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예림 Mar 20. 2025

카지노 게임 추천과 삶의 경계에서:안락사에 대한 의료윤리학적 딜레마

Medical Ethics Assignment


안락사라는 주제는 나와 결코 멀지 않았다. 카지노 게임 추천께서는 15년 전 뇌졸중으로 쓰러지셔서 2년 반정도 연명치료 끝에 돌아가셨다. 2년 반 동안, 사랑하는 카지노 게임 추천의 모습이 점점 여위며 카지노 게임 추천과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는 것은 가족들에겐 큰 고통이었다. 우리 가족은 재정적으로보다는 매일 매일 살아계시되 살아계시지 못한 카지노 게임 추천를 돌보는 일을 더 힘들어했다. 내 조국인 한국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법적 정의와 허용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2018년 2월부터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을 통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안타깝게도 카지노 게임 추천께서는 그 전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우리 가족은 카지노 게임 추천께서 자연적으로 숨이 멎으실 때까지는 요양병원에 계시다가 돌아가셨다.


만일 안락사가 합법적으로 가능했다면, 나는 카지노 게임 추천의 카지노 게임 추천에 찬성했을까? 오랫동안 잊고 있었는데, 이번 과제로 하여금 나는 다시 한번 그 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됐다. 마침 최근 틈틈이 챙겨보던 한국 메디컬 드라마 <의사 요한 이라는 드라마의 메인 스토리도 안락사에 대한 쟁점을 담고 있다. 말기 항문암 환자의 고통을 줄여달라는 환자의 간곡한 요청으로 치사량 이상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한 명목으로 교도소에 수감된 주인공 차요한. 그는 자신의 행위가 법을 위반한 것은 맞지만 의사로서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의사의 책임을 다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의료윤리적 입장에서는 선행의 원칙을 근간으로 한 주장이기도 하다. 주인공은 이러한 행위로 인해 전과자가 되고, 안락사를 시행한 의사로 세간의 비판 대상이 되지만, 무엇이 정말 환자를 위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쉽게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끝내 주인공은 드라마의 끝에서 환자의 고통을 이해하고 고통을 완화하는 관점보다는 고통과 동행하는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한국 문화컨텐츠의 특성 상 해피엔딩과 온정주의를 지향하는 대중의 인식이 반영된 드라마의 결론이긴 하지만, 연명치료중이거나 치유 불가능한 말기 환자들의 경우 이같은 드라마의 결론이 꼭 그들에게 좋은 결말이라고는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우리 가족은 의식이 없는 카지노 게임 추천의 자율성에 대해 고려할 수 없는 상태에서, 카지노 게임 추천의 생명권을 어떻게 지켜드리거나, 존엄하게 돌아가실 권리를 챙기는 것이 지혜로울 지 알 수 없었다. 다달이 나가는 병원비에 대한 부담과 간병인을 구하는 문제를 함께 고려했을 때 카지노 게임 추천의 인권은 우리가 카지노 게임 추천를 사랑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우선적으로 고려되기 어려웠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할머님의 카지노 게임 추천이 닥치기까지 우리 가족이 카지노 게임 추천의 생명을 포기하지 않고 버텼던 것이 감사하다고 느껴지기도 한다. 만일 우리가 안락사라는 이유로 카지노 게임 추천를 빨리 보내는 결정을 했다면, 지금도 무엇이 지혜로운 결정이었을지 곱씹으며 때로는 여러 가지 방향에서의 자책감에 시달렸을지 모른다. 사실은 지금 이런 글을 쓰는 것도 어쩌면 카지노 게임 추천의 생명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남겨진 자의 고통에 대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자연이 부여한 인간의 생명을 자의로 짧거나 길게 할 수 있을 것인가’ 에 대한 화두를 떠올려본다면, 인간의 자율성은 어디까지나 ‘살아있는 순간’ 에 어떻게 의사결정할 것인가에 한정해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내가 이렇게 주장하는 것에 대한 근거는, ‘카지노 게임 추천’ 이 과연 환자 개인의 문제일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에서 왔다. 철학자 데리다는 카지노 게임 추천은 언제나 타자의 영역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자살조차도 완전한 자기 결정(self determination)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한 개인의 카지노 게임 추천을 포함한 삶은 비단 그 자신만의 이슈가 아닌 주변인과 연결된- 혹은 역사성과 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다. 따라서 그의 자율성을 존중한답시고 그 카지노 게임 추천에 연관된 사람들의 경험과 기억, 추억에 대한 영향을 저버릴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은 자율성에 대해서, 개인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자신의 삶과 카지노 게임 추천에 대한 결정을 포함하여 완전한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해를 끼치는 결정’ 이고 무엇이 ‘해가 아닌 결정’ 인가? 우리가 과연 온전히 타인과의 연결성에서 자유로운 채 자율성을 바탕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 많은 경우 자율성을 바탕으로 내려진 결정들 속에서 결정의 주체는 그 파급을 감당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고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그러나 “카지노 게임 추천”의 경우 그 기회가 전혀 없다. 오롯이 남겨진 사람들(의료진부터 가족, 동료, 그 외의 환자 주변의 모든 사람들)은 타자의 자율성으로 인해 만들어진 비 자율적 상황, 시간, 기억을 감당해내야만 한다.


