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ng Kimamangkim여러가지(?) 하는 사람/@@AnV2015-10-02T07:14:43Z인공지능은 생각하지 않는다 - 인공지능과 데이터 사이언스에 대한 이야기/@@AnV/1432025-04-26T11:51:27Z2025-04-25T03:52:54Z[머릿말] 생성형AI의 폭발적인 인기로 챗GPT를 배우거나 활용하려는 사람들의 책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본질과 인간과의 역학 관계를 다룬 책은 아직까지 본적이 없다. 그래서, 필자는 폭발적으로 인기 있는 키워드지만, 아무도 다루지 않은 주제로 다시 한번 책을 쓰기로 마음 먹었다. 2024년 10월. 필자는 “데이터는 예측하지 않는다”의 후속<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UJZ5yMfv_WvCgmPkEXp6T5fcvMA.jpg" width="478" /Do not waste your life. - 생각함과 성실함의 미학/@@AnV/1422025-03-13T00:52:50Z2025-03-12T06:16:09Z#Articulate*; #Dangerous; #Discipline; Truthful life.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건 필자만 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과목에 관계 없이) 인문학을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말하기와 쓰기를 잘 하기 위해서 이다. 읽기와 쓰기를 잘하면, 분별력(articulate)이 향상 되며, 분별력이 높으면 높을 수록 (좋은 의미로)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Lz7NtHyfO0x_4Aew9TxUwyl2uuc.jpg" width="500" /74. AI에이전트와 집단지성 - 인공지능 시대의 집단 지성의 종말/@@AnV/1412025-02-22T01:50:20Z2025-02-22T01:00:27Z예전에도 이야기 한적이 있지만, 생성형AI(혹은 챗GPT, AI에이전트)가 뭔가 생각이 있어서 결과물을 도출하는 것은 아니다. 생성형AI은 기본적으로 기존에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결과물을 조합(혹은 생성)하는 원리이기에, 그럴싸한 답들을 다양하게 보여줄 수 있을 뿐이다. 생성형AI의 이러한 기본 원리가 가지는 의미는 딱히 정답이 없는 문제들에 대한 답을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Cno1DJtPD2wLrElqpKsYBUJfieY.png" width="500" /73.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설까? - 딥시크, 딥리서치 그리고, 인간/@@AnV/1402025-02-19T16:00:30Z2025-02-19T10:00:03Z딥시크, 딥리서치등 최근에 많은 생성형AI 모델들이 쏟아지면서, (늘 그렇듯) 이들 모델의 생성물들이 전문가를 뛰어넘었다느니, 특히, 연구자들 일자리가 없어진다던지, AGI가 왔다느니 하는 등과 같은 유언비어(?)를 퍼트리기에 짧게 정리하고 간다. 우선, AGI에 대해서는 내가 이전 남긴 글이 있으니 참고하길 바라고,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UorwegyWMyq_MeQM2oa41gKsjDo.jpg" width="500" /72. AGI는 과연 도래 했나? - 인공지능은 개뿔; AI는 생각하지 않는다./@@AnV/1392025-02-19T05:55:53Z2025-02-19T04:54:24Z생성형AI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요즘 떠드는 AGI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특히, 아래와 같은 장표는 지극히 마케팅적인 소설에 지나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AGI를 떠들지만, 그 어느 누구도 기술적 지향점에 대해서 명확하지 않다. AGI가 기술적으로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다들 지금의 AGI보다 발전된 형태라고 말은 하지만, 그 이상의 디테일이<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hfO1JwakNw5gcSLdDvNln3HP_UY.jpg" width="500" /71. AI Gen: 인공지능 네이티브 - 인공지능은생각하지 않는다./@@AnV/1382025-02-07T05:47:10Z2025-02-07T03:30:11Z태어날때부터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경우를 “토종 영어(Native English 혹은 English native)”라고 칭한다. 잉그리쉬 네이티브(토종 영어; English native)라는 의미는 영어를 따로 배우지 않아도 영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사람 혹은 세대(generation)를 의미 이다. 이와 비슷하게, 세상을 변화 시킨 기술들을 태어 날 때<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rHm46eIHJF4fzvu0j1kq9NFZSPM.jpg" width="500" /70. CES2025 방구석 참관기 - CES2025 키노트 발표, 엔비디아 그리고, AT&T/@@AnV/1372025-01-11T01:14:12Z2025-01-09T09:00:31ZAT&T 이야기 요즘 사람은 AT&T를 미국의 일개 통신 회사 정도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AT&T는 랜드라인(전화, Land Line)을 최초로 상용화 했던 회사이고, 20세기에 인터넷을 최초로 상용화 했던 회사이기도 하다. 