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스diezguarani가나 관개수로 개선 사업 프로젝트 실무 전문가입니다./@@3SbY2017-07-15T08:15:25Z코이카 가나 관개지구 개선 사업 소개: (1) 건축공사/@@3SbY/192025-05-06T09:41:57Z2025-05-05T10:55:14Z파견 나와있는 동안 주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 중 하나가 "무슨 일 하고 계세요? “였습니다. 이에 대답이 귀찮았던 건 아니고, 제 스스로도 내가 무슨 일을 하고 있다고 해야 하나 설명이 애매할 때가 많았습니다. 그때마다 "농업 사업하고 있어요!" 혹은 "토목 사업하고 있어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가다간 나 스스로도 내가 무<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p3krRubzF6GVz5pfN7VxNb3nYg8.png" width="500" /코이카 농업 프로젝트 실무 전문가(PAO): 기본과업/@@3SbY/162025-05-05T11:06:01Z2025-04-04T00:02:35Z아직 많은 부분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지만, 코이카 농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진행함에 있어 깨달은 점이 있습니다. 이 글은 국제 농업 프로젝트의 초급전문가에게 가이드북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하게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중간중간 수정해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먼저 알아두셔야 할 점은 교육사업이나 보건사업과 달리 농업사업은 아직도 오래된<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u8nh-COGsen1CZl7QuRiP6e7agM" width="500" /코이카 농업 프로젝트 실무전문가(PAO): 파견준비 - KOICA PAO: Preparation for Dispatch/@@3SbY/152025-04-10T10:42:55Z2025-02-18T09:56:40Z이번에 쓰게 된 글은 코이카 PAO가 고용된 이후에 챙겨야 할 부분에 관한 글입니다. 파견 전에 꼼꼼하게 체크해야 할 부분이 있어 코이카 PAO를 시작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규정 및 파견비, 여행자보험, 항공권, 비자발급 등의 지원 등을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PAO 특성상 코이카 기준 5-6급 전문<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aWLrNlynCDxgt94DXzuCznS5ZVM.png" width="500" /코이카 농업 프로젝트 실무 전문가(PAO): 지원동기/@@3SbY/172025-04-10T10:43:16Z2024-12-06T21:38:57Z연구원으로서 코이카 종료평가를 마무리하면서 느꼈던 것은 개발협력 사업이해도가 높지 않으면 그만큼 평가자로서 발돋움하는 데 있어 고충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었습니다. 사업이해도가 높은 제 연구실의 형님들의 경우 본인의 경험들을 토대로 유사사업들에서 생기는 문제점 혹은 특장점들을 발견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이에 이후에 일자리를 찾을 때, 공여기관인 코이카<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wSbPr8cZVONGGLnHG13xiZ-F9g8.JPG" width="500" /개발경제 연구방법: 무역 중력모형 - Dev. Econ. Method-Gravity Model of trade/@@3SbY/102024-04-14T04:24:23Z2024-04-13T22:23:29Z본 글의 목적은 개발경제학(Development Economics) 연구자들을 위해 이론 및 연구 방법론 소개 목적으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개발경제학을 위한 이론 및 연구방법론의 경우 국문자료로 되어있기보다 영문자료로 많이 되어있고 산발적으로 되어있다 보니, 스스로가 직접 정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저도 어려움을 겪었고, 국내 개발경제<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RVLKnQs6CwvVrXiZlECSE-Y6lB0.JPG" width="500" /냉정한 이타주의자 - Doing good Better/@@3SbY/122024-11-26T22:36:40Z2024-02-26T17:17:19Z이 책은 정말 힘든 시기에 우연하지 않게 대학원 내부 세미나 발표에서 알게 된 책입니다. 대학원의 힘든 시절 다시금 이 분야에 대한 방향성을 잡아준 책으로, 향후 몇 년간은 생각이 크게 바뀌지 않는다면 냉정한 이타주의자로 저를 소개하고 싶을 정도로 자아정체성에 큰 영향을 준 작품이었습니다. 책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자면, '효율적인 이타주의를 실천하자'입니다<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SOl6pDHXPiwXnsugc-EtQh47-Ns" width="300" /KOICA 종료평가 평가보조원의 업무: 통계분석 - KOICA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is/@@3SbY/92023-12-27T04:27:25Z2023-11-14T16:13:50Z기나긴 평가의 마무리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평가사업에 참여하면서 보니 코이카를 비롯한 다양한 원조기관에서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평가에서 양적평가를 통한 인과성 검증을 요구하는 경향성이 짙어진 듯했습니다. 