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영 /@@3zNm 정지영의 브런치입니다. ko Tue, 29 Apr 2025 13:15:21 GMT Kakao Brunch 정지영의 브런치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zZCERTOuV2JEUUSr5AmEcktdU7s.png /@@3zNm 100 100 1. 왜 책을 읽어도 이해하지 못할까? /@@3zNm/391 책은 읽지만, 이해는 못하는 아이들 &ldquo;우리 아이는 책을 정말 많이 읽는데, 무슨 내용인지는 잘 몰라요.&rdquo;많은 부모님들이 공통적으로 털어놓는 걱정입니다.처음엔 고개를 갸우뚱하게 됩니다. &lsquo;읽는다&rsquo;는 건 곧 &lsquo;이해한다&rsquo;는 거 아닌가?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책을 들고 조용히 페이지를 넘기는 모습은 그럴듯하지만, &ldquo;이 책 어떤 이야기야?&rdquo;라고 물으면 &ldquo;음. Tue, 22 Apr 2025 07:47:18 GMT 정지영 /@@3zNm/391 플라벨: 메타인지 키우는 '생각하며 읽기' 대화법 /@@3zNm/389 글쓰기 능력은 단순히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글을 스스로 점검하고 고쳐나가는 능력, 즉 '생각을 돌아보는 힘'입니다. 심리학자 존 플라벨(John Flavell)은 이를 '메타인지(metacognition)'라는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 메타인지는 '생각에 대한 생각', '읽는 나를 스스로 바라보는 눈'입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balLUiz_4R9OEzHuXgvE5Ma1ytw.png" width="500" /> Mon, 21 Apr 2025 00:01:23 GMT 정지영 /@@3zNm/389 비고츠키: 대화가 사고가 되는 과정과 부모 역할 /@@3zNm/388 아이는 세상을 보고 듣고 느끼면서 자라지만, 그 경험이 사고로 정리되고 지식으로 연결되려면 언어라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타인과의 대화이며, 특히 초기에는 부모와의 대화가 아이의 사고를 길러주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러시아의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Lev Vygotsky)는 이 과정을 '사고의 내면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 Sun, 20 Apr 2025 23:18:08 GMT 정지영 /@@3zNm/388 소리내어 글쓰기, 가정에서 할 때의 장점 /@@3zNm/387 '소리내기 글쓰기'의 장점을 최대한 누리려면 가정에서의 꾸준한 실천하는 것이&nbsp;중요합니다. 가정은 아이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이기 때문에, 새로운 학습 방법도 심리적 안정감 속에서 시작될 때 효과가 큽니다. 부모와 함께 집에서 소리내어 읽고 쓰기를 연습하면 다음과 같은 학습적&middot;정서적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학습적 측면에서의 장점 가정에서 소리내어 Sun, 20 Apr 2025 13:54:01 GMT 정지영 /@@3zNm/387 소리내어 읽기&middot;내적 음독의 개념과 효과 /@@3zNm/386 자녀가 글쓰기를 할 때 부모가 가장 자주 건네는 조언은 아마도 &quot;생각을 좀 더 정리해봐&quot; 또는 &quot;더 논리적으로 써야지&quot; 같은 말일 것입니다. 그러나 아이에게 이런 조언들은 구체적인 방법이 없어서 막연하고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글을 쓸 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쓴&nbsp;글을 점검하고 고쳐 나가는 능력입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BQpE3OqV606YRkvFA7aBsVm6lwo.png" width="500" /> Sun, 20 Apr 2025 13:39:16 GMT 정지영 /@@3zNm/386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글쓰기 멘토, 부모의 역할 /@@3zNm/385 소리내기 글쓰기가 필요한 순간, 부모의 역할 부모로서 아이의 글쓰기 실력을 키워주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학교 숙제로 억지로 글 몇 줄 쓰게 하는 날들, 혹은 일기장 앞에서 한참을 고민만 하는 아이의 모습을 지켜보며 답답함을 느끼셨을 수도 있고요. 이런 상황에서 &quot;내가 뭘 더 해줘야 하지? 글쓰기는 학교에 Sun, 20 Apr 2025 12:43:48 GMT 정지영 /@@3zNm/385 풍자냐 해탈이냐 /@@3zNm/384 우리는 종종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의 부조리 앞에 무력감을 느낀다. 최근 벌어진 일련의 정치적 사건과 그 사건으로 인해 목격한 여러 사람들과 세력들의 모습을 보면서&nbsp;많은 이들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과 상식이 무너지는 현실 앞에 상식의 무력함을 절감하고 있다. 때로 이런 현실은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침묵하거나 체념하게 만든다. 