인터넷 통신에 관련된 대부분의 기술들은 이들의 특허였고, 초창기 인터넷이 세상에 깔리기 시작 할때, 이들은 어마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mEf70R8hFil8Ptky8MobCFhO4l8.jpg" width="500" /69.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 AI에이전트와 미래에 대한 단편들/@@AnV/1362025-02-02T13:35:43Z2024-12-02T00:50:02Z마이크로 소프트의 이그나이트(Microsoft Ignite) 이벤트를 한지가 한 일주일정도 된듯 하다. 전혀 모르고 있다가, 도통 알수 없는 너뷰트 알고리즘이 알려줘서, 사티아 나델라의 키노트 발표를 전부 보았다. 오늘은 이에 대한 이야기는 짧게, 키노트 발표를 보면서 느낀 점을 담론 형태로 풀어 볼까 한다. 마이크로 소프트의 키노트 발표를 한줄로 요약하면<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4qdczgO1q5Y3hLBRXehuRTxWNms.jpg" width="500" /68. 인공지능 기술분석 - MIT Tech Review, 인공지능, 기업전략/@@AnV/1352024-09-25T15:02:21Z2024-09-24T09:24:41Z얼마전에 MIT 테크 리뷰에서 발행한 재미있는 리포트를 하나 입수 했다. 오늘은 해당 리포트에서 발췌한 내용을 풀어 보고자 한다. 1. 과연 생성형AI가 대세일까? 대한민국은 백이면 백 챗지피티같은 생성형 AI를 떠들고 있지만, 실제 비지니스는 그렇지 않다. 더구나 큰 회사일 수록 이들이 원하는건 특정 분야에 특화된 AI 응용이나, 자기 회사에 맞는 특수<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E_bhQ7b4avz6-Lw77pS4wjYfr-0.jpg" width="500" /울림을 주는 꼰대 - 멘토에 대한 불편한 진실/@@AnV/1342024-07-19T01:49:56Z2024-07-19T00:07:02Z한국엔 진정한 멘토는 없고, 꼰대만 넘친다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멘토가 필요하지, 꼰대는 필요 없다고 말이다. 하지만, 멘토랑 꼰대는 같은 말이다. 꼰대랑 멘토가 같은 말인 이유는 두 단어에 대한 구분이 오로지 자신의 감성에 의해서 구분될 뿐 의미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우리나라사람에게는 말이다.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내용은 크게<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yUiN_4BXqyGLC6bBvRYz1WVbPuY.jpg" width="500" /나의 인생여정 - 라떼이야기, 해외거주, 정착이야기/@@AnV/1332024-06-30T04:53:19Z2024-06-30T03:03:54Z1년전 즈음, 미국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 페친께서 한국으로 적을 옮긴다는 글을 보았다. 내가 알고 있는 많은 한국 국적의 재외 분들은 전부 이 페친과 비슷하게 결국에는 한국에서 정착하는 삶을 원하더라. 다들 고국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 있는듯 하다. 하지만, 나는 한국에 대해서 그리 애틋한 마음은 없다. 물론, 한국에서 좋은 기회가 주어진다면 시도는 해보겠<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dXUYLxtIrD1sMb90NN_e3sVskMA.png" width="500" /스페이스엑스와 유학생활 - 라떼이야기, 플로리다 그리고, 유학생활/@@AnV/1322024-06-02T02:16:36Z2024-06-01T00:45:09Z내가 석박을 했던 플로리다공대(FloridaTech)는 나사(NASA)와 인연이 깊다. 처음 이 학교가 생긴 이유도 근처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에 다니는 인력들을 교육하기 위해 생겼었고. 이 동네에 살면 다른 동네에서는 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로켓 발사를 직관 할 수 있다는 거다. 물론, 로켓발사를 직관 하려면, 발사시<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oG3GVNK3-0-hRoRSXi5Oqv0AZBQ.jpg" width="500" /스트브잡스와 넥스트 - 1985년에 PC시장에서 일어난 드라마틱한 실화/@@AnV/1312024-04-29T14:01:02Z2024-04-29T00:25:27Z1985년은 미국 PC(Personal Computer)시장에서 역사적인 해로 기록되는데, 그것은 바로 애플을 창업했던 스티브잡스가 자신이 직접 영입했던 마케팅 임원이었던 존 스컬리에 의해 애플에서 추출을 당했던 동시에, 미친 객기로 애플에 대적하겠다고 "넥스트"라는 회사를 설립한 해이기도 하다. 스트브 잡스가 만든 이 회사의 제품 또한 바로 "넥스트(N<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5mC7Q64Q2nnj0lH44Sse3apTET4.jpg" width="500" /나의 박사 과정 지도교수 - 라떼이야기, 박사과정, 유학생활/@@AnV/1302024-05-14T04:01:15Z2024-03-20T00:22:59Z내 박사 지도 교수는 내 인생에 영향을 끼친 몇 안되는 분 가운데 한분이고, 학위를 받은지 20년도 지난 지금도 든든한 후원자이시기도 하다. 석사를 마치고, 박사를 시작 할 무렵, 나는 Network Traffic에 꽂혀 있을 때였다. 지금은 한물간(?) 분야지만, 그 당시에는 해당 분야가 미국에서는 가장 활발하게 연구 되던 분야였고, 상대적으로 한국에서<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bplQCaI0pHxg6kswo6i6mxlSe28.jpg" width="500" /67. AI세상에서 어떻게 사는가? - AI세상을 사는데 필요한 철학적인 질문들/@@AnV/1292024-04-04T03:13:14Z2024-03-18T02:48:50Z[필자주] 이 글은 필자가 3년전에 소셜 미디어에 적었던 글을 다시 구성한 글이다. 