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min Apr 14. 2025

'정답'이 아닌 '질문'과 '팀'에 집중하기

365 Proejct (102/365)

제품팀에 대한 새 생각 1/3(이 글)

제품팀에 대한 새 생각 2/3

제품팀에 대한 새 생각 3/3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수많은 제품이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지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공을 거두고 사용자의 삶을 바꾸는 제품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왜일까요?위대한 제품은 천재적인 아이디어나 완벽한 계획에서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하고, 불확실성을 길들이며, 집단 지성을 통해 한계를 넘어서는 '과정' 그 자체에 있다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조직이 여전히 제품 개발을 '정답 찾기' 게임처럼 접근합니다.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완벽한 로드맵, 빈틈없는 실행 계획을 통해 예측 가능한 성공을 갈망하죠. 하지만 현실은 어떻습니까? 시장은 끊임없이 변하고, 사용자의 니즈는 복잡하며, 기술은 예측 불가능하게 발전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지도'를 들고 정해진 길을 가려는 시도는 길을 잃는 가장 확실한 방법일 뿐입니다.


진정한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그리고 성공적인 제품 개발 조직은 '지도' 대신 '나침반'을 가져야 합니다. 불확실성 속에서도 가치를 향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구축해야 합니다. 제가 경험하고 확신하는, 위대한 제품팀이 반드시 추구해야 할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문제의 본질을 파고들어 '진짜 가치'라는 북극성을 찾아라 (Problem Archeology & Value Hypothesis)

"사용자가 A 기능을 원해요." 이 말에서 출발하는 제품 개발은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사용자의 말은 빙산의 일각일 뿐, 그 이면에는 해결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 즉 'Job-to-be-Done(JTBD)'이 숨겨져 있습니다. 뛰어난 PM은 사용자의 표면적인 요구사항 너머, 그들의 진짜 동기와 맥락, 고충(Pain Point)을 파헤치는 '문제 고고학자(Problem Archeologist)'가 되어야 합니다. "사용자가 이 기능을 통해 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일'은 무엇인가?" 이 질문을 집요하게 던져야 합니다.


문제의 본질을 파악했다면, 다음은 명확하고 검증 가능한 '가치 가설(Value Hypothesis)'을 세워야 합니다. "우리가 이 문제를 이렇게 해결했을 때, 사용자(혹은 비즈니스)에게 어떤 구체적인 가치가 창출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북극성입니다. 로드맵은 이 가치 가설들의 집합체, 즉 **'전략적 베팅 포트폴리오'가 되어야 합니다. 확정된 계획 목록이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 가장 임팩트가 클 것이라 믿는 가설들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인 셈이죠. 자원은 언제나 한정되어 있으니, 어떤 가설에 베팅할지는 냉철한 데이터 분석과 직관에 기반해야 합니다.


2. '만들기-측정-학습' 엔진으로 팀이라는 배를 전진시켜라 (Teamwork, Communication & Healthy Conflict)


가설은 세웠고, 방향도 정했습니다. 이제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요? 여기서 '팀'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마이클 조던의 말처럼, 재능 있는 개인들이 모였다고 저절로 위대한 팀이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개인의 일이 아닌 팀의 일"이라는 철학을 공유해야 합니다. 문제는 개인이 아닌 팀 전체의 것이며, 해결책 역시 집단 지성에서 나옵니다. 업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서로에게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구하며,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즉시 도움을 요청하는 문화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연료는 솔직하고 빠른 소통입니다. 책임을 회피하는 모호한 언어 대신 명확하게 의사를 표현하고, 요청할 때는 그 이유와 목적을 분명히 밝혀야 카지노 게임 추천. 상대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이해가 안 되면 "바보 같은 질문은 없다"는 생각으로 되물어야 카지노 게임 추천. 오해는 팀의 속도를 늦추는 가장 큰 적입니다.


특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건강한 갈등'의 가치입니다. 서로 다른 의견이 부딪히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아이디어와 의견이 대립하도록 만들어야 카지노 게임 추천. 왜냐고요? 바로 이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가 검증되고, 미처 생각지 못한 맹점이 드러나며, 결국 더 강력한 결과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 아닌 '아이디어'를 비판하고, 감정적인 대립이 아닌 건설적인 토론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피상적인 동의나 침묵은 혁신을 가로막을 뿐입니다. 모든 구성원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며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때로는 불편한 대화도 기꺼이 나눌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리더와 PM의 중요한 책무입니다.


3. 한계에 도전하고 실패를 '학습 자산'으로 삼아라 (Dare to Challenge & Learn from Failure)

마지막으로, 위대한 제품팀은 끊임없이 '현상 유지'에 도전해야 합니다. "원래 그랬으니까"라는 말은 금기어입니다. 존 우든 감독의 말처럼, 변화는 생존과 성장의 본질입니다. 현재의 프로세스, 기술, 심지어 성공 방정식까지도 끊임없이 의심하고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다면 "구리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하고,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당연해야 합니다.


도전적인 목표 설정은 필수입니다. 실패가 두려워 안전한 목표만 추구하는 팀은 결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서로를 믿고, 담대한 목표를 향해 한계까지 헌신해야 카지노 게임 추천.


물론, 도전에는 실패가 따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실패를 두려워 피하는 대신, '계획된 실패'를 통해 배우는 길을 택합니다. 가설을 세우고, 최소한의 자원으로 빠르게 실험(MVP, 프로토타입 등)하고, 결과를 통해 배우는 '만들기-측정-학습(Build-Measure-Learn)' 루프를 끊임없이 돌려야 합니다. 정보가 부족해도 괜찮습니다. 일단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통해 배우면 됩니다. 실패는 비용이 아니라, 더 나은 방향을 찾기 위한 가장 확실한 '학습 자산'이자 '수업료'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패를 숨기지 않고 투명하게 공유하며, 개인을 비난하는 대신 시스템적인 개선 방안을 찾는 것입니다. 정기적인 회고를 통해 성공과 실패 모두에서 교훈을 얻고, 끊임없이 어제보다 나은 팀으로 진화해야 합니다.


결론: 문화가 전략을 이긴다


결국, 위대한 제품은 단순히 뛰어난 기술이나 번뜩이는 아이디어만으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문제의 본질을 파고드는 집요함, 가설을 검증하며 나아가는 유연함, 솔직하게 소통하고 건강하게 충돌하는 팀워크, 그리고 끊임없이 도전하고 실패로부터 배우는 문화. 이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비로소 시장을 움직이고 사용자를 감동시키는 제품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정답'을 찾으려는 헛된 노력을 멈추십시오. 대신, 위대한 질문을 던지고, 강력한 팀을 구축하며, 끊임없이 학습하고 성장하는 문화를 만드십시오. 그것이야말로 불확실성의 시대를 헤쳐나가며 진정한 '임팩트'를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초고: 2024.05.02

탈고: 2025.03.28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