그러나 김수영이 시 &quot;누이야 장하 Sun, 13 Apr 2025 02:14:04 GMT 정지영 /@@3zNm/384 꽃은 왜 매년 다시 피는가 - ― 자연의 반복성과 인간 삶의 사유 /@@3zNm/383 &quot;여름의 아이들이여, 너희가 태어나는 순간 희망은 미소를 지었다.(Hope smiled when your nativity was cast, Children of Summer!)&quot; 윌리엄 워즈워스의 이 시에서 '여름의 아이들'은 봄에 피는 꽃을 의미한다. 이 꽃이 피었다 지고 여름이 되면&nbsp;울창한 잎이 자라고, 열매가 익어갈 것이다. 여름이 청년이라면, 봄은 Fri, 11 Apr 2025 23:25:34 GMT 정지영 /@@3zNm/383 16. 학습 보조 챗봇 만들기와 활용 가이드 /@@3zNm/382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nbsp;교사가 직접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우리 반 전용 학습 보조 챗봇은 교실 현장에서 선생님들의 새로운 조력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교사가 손쉽게 챗봇을 세팅하고, 수업 및 학습 보조에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룹니다. 또한 실제&nbsp;초&middot;중&middot;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nbsp;수업 시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LpikqzL6SLa70vgqvk7OfSYxpME" width="500" /> Sat, 05 Apr 2025 15:00:11 GMT 정지영 /@@3zNm/382 15. 교육 트렌드, AI를 요약, 정리 비서로 /@@3zNm/381 교육계의 흐름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새로운 교수법, 교육 정책, 연구 결과를 일일이 따라잡는 것은 교사들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는&nbsp;생성형 AI, 특히 ChatGPT와 같은 도구를 활용해 국내외 교육 트렌드를&nbsp;빠르고 정확하게&nbsp;파악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AI가 방대한 정보를 대신 검색하고 요약해주므로, 교사들은&nbsp;핵심만 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gO3z8jiMPPtIW58-FvGJNgo-KDo" width="500" /> Sat, 05 Apr 2025 11:51:00 GMT 정지영 /@@3zNm/381 15.&nbsp;교육 트렌드, AI를 요약, 정리 비서로 /@@3zNm/380 교육계의 흐름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새로운 교수법, 교육 정책, 연구 결과를 일일이 따라잡는 것은 교사들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는&nbsp;생성형 AI, 특히 ChatGPT와 같은 도구를 활용해 국내외 교육 트렌드를&nbsp;빠르고 정확하게&nbsp;파악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AI가 방대한 정보를 대신 검색하고 요약해주므로, 교사들은&nbsp;핵심만 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gO3z8jiMPPtIW58-FvGJNgo-KDo" width="500" /> Sat, 05 Apr 2025 05:02:16 GMT 정지영 /@@3zNm/380 14. 생활기록부, 챗GPT를 비서로 활용하기(2) /@@3zNm/379 자. 구글 시트로 생활기록부 작성 자동화하기 다음은 구글 시트를 활용하여 생활기록부 작성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교사가 ChatGPT와 구글 시트를 결합하여 생활기록부를 자동으로 작성하면, 반복적인 서술 작업을 크게 줄이고 더 많은 시간을 학생 관찰과 피드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초중고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과정을 단계별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4YJaErX_kNHrhdff5eRQdzOWU28" width="500" /> Sat, 05 Apr 2025 00:12:43 GMT 정지영 /@@3zNm/379 14. 생활기록부, 챗GPT를 비서로 활용하기(1) /@@3zNm/378 학생 생활통지표(생활기록부의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는 담임교사가 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을 종합하여 작성하는 일종의 맞춤형 평가의견입니다. 이 평가의견은 학생의 행동 발달, 학습 태도, 대인관계 및 성장 등을 담아내야 하지만, 수십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일이 서술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기 마련입니다. 다행히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활용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8xcZnvkTA-azXFaVMihCy7caT4U.png" width="500" /> Sat, 05 Apr 2025 00:03:54 GMT 정지영 /@@3zNm/378 15-13.