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EDITOR /@@3Hu3 자연스럽게, 자유롭게. 계속 산책하는 사람. ko Sun, 04 May 2025 16:40:59 GMT Kakao Brunch 자연스럽게, 자유롭게. 계속 산책하는 사람.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UZlLVSCSI-xB1vUHQlcfmhf4HEg.JPG /@@3Hu3 100 100 Day 6. 이다음에 - 소박하게 즐겁게 상상하기 /@@3Hu3/57 이담에 하고 싶은 것 3 (TOP3는 아니고 생각나는 대로) 1. 이다음에 쌈 채소를 직접 키우고 싶다. 이왕이면 집에 놀러 온 누군가와 나눠 먹을 정도의 양이면 더없이 좋을 것 같다. 물론 현실은 허브 하나 제대로 키우기도 벅차지만. 2. 이다음에 내 나이의 앞자리가 4나 5쯤 됐을 때 친구랑 조금 긴 여행을 떠나고 싶다. 그때쯤이면 북한을 지나 러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5XayKvoMLmW_gLasZppHEj7BlSs.jpeg" width="500" /> Sat, 12 Nov 2022 15:23:03 GMT HYEDITOR /@@3Hu3/57 Day 5. 해피 엔딩 - 당신의 사행시는? /@@3Hu3/56 해: 해피밀 먹고 싶다. 피: 피자 먹고 싶다. 엔: 엔초비 파스타 먹고 싶다. 딩: 딩(징)하다 나... ☺︎&nbsp;오늘의 결론: 안 먹고 싶은 걸 말하는 게 빠르겠어. 2019.06.19 오자마자 뻗어 자다가 늦어서 부랴부랴 사행시로 대체된 Day 5 일기. 심각하게 의식의 흐름에 의존했군. 2022.08.01 종종 의식의 흐름에 의존하는 것도 나쁘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lewwUgNJSuiuA2a0BF5h-4apXYw.jpg" width="500" /> Sun, 31 Jul 2022 16:25:58 GMT HYEDITOR /@@3Hu3/56 Day 4. 선물 - 주는 마음에 대하여 /@@3Hu3/55 모든 선물에는 얼굴이, 사연이, 인연이 묻어 있다. 나는 내가 필요한 걸 받는 것보다 선물을 준 사람을 떠올리게 만드는 선물이 좋다. (물론 필요한 걸 받는다고 싫어하고 해치고 그러지 않아요.) Day 4의 주제어 '선물'은 매우 즉흥적으로 고른 단어다. 이걸로 무엇을 쓸까 고민하다가 2018년에 받은 선물 사진을 차례로 넘겨보았다. 내게 마음을 담아 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RP5SP3mHTypNrhKgs-m26QJ5_GQ.jpg" width="500" /> Sat, 23 Jul 2022 14:56:59 GMT HYEDITOR /@@3Hu3/55 Day 3. 악수 - 모라 딱 설명하기 어려운 그 이름, &lsquo;감&rsquo;에 대하여 /@@3Hu3/54 &lt;미생&gt;에서 영업3팀 과장 오상식은 이렇게 말한다. 장고 끝에 악수(惡手) 둔댔다. 감 왔으면 가는 거야! 오랫동안 깊이 생각하는 일, 중요하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그렇게 한다고 반드시 최상의 결론이 나오는 건 아니라는 사실이 슬플 뿐이지. 요새 나의 관심사는 '감'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과감한 승부사적 기질을 발휘해야 할 때 어떻게 감을 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byl_WNui69VvVCuuI4HZSaRVc5k.jpg" width="500" /> Sun, 17 Jul 2022 13:56:54 GMT HYEDITOR /@@3Hu3/54 Day 2. 주말 - 매번 애타게 부르는 그 이름이여 /@@3Hu3/53 놀고 있으면서도 놀고 싶은 그런 날, 주말. 일주일은 7일이나 되는데 어찌하여 주말은 이틀인 거지? (무논리지만 자꾸 생각하면 설득력 있음.) 주말에 한적한 곳에서 책 읽다가 꿈뻑 조는 일, 요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이다. ☺︎ 오늘의 결론: 놀고 있지만 더 격렬하게 놀고 싶다.(놀고 있&hellip;) 주4일 근무 언제 도입되지?! 2019. 06. 15 마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C8GkqAuWYqHkeR2mlmPHCyUnZEg.jpg" width="500" /> Thu, 14 Jul 2022 14:53:10 GMT HYEDITOR /@@3Hu3/53 Day 1. 