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윤영진lifecoachyj수학을 가르치며 글을 씁니다. 삶을 배우는 이야기, 사람을 생각하는 글로 당신의 하루에 작은 위로가 닿기를 바랍니다./@@hMAz2025-04-06T08:09:04Z외로움은 공집합일까 - 공집합은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이다./@@hMAz/82025-04-29T04:38:30Z2025-04-29T00:00:02Z공집합. 아무것도 없는 집합.&카지노 게임 사이트;혹은, 서로소인 두 집합의 교집합. 다르게 말하면,&카지노 게임 사이트;‘서로 존재는 하지만, 아무것도 겹치지 않는 상태’다. 이보다 더 외로운 개념이 있을까? 누군가와 분명히 연결돼 있는 것 같은데,&카지노 게임 사이트;실제로는 아무것도 나눌 수 없을 때.&카지노 게임 사이트;그게 진짜 외로움이다.&카지노 게임 사이트;그리고, 나에겐 그런 시절이 있었다. 중학교 2학년.&카지노 게임 사이트;늘 집엔 나와 동생 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56iOJrhcBTlzRX2LLJSjED5JQkM.png" width="500" /후회의 그래프는 항상 아래로 굽는다 - 미치지 못한 인생, 그 곡선의 이름은 후회다/@@hMAz/72025-04-28T12:51:38Z2025-04-24T00:00:04Z수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선 중 하나는 포물선이다.&카지노 게임 사이트;특히 아래로 굽는, 음의 이차함수 그래프. y = -x². 시작점을 알 수 없는 이 그래프는 원점으로부터 내려가는 그래프다.&카지노 게임 사이트;x가 커질수록, y는 점점 음의 방향으로 멀어진다.&카지노 게임 사이트;뭔가 열심히 해도, 결과는 점점 더 아래로 떨어지는 기분. 그게 딱, 후회의 궤적이다.&카지노 게임 사이트;시간이 갈수록 마음이 더 무거워지는 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UAXoF8JdcV4vGj5zqKOzRhuvxtg.png" width="500" /불안은 무한등비수열처럼 다가온다 - 불안도 결국 수렴한다/@@hMAz/62025-04-24T01:19:56Z2025-04-22T00:00:06Z불안은 방향이 없다.&카지노 게임 사이트;어디서 오는지도 모르겠고, 어디로 가는지도 알 수 없다.&카지노 게임 사이트;그저, 스멀스멀 마음 한쪽에서 시작해&카지노 게임 사이트;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퍼져온다. 질투는 좌표였다.&카지노 게임 사이트;어디에 있는지 보였고,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도 알 수 있었다.&카지노 게임 사이트;하지만 불안은, 그저 흐릿하게 다가오는 안개 같다.&카지노 게임 사이트;모양도, 속도도, 크기도 예측할 수 없다. 운동을 못 간 날, 나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Zn96Mxyx-YJcslthUe1l4FMisXA.png" width="500" /질투의 좌표는 어디쯤일까 - “왜 나는 안 커?” 딸의 한마디에 좌표가 흔들렸다/@@hMAz/52025-04-26T02:40:02Z2025-04-17T00:00:06Z수학에서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 어렵지 않다.&카지노 게임 사이트;x축, y축.&카지노 게임 사이트;가로로 몇 칸, 세로로 몇 칸.&카지노 게임 사이트;좌표평면 위에 점 하나를 찍으면 그만이다. 그런데 감정은 좀 다르다.&카지노 게임 사이트;특히, 질투. 질투는 늘 좌표에 찍히는데,&카지노 게임 사이트;그 좌표는 언제나 ‘나보다 조금 더 나아 보이는 사람’ 쪽에 있다. 그리고 이상하게도,&카지노 게임 사이트;그 점은 시간이 갈수록 자꾸 멀어진다.&카지노 게임 사이트;나는 가만히 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gpq3svzkQoJ_4MAsGZh1zlNAU_0.png" width="500" /행복은 선택일까, 확률일까 - 기댓값으로 이해한 삶의 순간들/@@hMAz/42025-04-15T13:25:17Z2025-04-15T00:00:08Z확률 단원 첫 문제는 늘 이렇다. “동전을 한 번 던질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은?” 답은 간단하다. 이분의 일. 50%. 앞이든, 뒤든 둘 중 하나니까. 그런데 살다 보면 문득,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오늘 내가 행복할 확률은… 몇 퍼센트지? 살짝 무리한 질문이다. 왜냐면 이건 정답이 없는 문제니까. 그런데도 우리는 자꾸 계산한다. ‘좋은 일이 생<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phALQGTXScUNZU_0tZwmxSwekwY.png" width="500" /친밀함과 거리의 역함수 - 가까울수록 더 멀어지는/@@hMAz/32025-04-12T13:14:48Z2025-04-10T00:00:09Z고등학교 수학 시간, 역함수를 처음 배웠다.x와 y의 자리를 바꾸면,그래프는 y=x를 기준으로 대칭이 된단다. 설명은 쉬웠다.하지만 그래프 위의 점들이그 단순한 대칭 하나로 완전히 어긋나는 걸 보며,문득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 ‘단지 자리가 바뀐 것뿐인데,왜 이렇게 멀어지는 걸까.’ 그 기분을, 나는 몇 년 후에서야 이해했다. 대학교 시절, 나는 늘 사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TrmNwDie9nkQ4cBMxER8fm1fSEY.png" width="500" /사랑은 왜 늘 미지수일까 - 풀어봐야 알 수 있는 수이기 때문에…/@@hMAz/12025-04-14T09:33:33Z2025-04-08T07:34:38Z중학교 1학년이 되면, 수학 교과서 맨 앞에서 '문자와 식'을 만난다.그 단원에서 아이들은 처음으로 '미지수'라는 단어를 배우게 된다.문자를 수에 대입해보기도 하고, 문자를 기준으로 식을 세워보기도 한다. 처음엔 모두가 헷갈려한다."x는 뭐예요?", "왜 a를 쓰죠?", "y도 쓰고 z도 써요?"왜 굳이 숫자를 안 쓰고, 알파벳을 써야 하는지 이해가 안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hMAz%2Fimage%2FvBHrimPG2hzhocGqaR5a94eAyh4.png" width="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