하지만, 3년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은 기조들이 존재한다. 오늘은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사람들 특히, 한국사람들은 "기술(Skill)"을 배우는데 하는 투자(시간, 정력 포함)는 아까워하지 않으면서, 이루고자 하는 "가치(Value) 추적"에 대한 투자<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R0P0oAnncc8qvn49hSJQgldvhI8.png" width="500" /지난 미국 대통령 선거 이야기 - 미국 대통령 선거 이야기, 민주주의 그리고, 미국의 역사/@@AnV/1282024-01-12T05:55:52Z2024-01-12T02:15:32Z[작가주] 이 글을 쓴건 미국의 지난 대통령 선거 이후 일어난 사건에 대해 페이스북에 적었던 단상들이다. (2021년) 1월6일 선거인단의 투표결과가 공식적으로 인증 되면서, 트위터랑 아마존이 또라이와 또라이 추종 사이트의 계정을 막아버렸다 (스샷 참조) 재미있는 건 이 사실을 공유해준 페친 분들의 반응이다. "아무리 트럼프를 싫어해도 그렇지, 이건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mHWJbiMOnA04x6tNxLhoVN3yr_Q.jpg" width="500" /오래전 신종플루 이야기/@@AnV/1272024-01-12T02:06:45Z2024-01-12T02:06:45Z때는 바야흐로 2009년. 이 당시 나는 모기업에서 정신없이(?) 해외출장을 다녔었다. 유럽에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사업자의 미팅 중에 다급하게 아내에게 걸려온 전화. 큰 아이의 열 오르는게 심상치 않단다. 단순한 감기로 생각해서 해열제를 먹였는데 아이의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다시 병원에 가볼거란다. 그리고, 저녁 즈음 다시 걸려온 아내의 전화. 의<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C8l8KK17_qpUEfTL6N4XzJ16G5I.jpg" width="500" /66. 금전적 인센티브는 마약이다. - 금전적 인센티브(돈)이 마약인 이유, 행동 경제학 그리고, 교육./@@AnV/1262024-02-06T04:10:07Z2023-12-26T09:32:49Z1. 금전적 인센티브와 기업 경제학에서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을 크게 인센티브(Incentive)와 패널티(Penalty)가 있다. 그리고, 경제학을 조금만이라도 공부 해봤거나, 회사를 운영 해본 사장님들이라면 이미 알고 있겠지만, 패널티보다는 인센티브가 더 (어렵지만) 더 나은 방법이라는걸 알고 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성과에 따라 성과급을 주거<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LU8AV5psPgZSoo9VpWGmgsM-Fx0.jpg" width="500" /65.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 보다 중요한 이유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AI, 인공지능 그리고, 기본에 대한 이야기/@@AnV/1252023-11-26T11:51:58Z2023-06-19T04:24:52Z대부분의 사람들이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내 생각은 반대이다.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보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기본이 된다. 우선,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성능의 한계를 결정 짓는다.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의 성능은 결국 하드웨어 성능에서 판가름 난다. 두번째, 소프웨어의 최종 기능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결정 된다. 예를 들어 <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K8pFwxwOEZrY3s9sN9RV4rMoees.jpg" width="500" /64. ChatGPT가 남길 것 - 챗GTP가 우리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AnV/1242023-11-26T23:34:47Z2023-02-22T15:20:37ZChatGPT(챗GPT)가 광풍이다. 너도 나도 챗지피티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세계 각국에서 ChatGPT를 다루고 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해서, 모 패친에게 답변 했던 내용으로 ChatGPT가 앞으로 남길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1. 집단지성의 몰락 우선, 챗GPT가 뭔가를 알아서 대답을 하는건 아니다. 챗GPT의 기본이 되는 NLP(Nat<img src= "https://img1.무료 카지노 게임.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무료 카지노 게임.net%2Fbrunch%2Fservice%2Fuser%2FAnV%2Fimage%2Fa4lLke5R4uCfMTcst7EbDeLPq0s.jpg" width="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