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살이 /@@52Ta 고시원 두 곳을 창업하고 통신 대기업을 퇴사했습니다. 시간부자의 삶을 누리며 경제적 자유를 향해가는 여정을 공유합니다. 유튜브, 인스타툰, 쓰레드 등 하고 있는 크리에이터입니다. ko Fri, 02 May 2025 23:03:10 GMT Kakao Brunch 고시원 두 곳을 창업하고 통신 대기업을 퇴사했습니다. 시간부자의 삶을 누리며 경제적 자유를 향해가는 여정을 공유합니다. 유튜브, 인스타툰, 쓰레드 등 하고 있는 크리에이터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WRqOF5cEUDpi32_kWgJcQpA5HrQ.PNG /@@52Ta 100 100 고시원 운영 2년, 코인 건조기는 얼마 버나요? - 고시원 운영 2년의 데이터 /@@52Ta/86 강남과 사당의 두 곳 고시원을 운영한지 벌써 2년차 입니다. 고시원 운영에는 다양한 고정비가 들어가는데요, 전기비, 가스비, 수도세 뿐만 아니라 시설 보수 유지비 + 각종 비품 비용이 듭니다. 운영하는 고시원 스타일에 따라서 라면을 종류별로 제공하거나 햇반, 시리얼, 원두커피를 제공하는 고시원도 있는데요. 저는 운영 편의성을 위해 가장 가성비 있는 방값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5Y247OWu-6ur9K7nvZL7lNGO2pg.jpeg" width="500" /> Thu, 01 May 2025 06:50:14 GMT 사당살이 /@@52Ta/86 500억 자산가에게 들은 법인 활용법 - 법인 매출을 활용한 부동산(사옥) 매매 /@@52Ta/85 최근 사업가 투자자 모임에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특강을 해주신 분과 운이 좋게도 뒤풀이 자리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는데요. 이분을 간단히 소개해 드리자면 세무전문가이시면서 부동산 투자자로서 500억 대 자산을 만드신 분이었어요. 아파트 투자부터 해서 다양한 거주용, 비거주용 부동산 투자를 많이 하시고, 세금적으로도 경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tbSRXQ9KJYhO-hSaSkIDJ_HS-aw.jpeg" width="500" /> Fri, 25 Apr 2025 04:57:33 GMT 사당살이 /@@52Ta/85 직장인 추가로 월 100 벌기 ('25버전) - 정답은 AI 툴 사용과 작은 퍼스널 브랜딩입니다. /@@52Ta/84 현재 소득보다 월 100만 원만 더 벌 수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 모든 직장인 &amp; 부업을 생각하는 사람의 목표일 텐데요. 실제 다양한 강의 시장에서도 이런 분들 타깃으로 &quot;월 100 더 벌기&quot;를 카피 문구로 하는&nbsp;아이템들이 즐비합니다. 그간 사실 정답이 있었습니다. 바로 에어비앤비와 삼삼엠투로 대표되는 공간 대여 사업인데요. 투자금 1500~3000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ZQ4a_oz9nDxRRQHnELGG1z-63oY.jpeg" width="500" /> Mon, 21 Apr 2025 05:34:51 GMT 사당살이 /@@52Ta/84 퇴사를 하고 가장 좋은 점 - 바로 낮술입니다. /@@52Ta/83 대기업을 퇴사하고, 고시원 두 곳을 안정적으로 세팅한 이후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이 생겼습니다. 덕분에 유튜브나 다른 SNS도 활발히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또 다른 많은 기회들도 얻을 수가 있었는데요. 그중 하나가 고시원 창업 세미나와 강의였습니다. 고시원 원장님들은 특성상 되게 심심하거든요. 입실자 문제나 시설 문제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고 공<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kJsnc6nDi-1n6pqRNxTRxAx7pis.JPG" width="500" /> Sun, 20 Apr 2025 10:44:26 GMT 사당살이 /@@52Ta/83 회사에서 체리 판매한 이야기 - 과일 위탁 판매의 시조새 /@@52Ta/82 거의 10년 가까이 된 이야기입니다. 저는 통신 대기업을 다녔었는데요. 처음에 입사하자마자 현장(전화국)에 배치되는 룰이 있었습니다. 인천 쪽 지사 영업기획팀으로 배치가 되었죠. 