지난봄 - 싱그런... 아니 징그런 나의 뻘짓이여 /@@3Hu3/52 &lt;Magazine Norm&gt;은 3년 전 친구와 같이 써서 각자 SNS에 올렸던 짧은 기록을 정리하기 위해 만들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롤로그] 어느 날 내가 친구에게 물었다를 참고해주시길. 지난봄, 가장 강렬했던 순간이 있다. 부끄러워서 어디다 말하지 못했는데 이참에 풀어볼까 한다. 피츠버그의 어느 싱그러운 밤, 나와 J는 오락실에 갔다. (서울에서 새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wv4JkuiLQs5zGyImO9FtDClI52w.jpg" width="500" /> Wed, 13 Jul 2022 16:23:13 GMT HYEDITOR /@@3Hu3/52 아무튼, 2분기가 끝났다 - 에그브렉 2020년 2분기 마음대로 결산하기 /@@3Hu3/51 2020년 3월 마지막 주에 시작한 에그브렉은 무사히 2분기를 마쳤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었던 2분기 레이스를 마무리한 기념으로 한 주간 셀프 휴가를 선사했다. '유후, 한 주 쉰다!' (좋아서 하는 일이지만 휴가는 늘 달콤쓰...) 생각하다 잠시 멈칫. '그래서 2분기에 에그브렉은 뭘 했지?' 맘 잡고 쓰려면 또 요상한 완벽주의가 발동해서 발행과 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_dRM6fDshnW6qslZsuG_G_bgtww.jpg" width="500" /> Thu, 16 Jul 2020 14:50:35 GMT HYEDITOR /@@3Hu3/51 제가 뉴스레터를 시작해볼까 하는데요 - 에그브렉 01: 기획하는 마음 /@@3Hu3/50 네 번의 레터가 나가는 동안 2020년 4월 21일 화요일 조금 전, 에그브렉 구독자가 300명을 돌파했다. 첫 번째 뉴스레터를 발송(3월 26일)한 지 약 한 달만. 사실 뉴스레터를 시작하면서 대놓고는 민망하니까 남몰래 세운 1차 목표가 있었다. 바로 '한 달 안에 구독자 300명 만들기'. 목표를 달성하면 브런치에 뭐라도 좋으니 기록을 남겨야겠다고 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rjCVzJQOkZWND7yih7J0tkaxaJ4.JPG" width="500" /> Fri, 24 Apr 2020 01:46:13 GMT HYEDITOR /@@3Hu3/50 솔직하고, 유연하게 - 의미 있는 티키타카를 위하여 /@@3Hu3/49 오랜만의 편지네요. 무려 두 달여 만에 보내는 답장이군요. 언젠가 J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었죠. 매일 생각의 흐름이 바뀌어서 하루만 지나도 쓰고 싶은 말이 바뀐다고. 제게는 1월과 2월이 그런 시간이었어요. 2019년 12월, 함께했던 회고*로 찐하게 젖어든 감상도 잠시, 어느새 2020년이 와 있더군요. 때 되면 오는 손님이라는 걸 알면서도 올해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WCN1uZADWbMjUiATe_Fqa_uM9tQ.jpg" width="500" /> Mon, 09 Mar 2020 04:00:14 GMT HYEDITOR /@@3Hu3/49 [2019.5]&nbsp;겁을 안 내는 게 중요해 - What We're Reading #198 /@@3Hu3/48 자정이 가까워진 밤, 심드렁한 얼굴로 침대에 배를 깔고 누웠습니다. 침대맡에는 읽으려고 사둔 책, 읽다 만 책, 거의 다 읽은 책 이렇게 세 권이 놓여 있었죠. 무슨 책에 손을 뻗을지 고민하기 전, 핸드폰으로 SNS 앱을 켰습니다. (뭔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딴짓을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건 저뿐만이 아닐 거라 믿습니다) 그날 피드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p8V_O6h0X8mkGwGVkij2-br7rYA.