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요나 의무 교육 때문이 아닌 오로지 흥미로 배운 외국어는 프랑스어가 처음이었다. 나는 프랑스어를 대학 교양 강의로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그때까지만 해도 내가 지금처럼 프랑스에서 살 거라는 생각은 못했었다. 입시 위주, 사교육으로 범벅된 한국의 교육에 많은 회의감을 느끼고 있었던 터라 내게 무언가를 배우고 싶다는 순수한 호기심이 남아있다는 게 꽤 반갑게 느껴졌다. 나는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서점에 가서 프랑스어 공부를 위한 책을 고르고, 서서히 문법과 어휘를 익히고, 프랑스인과 직접 대화하고 토론할 수 있는 스터디까지 찾아갔다. 그렇게 프랑스어 공부에 꽤 열심이었던 나를 보고 한 친구가 물었다. '프랑스어 공부를 왜 해? 쓸모도 없는데.' 그때는 유학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것도 아니었으니까 딱히 그럴싸한 대답을 못 찾았다. 나는 그냥 관심이 가서 공부하는 거라고 얼버무렸지만, 사실 친구 말대로 그 시간에 영어 공부나 하는 게 나의 미래엔 훨씬 더 도움이 될지도 몰랐다. 그 쓸모라는 게 구직에 도움이 되느냐 안 되느냐를 묻는 거라면 한국에선 프랑스어가 별 쓸모가 없다. 서울에선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을 만나거나 같이 업무를 할 때도 영어로 대화하면 그만이다. 프랑스 남자를 만나기 위해서 프랑스어를 배우냐는 불쾌한 질문을 듣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꼭 그런 말들 때문이 아니더라도 나는 내가 하는 일의 쓸모를 자주 증명해야만 했다. 성적표, 대학 입시, 취직, 자격증, 시험, 나는 지금까지 그런 것들을 위해 공부해왔는데, 성인이 되고 나서 내가 흥미를 가지고 뭘 하나를 배운다는 것이 그렇게 허용이 안 되는 일인 건가 싶었다. 나는 괜한 반발심이 들어서인지 더 집요하게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해변에서 조약돌을 줍듯이 새로 배우는 단어를 열심히 머릿속의 주머니에 집어넣었다. 프랑스어로 의자, 고양이, 장미 같은 단어를 어떻게 말하는지 알아갈수록 어린아이처럼 신이 났다. 세상에 바다를 부르는 수 천 가지의 말이 있다는 사실이 흥분되기도 했다. 의무감으로 영어를 공부할 땐 느껴보지 못했던 재미를 프랑스어를 배울 땐 느낄 수 있었다.
그러던 어느 봄날에 나는 프랑스로 훌쩍 떠나오게 되었다. 마치 내가 하고 있는 일의 쓸모를 증명이라도 하겠다는 듯이. 아무리 그전에 한국에서 공부를 했더라도 그 흔한 유럽 여행 한 번 해본 적이 없던 내게는 모든 것이 낯설었다. 파리의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내가 모르는 카지노 게임로 된 세상에 떨어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어린아이가 된 것 같은 기분은 더 이상 신나지도 않았고, 프랑스어의 주변을 맴돌며 더듬거리는 내가 무력하게 느껴져서 운 적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만두지 않았다.
새로운카지노 게임를배운다는건그카지노 게임를사용하는사람들의사고방식과문화를빠른속도로받아들이는방법이다. 나는그들이내게무슨말을하는지이해하기위해서, 같은카지노 게임로말하고표현하기위해서많은시간을쏟았다. 그건내가모르던세상을내안쪽으로받아들이기위한노력이었다. 몇년간내가새로배운말들이나를얼마나멀리까지데려다주었는지모른다. 좋아하는프랑스영화나문학도더잘이해할수있게되었고, 음식부터패션까지일상에서도더많은것을알게되었다. 프랑스엔외국인, 이민자가 많아서 나처럼프랑스어가모국어가아닌사람들과고충을나눌수도있어외로움이덜했다. 내가완벽하게이카지노 게임를하지못한다는사실이때로는외국인이라는나의지위를확고하게만드는것같을때도있지만, 난내가여전히실수를하고계속배우는중이라는사실이그렇게나쁘지만은않다.
사람처럼 돌고래들은 사는 지역에 따라 카지노 게임가 달라서, 서로 먼 바다에 사는 돌고래끼리는 소통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그 중간에는 양 쪽의 카지노 게임를 모두 할 줄 아는 돌고래도 존재한다. 그 돌고래들은 이 바다에서 저 바다까지 더 넓게 헤엄치며 다니다가 전에는 몰랐던 다른 카지노 게임를 배우게 된 것이다. 프랑스에 산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나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중이다. 아마 계속 부족할 것이고 평생을 배우게 될 것이다. 그 쓸모없는 카지노 게임를 배우기 위해서 왜 그렇게까지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냐고 묻는다면, 조금 더 멀리 가기 위해서, 내가 본 적이 없는 바다를 보기 위해서라고 대답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