카지노 게임 추천을 결정하는 한 사람의 자율성만을 고려해 존엄사에 대한 찬반을 결정하기에, 우리는 너무나도 사회적인 존재이다. 생명의 존엄성이란 것은 단지 생물학적인 생과 사를 넘어 살아있는 존재가 어떻게 주변과 공존하고 있으며 한 사람의 삶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해 생각해야 하며, 의사라는 직업은 한 존재가 생물학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의사가 사람의 건강을 위해 헌신하는 이유는 그저 숨이 붙어있는 삶을 돕기 위함이 아니라, 매 순간 생명작용을 해내는 존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발견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단순히 생명만 유지할 수 있게 한다면, 의사는 환자가 살아왔던 삶, 신체 기능에 부여하는 의미들에 대해 깊게 고민할 필요가 없다. 삶을 다루는 존재로서 의사가 존엄사를 바라보는 관점은, 보다 입체적이어야 한다. 경제적인, 효율적인 시각을 넘어서서 생명과 삶을 바라보자는 관점에서 나는 존엄사 허용에 대한 입장을 지지하기는 어렵다. 의식은 없으셨지만, 숨이 다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 살아계셨던 카지노 게임 추천를 추모하며 이 글을 쓴다.


카지노 게임 추천




Between 카지노 게임 추천 and Death: The Ethical Dilemma of Euthanasia


The topic of euthanasia was never far from me. My grandmother collapsed from a stroke 15 years ago and died after two and a half years of life-prolonging treatment. For two and a half years, it was a great pain for my family to see the beloved grandmother's appearance gradually wither and approach death. My family was more distressed by the daily task of caring for my grandmother, who was alive but not alive, than by the financial burden. In my home country of South Korea, there is no clear legal definition or scope of euthanasia, but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February 2018, introduced a system that respects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fortunately, my grandmother passed away before then, so my family had to keep her in a nursing home until she died naturally.


If euthanasia were legal, would I have been in favor of my grandmother's death? I had forgotten about it for a long time, but this assignment has reminded me of the memories of that time. Coincidentally, the main storyline of the Korean medical drama “Doctor John” that I have been watching recently also deals with the issue of euthanasia. The protagonist, Cha Yo-han, is imprisoned in a prison for the nominal reason of administering a dose of medication that is more than lethal to a patient with terminal anal cancer at the patient's earnest request to reduce the patient's suffering. He claims that although his actions violated the law, he fulfilled his responsibility as a doctor to alleviate the patient's suffering. This is also an argu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deeds from a medical ethical standpoint. The protagonist becomes a convict for this act and is criticized by the public as a doctor who performed euthanasia, but no one can easily say what is really for the patient's benefit. In the end, the protagonist establishes her identity as a doctor who understands and alleviates the patient's pain rather than a doctor who is accompanied by pain at the end of the drama. Due to the nature of Korean cultural content, the conclusion of the drama reflects the public's perception of happy endings and a focus on compassion, but for terminally ill patients who are on life support or who are incurable, the conclusion of such a drama may not necessarily be a good ending for them.


Our family could not consider the autonomy of our unconscious grandmother, and we did not know how to protect her right to life or whether it would be wise to ensure her right to die with dignity. When we considered the burden of monthly hospital bills and the problem of finding a caregiver, it was difficult for us to prioritize our grandmother's human rights, except for the fact that we loved her. Looking back now, I sometimes feel grateful that my family did not give up on my grandmother's life until her death. If we had decided to send her off early because of euthanasia, we might still be pondering what would have been the wise decision and sometimes suffering from self-reproach from various directions. In fact, I think that writing this article is not so much about the right to life of the grandmother, but about the suffering of the bereaved. However, if we consider the question of whether we can willfully shorten or lengthen the life of a human being given by nature, I wonder if human autonomy should be limited to how we make decisions in the moment we are alive.


The basis for my claim comes from the idea that 'death' is really an individual problem. The philosopher Derrida argued that death always belongs to the realm of others, and even suicide cannot be a complete self-determination. A person's 카지노 게임 추천, including death, is not just an issue for the individual, but an event that affects various factors, such as those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eople 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whether it is possible to respect his autonomy while ignoring the impact on the experiences, memories, and recollections of those involved in his death. John Stuart Mill said that, with regard to autonomy,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complete freedom, including the right to make decisions about their own lives and deaths, as long as they do not harm others. So, what is a “harmful decision” and what is a “non-harmful decision”?Can we really make decisions based on autonomy while being completely free from the connection with others? In many cases, the decision-maker has the opportunit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the decision, accept the results, and improve the situation. However, in the case of “death,” there is no such opportunity. Those who are left behind (from medical staff to family, colleagues, and all other people around the patient) must cope with the non-autonomous situation, time, and memories created by the autonomy of others.


We are too social to decide whether or not to support a person's right to die with dignity based solely on the autonomy of the person who decides to die. The dignity of 카지노 게임 추천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biological 카지노 게임 추천 and death of a living being, and we should think about how living beings coexist with their surroundings and what meaning a person's 카지노 게임 추천 has.

The profession of a doctor does not exist only to help a person live a biological 카지노 게임 추천. Doctors dedicate themselves to the health of people not just to help them live with their breath, but to help them 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being that performs 카지노 게임 추천's functions every moment. If they could simply maintain 카지노 게임 추천, doctors would not have to think deeply about the meaning of the 카지노 게임 추천 the patient has lived and the functions of the body. As a being that deals with 카지노 게임 추천, the perspective of doctors on euthanasia should be more three-dimens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카지노 게임 추천 and 카지노 게임 추천 beyond the economic and efficient perspective, I find it difficult to support the position on allowing euthanasia. I am writing this in memory of my grandmother, who was unconscious but lived to the end of her 카지노 게임 추천 doing her best.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