처음에 엄청 환영받았던 기억입니다. 통신사 쪽은 유선 대리점보다는 신입사원을 본사 조직이나 무선 대리점 쪽으로 그간 보내왔거든요. 신입사원 연수를 마치고 배치 이후 처음 출근했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gqON6Mq2jMMCyeZTyopA8IbacnQ.jpeg" width="500" /> Fri, 18 Apr 2025 05:41:57 GMT 사당살이 /@@52Ta/82 시간 부자의 의외의 고민 - 고시원 창업과 반 자동화로 이룬 고시원장의 라이프 /@@52Ta/81 저는 시간 부자입니다. 부러우신가요? 부러우실 법 합니다. 경제적 자유 이상으로 내 시간을 온전히 내가 컨트롤한다는 것은 엄청난 강점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평범한 통신사 직장인이었습니다. 이전 글들을 통해서 대기업을 퇴사하고 고시원을 차리고 유튜브를 개설하고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드렸는데요. 고시원 사업이 반 오토로 세팅이 되고, 감사하게 장인 장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Q9TI28S0ri0gSE6WSrqoVKbSFSA.jpeg" width="500" /> Sun, 13 Apr 2025 09:55:53 GMT 사당살이 /@@52Ta/81 퇴사를 가능케 한 8가지 파이프라인 -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방법들 /@@52Ta/80 멀쩡한 대기업 그만두고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그 기준을 최소 월급의 두 배였는데요, 저는 고시원 두 곳을 창업하고 1년 운영해 본 데이터를 확인한 후에야 퇴사를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일반 자영업처럼 하루 종일 제가 매여있어야 하는 업종이다 하면 메리트가 떨어진다 생각했죠. 시간적으로 확보가 되어야 육아를 돕건, 또 다른 사업을 펼쳐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q_BbSCeP_UY1stkFSReW5-GxrJ0.jpeg" width="500" /> Tue, 08 Apr 2025 06:59:41 GMT 사당살이 /@@52Ta/80 SNS에는 돈 잘 버는 사람이 왜 이리 많을까? - 평균의 착시와 그들만의 리그 /@@52Ta/78 문득 그런 생각이 듭니다. 저는 SNS를 정말 열심히 하는데요. 일전에 개인 계정으로 볼 때는 '다들 맛있는 것 먹고, 좋은데 놀러 가는구나'의 콘텐츠를 많이 접했던 반면, 퍼스널 브랜딩 목적의 계정을 키우다 보니 돈을 잘 번다는 콘텐츠가 홍수를 이룹니다. SNS에는 유독 돈 잘 번다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아요 그도 그럴 것이 실제로 연봉 1억 넘게 받<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TVnCmQ6x4JMzujc-8Oap1cd9kW4.jpeg" width="500" /> Thu, 03 Apr 2025 04:00:06 GMT 사당살이 /@@52Ta/78 직장인 추가로 월 100만 원 노리는 방법 - 직장인 부업의 시대 /@@52Ta/77 바야흐로 직장인 부업의 시대입니다. 지금처럼 '돈, 돈' 거리던 때가 있었을까요? 재테크 혹은 부업을 안 하면 뒤처지는 느낌까지 드는 시대입니다. 저도 한때는 직장인이었는데요. 같은 고민을 했던 것 같아요. '딱 월급보다 100만 원 정도만 더 벌 수 있는 부업이 없을까?' 하고요. 실제로 시도도 많이 해봤습니다. 블로그 애드센스, 체험단부터 해서요 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2SC9yQMaaVk85pN_6XNoO2h-hR4.jpeg" width="500" /> Wed, 02 Apr 2025 01:33:37 GMT 사당살이 /@@52Ta/77 월 천 번다는 사람이 못 미더운 이유 - 월 천의 시대 진짜를 구별해야 합니다. /@@52Ta/76 SNS에 보시면 월 천 번다는 후기가 넘쳐납니다. 다소 피로할 정도인데요. 구매대행, 스마트 스토어부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릴스, 제휴 마케팅 등 종류도 아주 다양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무료 강의를 통한 유료 강의로의 전환을 홍보하곤 하죠. 가령 블로그로 월천만 원을 번다는 사람이 있다면요. 그거 다섯 개만 하면 월 오천입니다. 