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권 p3tree784 무형의 것을 다루는 데 관심이 많습니다. /@@2zQZ 2016-11-07T14:41:01Z 복잡계 지식으로 조직 문제 해결하기 (3) - 사례 3. 외부 조직 코칭하기 /@@2zQZ/124 2025-02-28T01:47:29Z 2024-10-25T06:26:22Z 설명에 앞서 복잡계에 대해 서술한 글들을 읽고 오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을 될 것입니다. 1편.&nbsp;요즘 조직문화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복잡계' 이론 2편.&nbsp;복잡계 이론으로 의사결정하기: 크네빈 프레임워크 3편.&nbsp;조직문화랑 복잡계랑 도대체 무슨 상관일까? 사례 3. 외부 조직&nbsp;코칭하기 저는 비록 HR 담당자나 기타 관련된 담당자로 일하진 않았지만 조<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EImjy1CIByOBO1jDWdQ4tmk1Drs.jpg" width="500" / 복잡계 지식으로 조직 문제 해결하기 (2) - 사례 2. 조직 내 갈등 회복하기 /@@2zQZ/123 2024-10-25T06:46:47Z 2024-10-25T01:41:32Z 설명에 앞서 복잡계에 대해 서술한 글들을 읽고 오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을 될 것입니다. 1편.&nbsp;요즘 조직문화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복잡계' 이론 2편.&nbsp;복잡계 이론으로 의사결정하기: 크네빈 프레임워크 3편.&nbsp;조직문화랑 복잡계랑 도대체 무슨 상관일까? 사례 2. 조직 내 갈등 회복하기 때는 바야흐로 2020년, 저는 새로운 회사에 입사해 신규 프<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RY8--R8ozHgfw3W-65s_DxJxXL4.jpg" width="500" / 복잡계 지식으로 조직 문제 해결하기 (1) - 사례&nbsp;1. 직원 혼자서 팀 시스템 바꾸기 /@@2zQZ/122 2024-10-25T06:46:27Z 2024-10-24T15:02:42Z 복잡계 이론으로 조직 문제 해결하기 앞선 글을 통해 복잡계 이론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 그리고 이것이 현대의 조직문화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이 남을 수 있습니다. 복잡계 이론에 대해 알았다고 해도 그것을 현재 조직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 부분을 제가 겪었던 사례를<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rVqnUR0UJVsroPLZzRZXafk7cM0.jpg" width="500" / 조직문화는 정말 MZ 세대를 위한 걸까? (3) - 조직문화랑 복잡계랑 도대체 무슨 상관일까? /@@2zQZ/121 2024-10-25T06:46:08Z 2024-10-17T02:39:12Z 복잡계 이론 그리고 조직문화 지금까지 복잡계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결국 현대의 조직문화가 갖고 있는 많은 개념과 방법론들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는 복잡계 이론이 조직문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조직 복잡계의 지식에 따르면 '뛰어난 개인'은 복잡한<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W8ofGuICVSXhNBgB0BTy1AxkBs8.jpg" width="500" / 조직문화는 정말 MZ 세대를 위한 걸까? (2) - 복잡계 이론으로 의사결정하기: 크네빈 프레임워크 /@@2zQZ/120 2024-11-13T13:59:08Z 2024-10-17T02:38:48Z 실전에 적용해보기 '크네빈 프레임워크' 이제 복잡계가 무엇인지는 대략적으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복잡계 이론을 실제 비즈니스에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때 우리에게 유용하게 적용해 볼 수 있는 것이 '크네빈 프레임워크(Cynefin Framework)'입니다. '크네빈 프레임워크'는 IBM에 재직했던 데이브 스노든(David Sno<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iGcWeQ8abO8CW67f5abmD-yiXdg.jpg" width="500" / 조직문화는 정말 MZ 세대를 위한 걸까? (1) - 요즘 조직문화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복잡계' 이론 /@@2zQZ/119 2024-11-13T13:55:55Z 2024-10-17T02:38:12Z '조직문화'라는 단어가 회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 시작한 게 언제부터였을까요? 최근에는 MZ세대, 즉 지금의 젊은 세대를 고려한 조직문화를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화두인 것 같습니다. 흔히들 MZ세대는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 투명한 소통과 공유를 선호하고, 개인의 성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딱딱한 성과 평가보다는 피드백 문화를 원한다고 말합니다<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0-6hyFOK1TO9SG4Kl2nkEHamtaY.jpg" width="500" / 노션으로 업무 흐름 관리하기 - 노션 템플릿, 더 이상 쓰지 마세요. /@@2zQZ/117 2025-01-22T03:39:49Z 2024-05-13T00:10:43Z 3년 전쯤에 제가 알고 있는 노션 팁들을 정리해서 글을 작성했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이 글이 이렇게까지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을 줄은 몰랐습니다.