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54:40 GMT HYEDITOR /@@3Hu3/48 [2019.4]&nbsp;가끔은 아다지오 - What We're Reading #190 /@@3Hu3/47 얼마 전, 꽤 오랜만에 타인으로부터 제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를 잘 아는 친구가 이런 말을 건넸죠. ​ 너는 모든 걸 정확하게 하려 하고 완벽하게 이해해야만 넘어가는데, 매사에 그럴 필요는 없지 않아? 때론 누군가에겐 부담으로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아. 요새 흔히 말하는, 뼈를 맞은 기분이었죠. 그리고 잠시 생각해 본 결과, '정확해야 한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i5CFtevOHyKnVlUHXfqWdXNxx4c.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45:49 GMT HYEDITOR /@@3Hu3/47 [2019.1]&nbsp;한번 해 보겠습니다 - What We're Reading #177 /@@3Hu3/46 2019년 1월 첫 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매년 12월 31일에서 다음 해 1월 1일로 넘어가는 순간에는 묘한 기분이 듭니다. 여느 때와 다를 바 없는 하루가 지나갈 뿐인데, 완전히 새로운 페이지가 열리는 느낌이 들어서일까요. 실은 2018년 마지막 이틀간 휴가를 내면서 홀로 야심 찬 계획을 세웠습니다. 하나는 2018년의 요모조모를 꼼꼼하게 회고하며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xXzVbywnlj-_FjSvAYm7bvi_r24.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38:37 GMT HYEDITOR /@@3Hu3/46 [2018.11]&nbsp;블록, 질문, 그리고 프로세스 - What We're Reading #169 /@@3Hu3/45 종종 오락실에 가면, 무조건 한 번은 거쳐 가는 게임이 있습니다. 제가 동전 하나로 가장 오래 버틸 자신이 있는 게임이자, 이니셜을 남기려고 승부욕을 불태우는 게임이죠. 이름하여, 테.트.리.스. 엄근진* 모드로 써 보자면, 테트리스를 할 때는 네 가지 요소가 중요합니다.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숙달된 왼손, 빠른 블록 전환을 위해 리듬감 넘치게 버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BYjuxwvkdby6kmCocsA8wQj7xks.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30:29 GMT HYEDITOR /@@3Hu3/45 [2018.9] 무음의 연주 - What We're Reading #162 /@@3Hu3/44 짧은 여름 휴가의 마지막 날, 제주도 바닷가 근처 작은 서점에 들렀습니다. 그곳에서 동네서점에서만 살 수 있는 책으로 재탄생한 피천득 수필 선집 &lt;인연&gt;을 망설임 없이 집어 들었습니다. 교과서 수록 글이었다는 이유만으로 멀어졌던 &lt;인연&gt;과 오랜 시간이 흘러 극적으로 재회한 순간이었죠. 휴가를 기다리는 8월 한 달 동안 '내가 되고자 하는 모습은 무엇일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lnLTWxZGbMKHcgQYGYYkq67J5MU.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22:45 GMT HYEDITOR /@@3Hu3/44 [2018.6] 당신의 균형 잡기 기술은 무엇인가요? - What We're Reading #156 /@@3Hu3/43 한때 제 주요 업무 중 하나는 지면에 발행하는 인터뷰 기사 작성이었습니다. 당시 저는 햇병아리 인터뷰어였던지라 엄청나게 긴장하며 인터뷰이를 만나러 가곤 했었는데요. 매번 어렵고 떨려서 다음 달에도 기사를 쓸 수 있을지 걱정했지만, 동시에 그럴수록 잘하고 싶은 마음도 커져서 참 묘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나중에 누군가 제게 그 일을 좋아한 이유를 물었습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vX_pPJbjynZmViC64yNey3bojhY.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6:00:40 GMT HYEDITOR /@@3Hu3/43 [2018.6] 나를 관찰하는 시간 - What We're Reading #149 /@@3Hu3/42 약속이 미뤄진 어느 날, 갑자기 뜬 시간을 메우려고 책을 펼쳤습니다. 