그리하면 많은 돈을 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_nMjU_aJAYrGdJJvO8t94EKY6vc.jpeg" width="500" /> Wed, 26 Mar 2025 02:56:31 GMT 사당살이 /@@52Ta/76 월 천 이후 가족 법인이 필요한 이유 - 절세와 증여, 가족 비즈니스의 시작 /@@52Ta/75 월 천 벌기 쉽지 않습니다. 혹 달성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만. 고민이 있으실 거예요. 바로 '세금'입니다. 저는 고시원 두 곳으로 유의미한 현금흐름을 만들고 퇴사했는데요. 이후 유튜브나 SNS 활동을 열심히 하면서 다른 많은 기회들을 얻게 됩니다. 창업 노하우를 담은 전자책 판매로 시작을 했고요. 원 데이 클래스, 세미나, 1:1 컨설팅까지로 지식창업의 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uKqGxRcA2IOcDqqBL36NVDCr0aU.jpeg" width="500" /> Sun, 23 Mar 2025 03:49:46 GMT 사당살이 /@@52Ta/75 월급의 50%는 모아보자 - 실수령 3~400만 원, 잉여 금액이 있어야 투자를 할 수 있어요. /@@52Ta/74 1억을 모으면 높은 확률로 10억 자산가가 될 수 있다. 제가 많이 공감하는 이야기이며, 저는 이뤄낸 부분입니다. 돈을 모으려면요 일단은 월급 지출을 관리하고 고정비를 줄이고, 모으고 불리는 과정이 필연적입니다. 참고로 두 번째 컷. 사회 초년생 시절 월급이 채 400만 원이 안 되었다는 오류입니다. 저걸로 댓글 난리가 났었어요. 300 정도였던 것 같<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A7eS-K_CWweDBLlp__1RMEmcG3I.jpeg" width="500" /> Fri, 21 Mar 2025 06:08:50 GMT 사당살이 /@@52Ta/74 상위 0.1% 가는 방법 - 10% X 10% X 10% /@@52Ta/73 상위 0.1%면 통계적으로 1000명 중에 한 명이라는 아주 낮은 확률입니다. 저도 상위 0.1%는 아닌 것 같지만요. 그래도 제 차근차근의 노력을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저는 대기업을 퇴사하고, 고시원 두 곳을 창업 그리고 이후 행보들을 하고 있는데요. 매년 재테크나 자기 계발 목표를 세우고 한 해를 시작하시죠. &quot;월 100 정도만 부업으로 더 만들어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9zpzq-v93ynE2GTaKFHk9R1IdLA.jpeg" width="500" /> Wed, 19 Mar 2025 02:00:32 GMT 사당살이 /@@52Ta/73 고시원 창업, 가장 중요한 성공요소 - 공간대여 사업, 입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52Ta/72 저는 고시원 창업 성공의 8할은 입지(물건이 위치한 곳)라고 봅니다. 비단 고시원 뿐만 아니고 요식업 같은 자영업도 사실은 목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음식점 비교를 하더라도요. 요새 맛없는 음식을 파는 음식점은 드뭅니다. 모두가 맛은 있어요. 다만 장사가 잘되고 안되고의 차이가 존재하고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입지라 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vwzT4RMkxz5aropPKMtJF7OLl9s.png" width="500" /> Tue, 18 Mar 2025 02:45:03 GMT 사당살이 /@@52Ta/72 퇴사 1년 후 느끼는 대기업 진짜 장점 - 고시원 두 곳 창업 후 퇴사한지 어느덧 1년입니다. /@@52Ta/71 통신 대기업을 퇴사하고, 자영업 사업을 한지 어느덧 1년이 되었습니다. 육아휴직도 2년이나 사용했으니 회사가 까마득하긴 합니다. 최근 회사 동기를 만났는데 어느덧 차장이 되었고,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더군요. 다른 길을 가고 있지만 존경의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이 참 간사한 게 그래도 지금 고시원 두 곳이 안정적으로 세팅되고, 다른 사업들도 진행<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bxkt5M3RpLuwXDA34F14c_QkoTA.jpeg" width="500" /> Mon, 17 Mar 2025 08:04:37 GMT 사당살이 /@@52Ta/71 대기업 퇴사 이후 제일 잘 한 것 - &quot;사당살이&quot; 퍼스널 브랜딩 /@@52Ta/70 고시원 두 곳이 완전히 세팅된 이후, 다음 스텝을 고민했습니다. 