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비타 Mar 01. 2025

카지노 게임 추천 심리학

독후감

미술관에 들어서는 순간, 우리는 압도당한다. 수많은 작품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지만, 우리는 그 앞에서 망설인다. 모든 작품을 꼼꼼히 감상해야 할까, 아니면 직관적으로 끌리는 작품을 좇아야 할까? 나는 전자를 지향하지만, 결국 후자의 방식으로 감상하게 된다. 놓치고 싶지 않아 이곳저곳 기웃거리지만, 결국 나를 사로잡는 한 작품 앞에서 멈춘다.



이 책은 우리의 눈이 단 0.1초 만에 상당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미술관을 빠르게 한 바퀴 돌며 본능적으로 끌리는 작품을 찾아 다시 집중적으로 감상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보는 행위는 단순한 수용이 아닌 해석이고, 감상은 결국 참여하는 행위다. 이때의 참여란, 나와 세계의 거리를 가늠하고, 그 거리 위에 놓인 감정을 되짚는 과정이다.



예술을 감상하면서 자신과 소통을 시작한다. 경이로움, 당혹감, 혹은 쉽게 설명할 수 없는 불편함까지—이 모든 감정은 감상자의 경험과 내면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결국 그 그림을 매개로 자신의 감정을 읽어내는 일이라해도 과하지 않다.



이처럼 한 점의 그림 앞에서 인간의 시선은 색과 형태를 좇지만, 그 안에서 무엇을 발견할 것인지는 감상자의 경험과 태도에 달려 있다. 미술을 단순히 이해하는 ‘대상’으로 보지 않고, 감상자와 작품이 만나는 ‘사건’으로 인식하는 것—인공지능이 아무리 정교해지더라도, 예술 감상의 주체는 여전히 인간이라는 사실이 의미 있기 위해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