&nbsp;ChatGPT 활용, 학부모와 소통하기 /@@3zNm/377 학부모와의 적극적인 소통은 학생들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교사들에게는 일일이 정성껏 편지를 쓰고 연락할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행히도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면 이러한 소통 업무의&nbsp;첫 초안을 빠르게 작성하여 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매 학기 반복되는 가정통신문 작성 등에 ChatGPT를 활용 Fri, 04 Apr 2025 06:17:28 GMT 정지영 /@@3zNm/377 15-12. ChatGPT로 공문과 지출품의서 처리하기 /@@3zNm/376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은 수업 준비뿐 아니라 각종 행정업무까지 감당해야 합니다. 실제로 OECD 교원조사(TALIS) 결과에 따르면 2018년 한국 교사의 주당 행정업무 시간은 5.4시간으로 OECD 평균(2.7시간)의 두 배였고, 2022년에는 주당 7.23시간(근무 시간의 약 17.8%)까지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과도한 행정업무로 인해 정작 수업과 학생 Thu, 03 Apr 2025 12:17:29 GMT 정지영 /@@3zNm/376 15-11.&nbsp;ChatGPT를 활용, 가정통신문작성법 /@@3zNm/375 가. ChatGPT 활용의 장점과 교육현장에서의 필요성 교사들은 학기마다 학부모에게 보내는 가정통신문 작성, 반복적인 품의서 작성 등&nbsp;손이 많이 가는 업무를 자주 마주합니다. 이러한 업무는 내용이 비슷하여 지루하거나 시간이 소모되지만,&nbsp;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정통신문의 경우 이전에 작성했던 내용을 바 Thu, 03 Apr 2025 07:12:59 GMT 정지영 /@@3zNm/375 15-10. 챗GPT로 평가 문항 생성부터 피드백까지 /@@3zNm/374 이번 장에서는 교사들이&nbsp;교육 평가에 ChatGPT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난이도 조정한 수준별 평가 문항 출제, 수준별 언어 사용, 개별 맞춤형 평가, 평가 결과 피드백 생성 등&nbsp;누구나 따라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예시와 설명을 통해 차근차근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AI 도구가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주진 않지만, 교사의 전문성과 결합하면 평가 Thu, 03 Apr 2025 00:00:14 GMT 정지영 /@@3zNm/374 15-9. ChatGPT 활용 수행평가 /@@3zNm/373 교사들이 수행평가를 준비하고 채점하는 과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잘 활용하면&nbsp;수행평가의 기획부터 평가 후 분석까지&nbsp;교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 수행평가 과제 아이디어 생성 새롭고 의미있는 수행평가 과제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ChatGPT를 아이디어 파트너로 활용하면&nbsp;과목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zNm%2Fimage%2FNJCjRrklaZuEPQbdG0-TbJ_ZsbE.jpg" width="500" /> Wed, 02 Apr 2025 06:34:51 GMT 정지영 /@@3zNm/373 15-8. 챗GPT 활용 수업 정리 및 학습내용 정리 /@@3zNm/372 가. ChatGPT로 활동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수업 마무리에서 핵심 활동 내용을 요약하면 학생들이 배운 것을 다시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ChatGPT에 간단한 지시만으로도 토론, 역할극, 모둠 발표 등 다양한 학습 활동 자료를 짧고 명료하게 요약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 프롬프트를 활용할 때에는 학생들의 연령과 활동 특성에 맞게 요청하는 Tue, 01 Apr 2025 13:51:46 GMT 정지영 /@@3zNm/372 15-7. 토론과 역할극에서 ChatGPT 활용하기 /@@3zNm/371 가. 토론&middot;역할극 수업, ChatGPT 활용의 의의 많은 학생들이 토론이나 역할극 수업에 부담을 느낍니다. 실제로 토론 수업을 제안하면 학생들은 &ldquo;토론에서 지는 것과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며 비판받는 것&rdquo; 때문에 부담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곤 합니다. 그 결과 소수의 적극적인 학생만 토론을 주도하고 다수의 학생은 방관자로 남는 현실도 나타납니다. 역할극 활동에 Tue, 01 Apr 2025 01:45:44 GMT 정지영 /@@3zNm/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