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유용하게 참고하시는 것 같아 기쁜 마음입니다. 그리고 정말 오랜만에 노션 사용에 있어 알려드리면 좋을 내용을 정리하게 되어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77yOVoTm029R-dkKtdktLb3qFcg.png" width="500" / 아무리 좋은 툴을 써도 회사가 바뀌지 않는 이유 - 조직을 바꿔줄 대화의 기술 /@@2zQZ/115 2025-03-23T01:30:30Z 2024-04-28T06:35:42Z 조직이 바뀌지 않는 이유 최근 코칭 중에 한 분으로부터 고민을 들었습니다. 그 내용이라 함은 구성원들이 알림을 놓치지 않을 수 있게끔 슬랙과 연동해서 자동화된 알림을 보내고 싶은데, 어떻게 할 수 있냐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무엇 때문에 그런 기능이 필요한지를 물어봤습니다. 그분의&nbsp;고민사항은 이렇습니다. 구성원들이 팀 내 주요 사항이나 일정들을 잘<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97k8kUAzPGTlvcuuYeNW0pU_4Aw.jpg" width="500" / &lt;플라이휠을 돌려라&gt;의 문장들 /@@2zQZ/113 2024-04-17T06:51:56Z 2024-04-13T12:00:24Z 플라이휠 돌리기 &quot;베조스와 참모들은 자신들만의 선순환 고리를 스케치했고, 그것이 자기네 사업에 동력을 불어넣을 거라고 믿었다. 다음과 같은 순환고리였다.&quot;'더 낮은 가격이 더 많은 고객의 방문을 유도한다. 더 많은 고객이 판매량을 늘리고, 수수료를 내는 제3의 판매자를 사이트로 더 많이 유인한다. 그럼으로써 아마존은 물류 포장센터나 웹사이트 운영 서버와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TB_6rx2ZCpbpKBcGV8cCmna2y48.jpg" width="458" / &lt;에디토리얼 씽킹&gt;의 문장들 /@@2zQZ/112 2024-04-24T00:16:18Z 2024-04-12T06:59:36Z '에디토리얼 씽킹'이 뭐예요? 나는 에디토리얼 씽킹을 이렇게 정의한다.&nbsp;'정보와 대상에서 의미와 메세지를 도출하고, 그것을 의도한 매체에 담아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 편집하고 구조화하는 일련의 사고방식'. (...) 캐롤라인 냅은 &lt;드링킹&gt;에서 '통찰은 사실을 재배열하는 일'이라고 썼다. 비즈니스 전략 컨설턴트 데브 팻나이크는 &lt;Needfinding<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QuWTYifRHiogbQMJaELe92Efmfg.jpg" width="458" / 조직이 멍청한 결정을 내리는 이유 - 조직에 진실이 들릴 기회를 만들어라 /@@2zQZ/110 2024-10-25T06:43:44Z 2024-02-06T21:13:23Z 집단은 실패하게 되어있다. 우리는 흔히 집단사고라고 하면 한 명의 개인보다 훨씬 더 똑똑하고 현명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전문가들이 포함되어 있는 집단이 다수결의 원칙을 통해 내린 결론은 큰 신빙성을 갖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단은 개인보다 똑똑하지 않으며 오히려 오류를 낳고, 확대하기까지도 합니다.&nbsp;&lt;넛<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smJlruq6TLZccesi59NnFdxkyHg.jpg" width="500" / 조직을 바꾸고 싶다면 '대화'부터 바꿔라. - 3. 질의와 주장의 균형을 잡을 것 /@@2zQZ/109 2024-10-25T06:44:53Z 2024-02-04T09:44:35Z 앞선 두 개의 글을 통해 팀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뢰'란 정렬을 통해 상대방과 동의한 스토리를 늘려나가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크리스 아지리스의 '추론의 사다리') 소통의 문제는 입으로 말하는 내용(지지하는 이론)과 '정신 모델(실제 사용하는 이론)'의 격차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격차를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0fWEJVcil8cG7SGnAVvvwssc-yQ.jpg" width="500" / 투명한 소통은 어떻게 하는 걸까? - 2. 표현되지 않은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기 /@@2zQZ/108 2024-10-25T06:44:35Z 2024-02-03T04:24:51Z 최소 놀라움의 원칙 '최소 놀라움의 원칙(POLA: Principle Of Least Astonishment)'은&nbsp;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소프트웨어 설계를 할 때 적용되는 원칙입니다. &quot;필요한 기능에 크나큰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요소가 있다면 해당 기능을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quot;라고 명시되어 있는데요. 이는 조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Cb6ib5VEopEAmCYXHfTCA2cLZ1U.jpg" width="500" / 사람들이 잘 모르는 팀의 '신뢰'를 구축하는 방법 - 1. 암묵적인 가정 없애기 /@@2zQZ/107 2024-10-25T06:44:16Z 2024-02-02T14:56:46Z '신뢰'란 정렬된 이야기다. 조직문화를 공부하다 보면 종종 '신뢰가 필수적이다.' 혹은 '신뢰가 선행되어야 된다.'는 이야기를 듣곤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뢰'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lt;애자일 컨버세이션&gt;에서 더글라스 스퀴렐은 '신뢰'를 정렬된 이야기로 명명했습니다.