기존의 질적 평가를 통한 인과성 검증은 한계가 존재하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퍼지셋 연구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질적연구에서 인과성 검증을 발전시키려는 시도는<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iyKRhFnhbgBLvuETJ9W8qSIns5I.jpg" width="500" /빈곤과정 - Poverty as process/@@3SbY/82024-02-26T18:19:55Z2023-11-14T05:59:40Z종료 평가사업 출장 도중에 비행기 내에서 시간을 보내는 좋은 방법으로는 독서였습니다. 하여 읽어보고 싶었지만 게을러서 읽지 못한 책, 『빈곤과정』을 읽게 되었습니다. 대학원 내에 한동안 이 책에 관한 열띤 토론이 있었기에 제 지도교수님도 출장 중간에 읽으셨고, 두바이 스타벅스에서 해당 책에 관해서 이야기 나눴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개발협력에서 일하는 사람<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vnB0KDQYLljpRdOnat57OWTZpcs.jpg" width="500" /KOICA 중장기 경영목표(23-27개편) - KOICA Mid-Term Strategy 23-27(Revision)/@@3SbY/112023-11-07T00:57:43Z2023-11-06T15:54:08Z저번 개발협력 초급전문가 일자리 글에서는 <2023 개사이다> 개발협력 일자리에 남은자 vs 나간자 토크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남은자와 나간자 모두 개발협력에 오래 발 담그고 계셨던 분들이라 개발협력 생태계에 잘 알고 있고 그에 따른 진솔한 토크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번 글의 경우 코이카가 그리는 글로벌인재와 관련된 KOICA 중<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fm2TjYB-Bw3nRgBljH7llJZFyLQ" width="500" /개발경제 연구방법: 지니계수 요인분해법 - Dev. Econ. Method-Gini Decompostiion/@@3SbY/52024-04-12T16:01:32Z2023-10-11T13:59:03Z본 글의 목적은 개발경제학(Development Economics) 연구자들을 위해 이론 및 연구 방법론 소개 목적으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개발경제학을 위한 이론 및 연구방법론의 경우 국문자료로 되어있기보다 영문자료로 많이 되어있고 산발적으로 되어있다보니, 스스로가 직접 정리를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저도 어려움을 겪었고, 국내 개발경제학 <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sTh2oRdQlNpjHZ5Pb61E0GcHil8.JPG" width="500" /KOICA 종료평가 평가보조원의 업무: 현장조사 - KOICA Evaluation: Field Research/@@3SbY/22023-12-27T04:27:41Z2023-10-06T14:53:17Z2023년에 들어서 석사를 졸업하고, 평가보조원으로서의 업무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학원을 들어오면서 가장 참여하고 싶었던 사업 중 하나가 평가사업이었습니다. 코이카 지역개발 종료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는 기댓값이 무너졌을 재작년 때의 설움을 올해 와서 드디어 풀었습니다. 그 당시 평가팀 구성으로는 그 과업을 절대 수행 못했을 거라는 것을 알지만 그때 꿈에 그리<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H6K4R_hcEPnDvnBv5q_SbI0SwOs.jpg" width="500" /가난한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 Poor Economics/@@3SbY/32024-02-26T18:20:19Z2023-10-05T18:25:42Z개발협력 연구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Poor Economics)만큼은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해당 책이 가지고 있는 개발협력 내 의미는 두가지입니다. 양적연구방법론 활성화 개발도상국 현장 기반 분석 양적연구방법론 활성화 이 책은 기존에 의학계에서 활용되던 무작위실험통제(Randomized Contral Tr<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LhKZKyU76Dl43r54ABwegxfkZVg" width="500" /개발협력에 남은자와 나간자의 차이 - Remainers and Outsiders/@@3SbY/42023-11-14T16:31:00Z2023-10-04T08:38:00Z최근에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여유로운 시간에 학부 쪽 네트워킹 프로그램, 학회 논문경진대회 발표 등 여러가지 행사들을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개사이다 프로그램은 이러한 여유로운 타이밍에 올라온 프로그램이라 신청하여 참석하게되었습니다. 1부는 개발협력 일자리에 남은자 vs 나간자 토크이고, 2부의 경우 코이카 중장기목표와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과연<img src= "https://img1.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3SbY%2Fimage%2Fxg-ltkZ9FeoDGkcw7UktbCXks_U" width="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