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걸 배울 때는 스승을 신뢰할 필요가 있다. 꼰대처럼 들릴 수도 있다. 스승을 자처하지만 속은 텅 빈 사기꾼이나 제자를 가스라이팅해서 등쳐 먹으려는 소인배들이 워낙 많으니까.
하지만사실이다.(스승다운 스승이라는 전제 하에)스승과 제자 사이에는 '지식과 경험'이라는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좋은 스승은 그 격차를 바탕으로 난이도가 높은판단을 해낼수 있다. '오늘은이것까지만 가르쳐야겠다'거나 '지금 수준에는 알려주지 않는게 낫겠다'처럼.
제자가 스승의 속을 다 알수는 없기 때문에 종종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왜 빨리 알려주지 않냐며 답답해하기도 하고 진도가 빠른것 같다며 버거워하기도 하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럴 때일수록 스승을 믿어야 한다. 제자의 깜냥으로는 스승을 '역판단'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도 불만이 남는다면 자신의 고민을 진솔하게 털어놓는 게 최선이다. 좋은 스승은 제자의 심리까지 고려할 수 있으니까.
그렇다고 맹신을 해야 한다는 건 아니다. 이와 관련해서나는 이렇게 말하곤 한다. "80%는 믿으시고,20%는 비판하셔도 돼요."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맹신도 경계하자는 취지에서다.
특히 운동을 배울 때도 이런 사제관계가 꼭 필요한데, 그건 운동 학습의 몇가지 특징때문이다.
첫째로, 수준에 따라 배워야 할 것과 배우지 말아야 할 것,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걸 헷갈리면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엉덩이 근육을 쓸 줄 모르는 사람이 다짜고짜 스쿼트를 배우면 무릎이 다칠 수 있다. 이런 일을 피하기 위해서는 내 몸 상태에 맞는 규칙을 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범위 내에서운동을 익혀나가야 한다. 둘 다 좋은 스승이 필요한 일이다. 레벨을 파악하고 규칙을 창조하려면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니까.
둘째로, 초보자는자신의 수준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자신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스승이 '너는 아직 스쿼트를 연습할 단계가 아니'라고 해도'아닌데, 나 스쿼트 해도 되는데'라며 고집을 피우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아마 혼자서 연습하다가 기어이 다치고 말 것이다.반대로 스승이 '이제는 스쿼트를 연습해야 할 단계'라고 해도 '아직 못 할 것 같다'고 믿는 제자는 다른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는 동안 답답하게 제자리만 걷고 있을 것이다. 이런 리스크를 줄여주는 게 좋은 스승이다.
세번째 특징은 머리로 이해했다고 다가 아니라는 점이다. 운동은 몸으로 경험해야만얻을 수 있는 것이 많은 소수의 학문 중 하나다. 그래서 체험 유무나 경험의 양에 따라 판단력이 달라진다. 머리로는 똑같은 이론을 외우고 있어도 짬이 많은 스승과 그렇지 않은 제자의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이 글의 결론이 '트레이너 좀 믿어주세요!'라면 나도 뻔뻔한 헬스 업자에 불과할 것이다(웃음). 하지만 고객들은 바보가 아니다. 오히려 너무 똑똑해서 트레이너를 믿지 못한다. 아니, 믿을 수가 없다!!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트레이너가 여간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좋은 스승이 되기 어렵다는 걸 알 수 있는데... 하지만 실제 헬스장에서 저 정도의 전문가를 찾는게 쉬운 일인가? 저런 사람이 동네 헬스장마다 널려 있을 수가 있나? 오히려 졸업도 안 한 체대생, 취미로 자기 운동만 해 본 몸 좋은 청년, 책은 안 보고 미친듯이 운동만 해대는 보디빌더 지망생도 많은 게 현실 아닌가? 이런 상황에서 '아무 트레이너나 일단 믿어주세요'라고 말할 수 있을까?
막막하고 답답한 상황이다. 하지만 상황만 탓하고 있을 수도없다. 상황이 이러니 고객분들은 아무렇게나 하셔도 된다고 말할 수는 없잖은가?
그래서 마지막으로 고객분들께 추천/비추천드리는태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운 좋게 좋은 트레이너를 만났을 때그 기회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다.
가장 멀리해야 할 태도는 '날로 먹고 싶다'다. 돈을 내고 운동을 배우는 이유는 운동 효과를 얻으려일 것이다. 어떤 분들은 '원리를 이해하고 혼자서도 할 수 있게 되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런데 두가지 목표 모두 다음의 전제 조건을 지켜야만 달성할 수 있다. (위에서 말했듯) 내 수준에 맞게 설정된규칙을 외우고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날로 먹고 싶은' 마음이 커지면 규칙을 외우지도, 지키지도 못한다. 노력을 안 하는 게 날로 먹기의 기본(?)이기 때문이다.이런 사람은 뇌를 꺼내서 트레이너에게 맡겨둔 것처럼 행동한다. 스스로 생각하고 노력하길 멈춘 채 트레이너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 이건 신뢰도, 맹신도 아니다. '의존'이다.
운동에서는 '돈만 내면 다 해주기'가 불가능하다. 날고 기는 트레이너도 고객의 몸을 조종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억만금을 낸고객이라도 규칙은 스스로외워야 하고, 규칙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해야 한다. 나는 이 모든 걸 '진지함'이라고 요약하곤 한다.
이걸 거꾸로 적용하면 효율적인 학습자가될 수 있다. 진지한 태도로 규칙을 외우고,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면 기본은 갖춰진 셈이다. 여기에 더해 [왜 나에게 이 규칙이 필요한지 알고 싶어하는 호기심]과 [그 호기심을 머리 뿐만 아니라 몸을 사용해서 천천히 체득하려 하는 끈기]까지 갖춘다면 효과는 두배, 세배가 될 수 있다.
운동을 배우는 건 머리도 필요하지만 머리로만 되는 게 아니고, 장기간 꾸준히 이어나가야 빛을 보는 일이다. '장기간', '꾸준히'라는 단어만 봐도 질색할 수도 있지만, 그 덕분에단순한 운동 효과 이상의, 절제력과 끈기, 불확실성을 버텨내는 능력 등 다양한 것을 얻을 수도 있다.
아쉬운 건 이렇게 중요한 것을 가르치는 직업의 진입장벽이낮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대중으로부터 충분히 신뢰받지도 못 한다. 하지만 이런 고민을 하는 업계 종사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차츰 개선될 거라 믿는다. 우리도 약간의 힘이라도 덧붙이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