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C 워너비 Nov 04. 2016

타협의 온라인 카지노 게임와 타협하지 않는 온라인 카지노 게임

김대중과 노무현

김대중과 노무현의 차이는 정치력이다. 노무현도 정치를 짧게 한 사람은 아니다. 80년대에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초선 의원 때 벌써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 알다시피 이후에는 지역주의의 맨땅을 들이받으며 원칙주의자 캐릭터를 쌓았다. 정치인으로서의 매력과 연설가로서의 자질은 노무현이 김대중에게 뒤질 게 없다. 그러나 한 정당과 한 국가의 지도자로서 반대파의 존재를 '수긍'한 상태에서의 정치, 다시 말해 '갈등의 조정'이란 정치 본연의 미션에는 김대중 보다 서툴렀다.


김대중은 자기 정체성 근간을 떠받치는 커다란 지향은 고수하면서, 그 지향에 도달하기 위해 굽히고 숙이는데 능란했던 사람이다. 대통령 재임 시절에도 자민련 인사들을 내각에 중용하며 의회 내 통치기반을 유지하려 했고, 보수 세력 저항을 완화하려 전두환/노태우 두 내란수괴를 사면했다. 90년 3당 합당에는 항거하였지만, 97년 정권교체를 위해 자민련과 결탁한 것은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이라는 김대중 식 마키아벨리즘의 단적인 행보라 볼 수 있다.


이런 '수구세력'에 대한 유연한 처세는, 노무현 사전에는 존재할 수 없는 단어다. 지역주의 타파의 기수, 불굴의 원칙주의자, 패배할 걸 알고도 전장에 나가는 장수, 대한민국의 뿌리를 더럽힌 절대 악과의 화해할 수 없는 싸움. 이것이 정치인 노무현, 대통령 노무현, 인민주의자 노무현을 표상하는 슬로건이다. 2002년 대선 연설에서 포효한 "한 번도 정의가 승리하지 못한 역사"와 재임기간 중 토했던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같은 노성은 대한민국의 나머지 절반과 추호도 공존할 수 없다는 선전포고다. (그러면서도 한나라당이 도무지 받아들일 리 없는 '대연정' 같은 허황한 '큰 그림'을 그리며 갈피를 잃었고, 국민들에게 불신을 심었다.)


김대중의 정치가 '타협을 통한 승리의 추구'라면, 노무현의 정치는 '타협하지 않는 것 자체가 승리'인 정치다.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 때 일어난 대 한나라당 정쟁의 성격을 따진다면, 후자가 훨씬 소모적이었다. 바로 이 점이 헌정 사상 유이한 민주적 정부 수반이었고, 대한민국 현대사에 깊은 족적을 새긴 두 인물을 갈라놓는 결정적 차이다. 물론 나는 그 차이가 정치인의 '격'으로 수렴한다고 생각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