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준 student Leadership Psychologist. [조직문화 통찰], [빅데이터, 인재를 말하다], [인재경영, 데이터사이언스를 만나다]의 저자 /@@IaG 2015-10-24T13:02:24Z 조직문화는 성과와 관련이 없는 걸까 /@@IaG/11 2023-12-01T17:32:11Z 2019-09-08T07:41:33Z 어느 날, 한 스타트업 대표는 신랄한 어조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ldquo;제가 보기엔 조직문화는 성과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많은 미디어에서 구글이나 페이스북처럼 회사가 즐겁고 신나는 분위기를 만들어 줘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업무 시간에 탁구나 다트 게임도 하고, 해먹에서 잠도 자고, 시원한 맥주도 마실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nbsp;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구성원들<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9tFO7NTcpB9LeWus3pKNrGWIcvI.jpg" width="500" / 스타트업에서 조직문화 변곡점은 언제 오는가? /@@IaG/10 2023-12-01T17:32:16Z 2019-05-17T14:16:17Z 변곡점(inflection point)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자리를 나타내는 곡선 위의 점 대기업 조직에 속한 연구자로서 스타트업을 계속 탐험 중이다. 나는 커피를 매우 사랑한다. 대기업들은 어디를 가나 있는 프랜차이즈 커피 같다. 종로 스타벅스를 가든, 춘천 스타벅스를 가든, 카페라떼 맛이 비슷비슷하다. 물론 바리스타 손맛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어<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aSwtahAblzYK1WT7qpM9fP2sgrg.jpg" width="500" / [조직문화 Toolkit] 기본 가정 탐색 카드 - 스타트업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 /@@IaG/9 2021-12-11T00:21:10Z 2019-04-09T01:13:52Z [대한민국 스타트업을 위한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 Q-sort 조직문화 진단 도구에 이어, 우리 조직이 가진 '기본 가정'(basic assumptions)을 탐색하는 카드를 만들어 배포합니다. 활용 방법은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본 도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였습니다. Edgar Schein (2004) 등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YAFtxjzwmH4YQ5_M9Bd-apHy7PM.jpg" width="500" / [조직문화 Toolkit] Q-sort 조직문화 진단 - 스타트업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 /@@IaG/8 2023-09-06T07:12:11Z 2019-04-03T08:50:20Z [대한민국 스타트업을 위한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 조직문화 관련하여 여러 Toolkit을 보완하겠다고 약속드렸습니다.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여 조직문화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추가하여 재배포합니다. #1. 본 진단도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였습니다. 현존하는 조직문화 글롭벌 진단 도구들을 모아서 리뷰를 하고(총 26개), 공통 <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jHx4nhndfXDkDzXUbSth4oy-zfU.jpg" width="500" / 대한민국 스타트업을 위한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 - Version 2.0 /@@IaG/7 2023-10-24T04:34:17Z 2019-02-28T00:57:02Z [대한민국 스타트업을 위한, 조직문화 일구기 가이드북]을 배포합니다. 저는 경영학을 공부하고,&nbsp;대기업에서 경력을 쌓아왔습니다.&nbsp;그게 제 세상의 전부였습니다. 조직문화, 리더십, 그리고 Assessment &amp; Analytics 분야에서 전문성을 자부하곤 했습니다. 언제나 '겸손'을 지향하는 삶을 살았지만, 마음 한쪽에서는 '교만'이 싹트고 있었는지 모릅니다<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eUMmQmFENO8yzk1emSyXs86KJ4E.jpg" width="500" / '수평적 조직문화'라는 표현에 대한 단상 /@@IaG/6 2023-09-26T12:10:04Z 2018-11-21T05:23:51Z [1] 이 표현이 '학문적으로는' 모호하다. 홉스테더(Hofstede, 1980)는 '권력 거리(power distance)'라고 명명했다. 권력 거리가 큰 문화에서는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관계를 상정한다. 반면, 거리가 작은 문화에서는 상대적으로 평등하고 민주적인 접근이 더 강조된다. 후에, Triandis &amp; Gelfand(1998)이 그 개념을<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22G_732AxcJyqdLQzaHffVJlk_E.jpg" width="500" / 스타트업, Culture Deck가 필요할까요? 2부 - Culture Deck는 어떤 동기로 만들게 되는걸까? /@@IaG/5 2023-10-31T19:40:12Z 2018-10-05T03:56:07Z 안녕하세요? 김성준입니다. 원래 페이스북에 짧게 써내려 가다가&nbsp;글이 길어져 브런치에서 작정하고 쓰기 시작한 글입니다. 글 하나로 마무리하려 했는데,&nbsp;생각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소재와 이론들이 곁다리처럼 붙게 되었습니다. 시답잖은 연구자로서 글을 정리해 내려갈수록, 모든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위대하게 여겨집니다. 나이 연배 고하를 떠나서, 정말 존경합니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QoY2p9YNCENfEWT8b5revOHsl3s.jpg" width="500" / 성숙한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101 가지 질문 /@@IaG/4 2023-03-07T01:41:06Z 2018-09-29T17:03:02Z 안녕하세요? 김성준입니다. 어떤 업(業)을 오래 하다보면, 단조롭게 서술된 '지식'보다는 생각을 여는 '질문'이 사람을 성장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듯 합니다. 그 업이 '리더'라면 더욱 그러하겠지요. 어제 카페에서 논문을 보다가 문득 한 구절에 감흥을 받아서, '리더 스스로 생각해 볼 질문 101'을 만들어 보면 좋겠다 싶었습니다. 리더라면 다음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xddD72-fZ1HSf8-yee0rw3iHBy0.jpg" width="500" / 스타트업, Culture Deck가 필요할까요? 1부 /@@IaG/3 2022-10-14T04:37:28Z 2018-09-26T09:52:18Z 저는 대그룹/대기업들에서 종사하면서 조직문화를 오래 관찰하고 공부해 왔습니다. 세가지 방향으로 고민해왔는데, 첫째는 존재론 관점입니다. 조직문화가 무엇인지, 과연 존재하는지, 어떻게 형성되는 건지, 어떤 계기로 변곡점을 맞는지를 공부합니다. 두번째는 기능론 관점입니다. 조직문화가 한 집단의 전략적 선택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또는 어떻게 걸림돌이 되는지, 구<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eTMXq2boD-Kn6Tyr3mUoKhflG2s.jpg" width="500" / 펀경영(Fun Mgmt.)이 정말 좋은 것일까? /@@IaG/1 2023-10-17T21:30:43Z 2017-04-11T12:37:05Z '펀경영(Fun Management)',&nbsp;회사원들이라면 여러 번 들어본 표현일 겁니다.&nbsp;지금도 국내 회사들 중에 일부는&nbsp;펀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미디어에 노출시키기도 하지요. 이 글에서는 펀경영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고찰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펀경영은 2000년 초반부터 집중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nbsp;그 이유로는 크<img src= "https://img1.카지노 쿠폰.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카지노 쿠폰.net%2Fbrunch%2Fservice%2Fuser%2FIaG%2Fimage%2FVFj3gg_PFB7fOKk7qTC7-IHnR5s" width="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