&nbsp;'신뢰가 떨어져 있다' '신뢰가 없다'라는 말은 반대로 말하면 상대방과의<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Rzke8u2bdJJSODzB52yuhlWNDjM.jpg" width="500" / 5 Why 기법이 잘못된 이유 - 'Why' 대신 'How'로 물어라. /@@2zQZ/105 2024-10-25T06:43:10Z 2024-01-29T02:57:37Z 5 Why 기법은 잘못되었다. '5 whys'는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정 문제에 숨은 인과 관계를 탐색할 때 사용하는 반복적 질문 기법입니다. 일본 도요타 자동차의 생산방식 혁신에서 출발했으며 현재는 디자인싱킹이나 포스트모템 같은 다양한 방법론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에 와서는 거의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이 '왜?(Why?)<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s5uWGh1-x60VmkRpzhiiRqwhNZo.jpg" width="500" / 조직을 바꾸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시스템 원리 /@@2zQZ/104 2024-10-25T06:42:21Z 2024-01-28T03:02:00Z 시스템 사고와 시스템 원형 시스템 과학자 피터 센게는 그의 저서 &lt;학습하는 조직&gt;에서 조직이 겪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시스템 사고'를 갖추어야 된다고 말합니다. 사업체가 급속히 성장하는 시점에서 회사 내의 전문가들이 초과근무 등으로 극도의 피로에 시달리자, 이를 해결해보려고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소용이 없어 좌절했던 친구가 떠오른다.친구의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l8R_Z6aQXfvRDIJV5ENdNTe7hXs.jpg" width="500" / 조직문화 공부하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 할 책 추천 /@@2zQZ/103 2024-10-25T06:40:29Z 2024-01-25T05:26:53Z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amp; 이기적 직원들이 만드는 최고의 회사 이 두 권의 책은 사실 지금보다 훨씬 전에 3년 전쯤에 처음으로 조직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 읽었던 책들입니다. 둘 다 유호현 엔지니어님의 브런치에 기고되었던 글들을 묶어 출간된 책들입니다. 두 책 모두 우리가 알고 있는 실리콘밸리의 기업들(구글, 트위터, 에어비앤비, 페이스북 등)의<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DbwljoVJ565HIDaNrXwMOw4F05U.jpg" width="500" / '브랜딩'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컨셉 공식 BEAT - 최장순 &lt;본질의 발견&gt; 10분만에 읽기 /@@2zQZ/94 2024-04-12T07:02:43Z 2023-10-11T15:00:49Z 이 책의 저자 최장순님은 현재 브랜딩 에이전시 엘레멘트 컴퍼니의 대표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입니다. 과거 브랜드앤컴퍼니, 플러스엑스 등을 유수의 회사를 거쳐 오랜 시간 업계에서 활약해 온 브랜딩 전문가라 할 수 있습니다. &lt;본질의 발견&gt;은 이 최장순 디렉터가 말하는 컨셉 발견 공식을 담고 있습니다. 일명 BEAT라고 명명한 이 방법론은 예전 회사에서 브랜<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tK5osDYJm2p1dixsxXLe1m1HM9E.jpeg" width="300" / OKR은 성과 관리 도구가 아닙니다. - OKR은 구성원의 동기부여와 도전적인 목표 설정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2zQZ/84 2024-05-05T11:19:00Z 2021-08-08T13:26:16Z OKR은 성과 관리 도구가 아닙니다. 아마 스타트업을 다녀보신 분들이라면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라는 용어를 심심찮게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구글의 존 도어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된 이 OKR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국내 IT 스타트업은 물론 이제는 대기업과 다른 중소기업으로도 많이 도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0IactIPIJY8jDyyxZmNsFYaF3tw.png" width="500" / 경력이 많으면 정말 일을 잘할까? - 구조화된 행동중심적 인터뷰 방법 /@@2zQZ/80 2024-05-05T11:12:43Z 2021-07-24T12:03:21Z 경력이 많으면 정말 일을 잘할까? 회사에 있어서 채용은 굉장히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왜냐면 일을 못하는 사람을 잘하게 만드는데 드는 비용보다 애초에 일을 잘하는 사람을 뽑는 것이 훨씬 더 적게 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채용을 할 때 학력이나 경력들을 중요시합니다. 어떤 회사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어떠한 일들을 했는지를 궁금해합니<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2zQZ%2Fimage%2F-bWCZzAcB3W-tOT6gD77hegHnVY.jpg" width="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