제가 염원했던 퇴사가 임박한 순간이었습니다. 그다음 문제는 &quot;퇴사 이후에는 무엇을 할 것인가?&quot;였습니다. 감사하게도 장인어른, 장모님이 아이의 등하원을 맡아 주셔서, 시간적으로 더더욱 부자가 될 상황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quot;해보고 싶었던 거를 마음껏 해보자&quot; 생각을 했습니다. 돈 버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HPC52LeFDXIrbuhU8mnbJPRduWc.PNG" width="500" /> Sat, 15 Mar 2025 10:11:28 GMT 사당살이 /@@52Ta/70 10억 순자산 달성케한 계획 세우는 법 - 장기 계획과 단기 계획 그리고 To-do list /@@52Ta/69 저는 MBTI 대문자 &quot;P&quot;입니다 굉장히 즉흥적인 편입니다. 그래서 회사 다닐 때부터 일부러 좀 큰 그림도 세워보고 다이어리도 기록하는 습관을 길렀습니다. 이런 습관은 제 재테크에도 이어져 왔는데요. 결혼 전에 다소 투박한 방법으로 1억 정도를 모을 수 있는 비법이기도 했어요. (이전 회차 참고) 결혼을 하면서 재테크에 대한 고민이 더 가중되었는데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4WTzno-aQ4-3U9xYaxy_nBIaBds.jpeg" width="500" /> Thu, 13 Mar 2025 23:39:04 GMT 사당살이 /@@52Ta/69 상급지 지금이라도 추매(추격매수) 해야할까? - 부익부빈익빈_ 강남 집값은 날라가던데... /@@52Ta/68 서울 아파트값이 심상치가 않네요. (저는 작년 말에 서울 아파트 작은 거 하나를 매도했습니다) 본래는 상급지 갈아타기를 하려고 했었는데요. 타이밍을 조금 놓치고, 이미 올라간 애들 따라가기가 너무 싫더라고요. 그럼에도 상급지 갈아타기는 결과적으로 항상 옳았던 거는 같습니다. 다만 아파트 투자 + 거주는 긴 호흡이기 때문에 너무 올라가고 있는 거를 따라 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0VV4gwBmFYYJyheFZ9B4EeWCXtk.jpeg" width="500" /> Wed, 12 Mar 2025 04:33:15 GMT 사당살이 /@@52Ta/68 얼마의 부자가 되고 싶은지에 따른 방법론 - 목표로 하는 금액에 따라 접근이 달라져야 합니다. /@@52Ta/66 저는 백억 부자가 목표입니다.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믿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울 개인적, 가족적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원래 이렇게까지 &quot;돈&quot;, &quot;돈&quot; 거리는 스타일은 아니었는데요. 회사 입사하고 결혼하고, 아이가 나오며 인생의 중요 퀘스트들을 깼다고 생각하며 항상 다음 스텝을 고민했습니다. 가족을 이루기 전까지는 행복한 가족을 이루는 것이 가장 크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kO1BCpLO5fzrgFCHcDGSbxgjp98.jpeg" width="500" /> Tue, 11 Mar 2025 00:34:27 GMT 사당살이 /@@52Ta/66 구독자 1천 유튜버 - 고시원 입실자보다 구독자가 늘어날 때 더 행복했던 시절 /@@52Ta/67 지난 편에서 제가 사당살이 고시원을 운영하며, 유튜브 채널 &quot;사당살이&quot;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한번 소개해 드렸는데요. /@kkanglive/63 웬걸 좋은 편집자를 만나니 시간 많고 그간 저도 제가 자아가 이렇게 강했나 싶었을 정도로 유튜브에 몰입하게 됩니다. 하루의 일과가 유튜브 구독자가 한 명, 두 명 늘어난 것을 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2Ta%2Fimage%2F4jIGKYhXDAnVAAT5wbKthkaT-2M.png" width="404" /> Mon, 10 Mar 2025 07:43:23 GMT 사당살이 /@@52Ta/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