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은 한국에서 태어나고 한국에서 자라서 거의 30년을 한국에서 살았다.
그런데 왜? 이민 1.카지노 가입 쿠폰 코스프레를 하는지 모르겠다.
일례로
카지노 가입 쿠폰 처가와 시댁을 구분 못한다.
누구네집 얘기 하다가 시댁과 친정과 며느리 뭐 이런 얘기가 나오면 남편의 리액션 버튼이 멈춰지고, 순간 멍해지는 순간이 있다.
친정이랑 시댁이랑 헷갈리는 거다.
또 처형과 제수씨도 헷갈려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의 그런 가족에 대한 호칭이 복잡하고 헷갈린 건 맞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그런 어려운 호칭 말고 그냥 언니라고 부르거나 이름을 부르면서 차츰 간소화한다고도 들었다.
아니 그런데 카지노 가입 쿠폰 순종! 토종! 국산!인데, 왜??!!!
왜 자꾸 이민 1.카지노 가입 쿠폰 코스프레를 하는지 모르겠다.
며칠 전 같이 산책하다가
“음~~ 공기가 너무 상큼하다.”
“ …. 공기가 상큼해? 보통 시원하다나 신선하다라고 카지노 가입 쿠폰 않아? “
“응! 상큼해”
“보통 상큼은 뭐 과일 같은 거나 약간 신맛 나는 거 그런 거 표현할 때 쓰지 않나?”
“응 공기가 신과일 먹을 때처럼 상큼해. 나는 상큼한 것 같아 ”
“……????”
애들이 라면 끓이면서 혹시 먹을 사람 있냐고 물어보면 남편은 절대로 안 먹을 거라고(살찔까 봐.. 은근 관리하는 남자) 선언한 다음, 딱! 한 젓가락 먹으려는 순간에 주변에서 서성이며
“와~~ 냄새 너무 좋다. 아빠 한 모금만 줘~”
“…. 한 모금? 아빠 보통 모금이란 말은 물이나 음료수 같은 거 말할 때 쓰지 않아?”
“응, 똑같은 거야.”
왜? 당신은 외국에서 태어난 우리 애들보다 한국말이 더 서투른가요?
오늘 남편이랑 아침을 먹으면서
“역시 커피는 아보카도랑 먹을 때 향이 극대화되는 것 같아.”
“맞아, 커피에 제일 잘 어울리는안주는 역시 아보카도야.”
“……. 자기야, 안주는 술 먹을 때 곁들이는 게 안주야. “
“아니!! 커피랑 같이 먹는 것도 안주라고 해도 돼.”
이 사람은 정녕 안주(按酒)에 ‘주’ 자가 ‘술 주’ 자라는 것을 모른다는 말인가?
급기야 네이버를 검색하여 보여주기까지..
안주란 술을 마실 때에 곁들여 먹는
음식이다.
남편 덕에 안주에 안이라는 한자가 누를 안 자라는 것을 배웠네.
술을 누른다.
역시 술은 안주랑 먹는 게 정석이구만.
이런 기본 중에 기본인 표현을 저런 식으로 표현하면 , 남편을 잘 모르는 사람은 1.5세나 2세쯤으로 생각할 것 같다.
그럴 때마다 나는
라고 외친다.
문제는 이제 나도 슬슬 헷갈리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저런 표현들을 처음에 들었을 때는 안 어울리고 어색해서 내가 정정해줬는데 “공기가 상큼해.”라는 말을 하도 들으니 이제 너무 자연스럽다는 거.
혹시 카지노 가입 쿠폰 작가의 기질을 가진 것인가?
남들보다 더 자유로운 영혼을 가져서 그의 생각을 일반적인 언어의 틀에 가둘 수 없는 것인가?
그 뭐 ‘시적 허용’처럼.. 남편은 본인의 감성과 언어가 따로 있는 것인가?
헷갈린다 헷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