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KT 공유기 외부접속

사설 공유기를 사지 않아도 외부접속이 가능해요.

외부IP와 내부IP 구분

세계 어느 곳에서든 접속이 가능한 주소를 외부 IP라고 합니다. HTTP:// 영문주소 혹은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공유기 안에서만 접속이 가능한 주소를 내부IP라고 합니다.http://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이하 내용는 외부IP( http://xxx.xx.x.xxx:xxxx식의 주소) 를 통해서 특정 내부 IP를 접속함으로서 KT공유기에 연결된 NAS 혹은 시놀로지에 접속을 할 수 있도록KT공유기에 외부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

중요.

1. 벽에 꽂은 랜선이 KT공유기에 우선 연결되고 NAS는 KT공유기와 랜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외부 주소를 통해서 연결이 가능하다. (벽Lan - kt 공유기 - nas)
2. 벽에 꽂은 랜선이 IPtime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iptime의 공유기의 설정에서 외부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벽Lan- IPtime공유기 의 경우는 외부 접속이 훨씬 간단하다.)

Step1. 내 공유기 IP 확인 (외부 IP :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써야 하는 http:// 이후의 주소)
Step2. 외부에서 공유기에 들어올 port 설정
( 외부 IP 이후에 적을 포트 - 'http:// ***.***.**.**:포트번호' )


Step1. 내 공유기 IP 확인 : ☆상태정보 - 시스템 정보


먼저 세계 어디에서든 집에 있는 내 KT공유기로 들어는 주소는 IP 주소(외부IP)를 찾아야합니다.

KT 공유기 설정의 ☆상태정보 - 시스템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T 공유기 설정 : http://172.30.1.254(공유기에 연결된 기기안에서 공유기에 접속하는 내부 IP 주소)

최초 접속 ID : ktuser / 비밀번호 : honehub 입니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


인터넷 연결 정보 중 'IP주소'가 집이 아니어도 외부에서 가능한 IP 입니다.

온라인 카지노 게임

어디에서든 브라우저 주소창에 IP주소를 입력하면 내 공유기로 접속할 수 있어요.




2. 외부에서 공유기에 들어올 port 설정


주소창에 확인된 IP주소를 입력하면 KT공유기에 기본으로 설정된 포트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어요.

KT 공유기의 기본 포트값은 공유기 설정페이지에 연결되는 8899 입니다.


즉, 외부에서 인터넷 주소창에 나의 외부 아이피주소인 xxx.xxx.xxx.xxx를 입력하면, 외부에서 xxx.xxx.xxx.xxx:8899를 입력한 것과 같고,

공유기 내에서는 172.30.1.254:8899를 입력한 것과 같은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우리는 외부에서 공유기를 통해 내부 NAS에 접속을 할 것이므로,

http://xxx.xxx.xxx.xxx가 기본 포트 8899 가 아닌

KT공유기에 연결된 NAS에 접속할 포트를 설정할 것입니다.

NAS에 접속할 포트번호는 자유롭게 정할 수 있지만,

예제로는 외부에서 http://외부IP:1234(뒤의 숫자는 임의로 정한거에요)포트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집에 있는 나의 NAS인 http://내부IP:5000(일반적으로 NAS는 5000번 포트로 기본 설정이 되어 있어요.)으로 연결이 되도록 설정하겠습니다.


. 내부 아이피 확인 : ☆상태정보 - 유무선 단말정보

내부 IP 주소 : NAS가 연결된 IP 주소로 상태정보 - 유무선 단말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S가 연결된 내부 아이피(예제 172.30.1.34)는 공유기가 연결된 나스로자동 할당합니다.

개인이 수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설정되는 NAS의 포트는 5000입니다.

물론 내가 원하는 숫자로 NAS에 연결하는 포트(예제 5000)를NAS에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 ☆ 장치설정 - 트래픽관리 - 포트포워딩 설정

외부의 컴퓨터로 인터넷 주소창에나의IP:1234(1234는 임의의 숫자입니다. 나스에 정확하게 연결을 하려는 번지수 지정해 주는 것과 비슷합니다.)를 입력하면

공유기가 내부IP:5000(예 172.30.1.34:5000)으로 보내주어서 NAS에 접속되도록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NAS의 포트가 5000번이라서 외부와 같은 포트로 설정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아닌 다른 사람의 접속을 불편하기 위해서 일반적이지 않은 포트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외부에서 저의 나스에 접속할 주소는 xxx.xxx.xxx.xxx:1234(일반적으로 5000을 사용합니다만, 다른 사람들의 예측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이지 않은 1234로 했습니다.)입니다.

그러면 KT 공유기가 172.30.1.34:5000(KT공유기에서 나스의 일반적인 포트인 5000번으로 설정했습니다만, 나중에 NAS에서 포트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에 연결된 NAS로 연결해 줍니다.


이제 외부에서 브라우저에 xxx.xxx.xxx.xxx:1234 (시스템정보- 상태정보- 인터넷 연결에서 확인된 IP주소에 ':1234' 라는 포트 번호를 붙였습니다.)로 접속하면

우리집 KT공유기에 연결된 개인서버에 연결해 줍니다.


안쓰는 구형 PC로 개인 서버(NAS)를 만드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