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열혈청년 훈 Feb 03. 2022

[직딩라이프]직원은 카지노 게임하기 나름이다!

회사 인사, 보상체계 설계에 따른 직원들의 합리적 선택 정리

최근 룬샷이란 책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물이 얼음이 되기 직전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쪽으로 급격하게 상태가 변화하는 '상전이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저자는 룬샷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미친생각 취급을 받았지만 한 번 세상에 발표되고 나면 그 이전의 세상과는 확연히 다른 세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룬샷이라고 이해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아직 책을 다 읽지는 못했는데, 감탄을 금할 수 없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저의 평소 궁금증 '왜 똑같은 카지노 게임를 다니는데 어떤 이는 룬샷을 꿈꾸고(물론 극소수지만), 어떤 이는 사내정치에 올인하는가?'도 해결해주는 탁견이었습니다.


저자의 얘기를 제가 이해한대로 정리하면 두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바로 '능력 유무'와 '보상체계'입니다.


여기서 능력의 유무란 어떤 직무, 직위를 잘 수행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단어 그대로 어떤 일을 해낼 능력이 있는가 없는가를 말하며,

만약 그런 능력이 필요한 자리에 능력이 없거나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을 앉혀 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보상체계란 주로 카지노 게임 및 직속 관리부하 수와 관계가 있습니다.

언뜻 알기 어려운 보상체계에 대해서 좀 더 부연설명 해보겠습니다.

제가 룬샷을 보고 느낀 것은 보상체계는 크게 3가지 요소가 사람의 행동을 결정합니다.

1) 카지노 게임에 따른 연봉 인상률, 2) 카지노 게임단계, 3) 직속으로 관리하는 부하의 수


1) 카지노 게임에 따른 연봉 인상률

카지노 게임시 연봉이 3%가 오른다고 생각해보십시오.

1억 연봉을 받는 이라도 3%면 300만원밖에 되지 않습니다.

과연 열심히 카지노 게임하려고 노력할까요?


반면에 지금 당장은 연봉이 2,000만원밖에 안 되더라도 카지노 게임에 따른 연봉인상률이 50%라면 어떨까요?

아마 카지노 게임에 목숨을 걸 것입니다.

네 번만 카지노 게임하면 연봉이 1억이 되기 때문입니다(2000-3000-4500-6750-1억!)


2) 카지노 게임단계

최고 직위까지 카지노 게임단계가 10단계가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정년까지 30년을 다닌다고 하면 산술적으로 3년마다 카지노 게임을 해야 최고직에 오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항상 카지노 게임을 염두에 두고 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반면에 카지노 게임단계가 단 1단계밖에 없다고 생각해보십시오.

그 경우 카지노 게임은 어차피 인생에 한 번 하는 것이고 다른 사람이 나보다 1년 빨랐다고 그렇게까지 낙심하거나 좌절할 일은 아닐 것입니다.


3) 직속으로 관리하는 부하의 수

10명의 부하를 관리하는 A부장과 단 2명을 관리하는 B부장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과연 어느 부장의 부하들이 사내정치에 더 몰두할까요?


제 생각은 2명 있는 B부장 부하들입니다.

나 외에 9명이나 더 있는 경우에는 부장에게 잘보이기도 힘들고 부장이 나만 밀어준다고 확신하기가 어렵지만, 단 두 명이 있는 경우에는 눈 앞의 한 사람만 제치면 고과와 카지노 게임은 내 것이므로 부장에게 충성을 다 바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국 1) 카지노 게임에 따른 연봉 인상률, 2) 카지노 게임단계, 3) 직속으로 관리하는 부하의 수가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합리적 인간인 각각의 직딩들은 사내정치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걸 표로 정리하면 이렇게 될 것입니다.

카지노 게임


우리는 모두 하루 8시간을 일합니다.

7시간 동안 일해서 그날 할 일을 모두 마쳤을 때 1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가?

보통은 본인이 맡고 있는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것, 다른 하나는 나의 카지노 게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내 유력자나 직속 상사와 인간관계를 다지는 것 둘 중 하나를 선택할 것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개인의 성향도 있겠지만, 그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그 카지노 게임의 보상체계가 어떤지와 그 사람이 지금 맡고 있는 일을 해낼 능력이 있는지가 구조적인 결정요인이 됩니다.

1시간을 프로젝트에 투입하거나 자기계발에 투자해봤자 어차피 룬샷을 만들 능력이 안 되는 사람은 인간관계에 1시간을 쓰는게 훨씬 현명할 것이고, 반대의 경우는 룬샷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오늘 글은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