍꿍이를 위해 흥미로운 강연 하나를 찾아 들었다. 각각의 연사 모두 '카지노 게임'가 무척이나 매력적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만나고 돌아오는 길, 빈폴의 새로운 광고 카피를 보며 무릎을 세게 쳤다. 깨달음은 늘 아무렇지 않게 툭 하고 찾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