의심과 공감의 숲을 지나 깨달음의 개울을 건너며 책을 읽은 후 제가 했던 일은 '관찰'이었습니다.&nbsp;관찰 대상은 다름 아닌 저였고요.한 발짝 떨어져 지켜본 저는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이상적인 모습과 구체적인 상황에서 나오는 모습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꽤 있었거든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x9iZJfRrGiKXvvw76u7o_1TU32o.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5:44:30 GMT HYEDITOR /@@3Hu3/42 [2018.4] 두 가지 처방 - What We're Reading #141 /@@3Hu3/41 6주 전, 저는 PUBLY 팀원들에게 메일 한 통을 썼습니다. 제 소개가 담긴 그 메일에서 저는 좋아하는 책으로 생텍쥐페리의 《인간의 대지》를 꼽았습니다. 말을 꺼낸 김에 책장 속에 포근히 안겨 있는 책을 오랜만에 꺼내어 다시 펼쳤습니다.생텍쥐페리의 첫 직업은 비행기 조종사였습니다. 그가 남긴 여러 책에는 조종사로서 경험한 일과 생각이 잘 녹아 있죠. 하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M2JzQczwFQToTRyUmtDWFTfnEWw.jpg" width="500" /> Mon, 06 Jan 2020 15:41:16 GMT HYEDITOR /@@3Hu3/41 우리의 &lsquo;찐&rsquo;은 어디에 있을까요? - J에게 보내는 두 번째 편지 /@@3Hu3/40 며칠은 겨울 같고 또 며칠은 가을 같은, 마치 가을과 겨울이 등을 맞대고 앉은 듯한 계절이네요. J의 첫 번째 글을 읽고 &lsquo;욕망&rsquo;에 관해 이야기하던 지난 계절이 살포시 떠올랐어요. J는 동산에 오를지 에베레스트에 오를지 정하지 못한 채 일단 모든 장비를 모으려고 달리는 게 맞는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고 했죠. 당시에는 &ldquo;어떤 산을 오르고 싶은지 알아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uHzBGBac6YH2cMrXIm2MzE8SGB4.JPG" width="500" /> Sat, 23 Nov 2019 17:28:05 GMT HYEDITOR /@@3Hu3/40 아직 넘기지 않은 페이지 앞에서 - J에게 보내는 첫 번째 편지 /@@3Hu3/39 우리 서로에게 글을 써 보면 어때요? 두 달쯤 전이었나요. J의 제안을 받고, 망설일 틈도 없이 &ldquo;좋아요!&rdquo;를 외쳤습니다. 그동안 우리가 카톡으로, 또 만나서 주고받은 이야기만 해도 문서로 만들면 족히 책 한 권 분량은 나왔을 테니까요. 큰 주제는 어떻게 하면 &lsquo;근사하고, 즐겁게, 지속 가능하면서도, 건강하게 일할 수 있을까&rsquo;였는데(잠깐, 글로 쓰니 조건 Tue, 05 Nov 2019 10:40:37 GMT HYEDITOR /@@3Hu3/39 넘어지고 일어서며 여전히 배우고 있습니다 - &lt;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gt;의 저자 조한별 /@@3Hu3/18 심호흡 그날도 여느 때처럼 신간 목록을 훑고 있었다. 그러다 &lt;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gt;이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누구에게나 추천하지만 거의 읽지 않는다는 '고전'으로 수업을 한다는 학교. 그 학교에 다닌 한국인 학생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었다. 간단한 검토를 마친 후 저자가 오마이뉴스에 쓴 기사부터 찾아 읽기 시작했다. 내용도 물론 좋았지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Hu3%2Fimage%2FitiVvcsBb-AB_-CiCYrqy893GiE.jpg" width="500" /> Mon, 16 Oct 2017 04:21:27 GMT HYEDITOR /@@3Hu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