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보로 /@@5ru 커피 외계 도래설을 주창하는 야매 기획자/로컬 컨텐츠 PD https://litt.ly/ujoosonyeon ko Tue, 29 Apr 2025 13:26:35 GMT Kakao Brunch 커피 외계 도래설을 주창하는 야매 기획자/로컬 컨텐츠 PD https://litt.ly/ujoosonyeon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J_s5H3CfEMGDEQ8w0Wt6m6F0A8c.jpg /@@5ru 100 100 일본 로컬을 가다(3) - 이주자가 쏘아올린 작은 공, 시즈쿠 프로젝트 /@@5ru/75 2011년에 일어난 전대미문의 3&middot;11 동일본대지진은 많은 일본인의 삶을 바꿨다. 특히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은 자연재해를 넘어 인류 역사상 최악의 인재로 돌변시켰다. 일본 언론이나 한국 언론에 보도되지 않았지만 당시 수도권을 빠져나간 사람이 꽤 많았다. 고향으로 돌아간 사람도 있지만 새로운 이주지를 찾아 간 사람도 있었다. 오사카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TUq1dJOIitb20j2W6zA-LeLEFKU.jpg" width="500" /> Fri, 14 Apr 2023 04:21:00 GMT 소보로 /@@5ru/75 일본 로컬을 가다(2) - 개교와 동시에 전국구로 등장한 지역 학교, 마루코토 /@@5ru/74 가미야마는 그간 인구감소에 따라 학교 절반을 폐교했다. 가미야마 연대공사는 가미야마 농업고등학교의 교육 커리큘럼을 미래 지향적으로 재편하는 걸 학교 측에 제안했다고 한다. 그간 농업고등학교는 기존 가부장적 질서 안에서 유통되고 있던 교육 과정을 고수해왔다고 한다. 예컨대 여성에게는 농가에서 여성이 할 일 등.&nbsp; 그런 상황에서 누가 공부를 하고 싶어했을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QsaP7qfmWY82aR9BVTkakyTckXM.jpg" width="500" /> Thu, 13 Apr 2023 02:45:58 GMT 소보로 /@@5ru/74 일본 로컬을 가다(1) - 마을의 진화, 가미야마는 왜 주목받고 있나 /@@5ru/73 행안부 청년마을만들기 청년들과 함께 일본 로컬을 둘러보고 왔다. 첫 번째 방문지는 &lsquo;가미야마 마을&rsquo;로 잘 알려진 가미야마초(町). 이곳은 일본 시코쿠 도쿠시마현에 속한 산림 지역인데 지방소멸과 인구감소 위기를 잘 버텨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곳 마을 이야기는 &lt;마을의 진화&gt;란 책에 잘 나와 있지만 직접 가서 보니 과연! 소리가 절로 나왔다. 짧은 일정<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XiG7EzEub5wQkJ0CwEwaFyp-MEg.jpg" width="500" /> Mon, 10 Apr 2023 04:28:47 GMT 소보로 /@@5ru/73 일본의 지방창생과 &lt;스즈메의 문단속&gt; - 영화보고 딴소리 /@@5ru/72 &lt;스즈메의 문단속&gt;은 잘 알려졌듯이 2011년 3&middot;11 동일본 대지진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이미 전작 &lt;너의 이름은&gt;과 &lt;날씨의 아이&gt;에서도 재난을 주요한 사건으로 설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혜성 충돌이나 수해 같은 돌려 말하기식이 아닌 그야말로 동일본 대지진에 돌직구를 던진 것. 동일본 대지진은 그 자체로도 전대미문의 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QkTGDlO6z7u6FZs9a9DljMWcIdo.jpg" width="500" /> Thu, 06 Apr 2023 06:04:19 GMT 소보로 /@@5ru/72 일본의 지역재생은 왜 실패했을까 - 《마을 만들기 환상-지역재생은 왜 이렇게까지 실패하는가》 /@@5ru/71 지난 8월 16일, 행안부는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을 시작했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를 풀기 위한 정부출연금이다. 지난 해 첫 고시한 소멸위기 지역 89곳에 향후 10년간 매년 1조원을 지원한다. 행안부는 이와 별도로 소멸 위기 지역에 청년마을을 구축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lsquo;청년마을 만들기&rsquo;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중기부도 &lsquo;로컬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6K1PNpd3lO13oGA4gGZhH4dEw1c.jpg" width="500" /> Wed, 24 Aug 2022 07:57:41 GMT 소보로 /@@5ru/71 지속가능한 멍때리기를 허하라! 영월 &lsquo;밭멍&rsquo; - 로컬그라운드 /@@5ru/70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 강원 영월 &lsquo;밭멍&rsquo; 농사짓기에 도전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 지역자원을 재해석하거나 자신만의 특기를 살려 지역에서 새로운 일을 &lsquo;창직&rsquo;하는 이른바 로컬크리에이터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라 농업을 주제로 한 청년마을의 등장은 오히려 더 신선하게 다가온다. 올해에는 강원 영월의 &lsquo;밭멍&rsquo;이 농사를 기반으로 한 청년마을로 선정됐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50BZrW3XBKR5wJ3a_RPJ1HX9wCM.jpg" width="500" /> Thu, 04 Aug 2022 06:17:44 GMT 소보로 /@@5ru/70 원격근무는 세상을 바꿀 것이다 - 로컬그라운드 /@@5ru/69 최근 네이버가&nbsp;새로운 근무제도를 실행했다.&nbsp;주 3일 출근하고 나머지는 원격근무하는 방식과 전면 원격근무 방식 둘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이런 근무제도는 코로나19 이후에 달라진 업무 방식과 라이프스타일을 적극 반영한 게 특징이다. 네이버 산하의 라인플러스는 이미 해외 원격근무도 허용하고 있고, 카카오도 원격근무 제도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하니 조만간 IT<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sce7WFc23-_F0v5B4761HKfsmok.jpg" width="500" /> Tue, 02 Aug 2022 05:55:44 GMT 소보로 /@@5ru/69 지역과 자신의 삶에 이야기를 구축하는 &lsquo;병영창작상단&rsquo; - 로컬그라운드 /@@5ru/68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 전남 강진 &lsquo;병영창작상단&rsquo; 남해와 맞닿은 남쪽 끝 강진에 청년마을이 들어섰다. 강진읍을 중심으로 꾸려진 &lsquo;병영창작상단&rsquo;이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에 선정된 것이다. 병영창작상단은 지난 2020년 서울시 지역 연계형 청년창업지원 사업 &lsquo;넥스트로컬&rsquo; 출신의 로컬기업 &lsquo;아트랩소디&rsquo;가 이끌고 있다. 아트랩소디의 전지윤 대표는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Pr_BR519t8PBqvya8UddyLxuSbo.jpg" width="500" /> Wed, 27 Jul 2022 04:39:19 GMT 소보로 /@@5ru/68 막장에서 피어난 새로운 희망, 광광스토리지 - 로컬그라운드 /@@5ru/67 ::행안부 청년마을 강원 태백 '광광스토리지' 강원 태백에는 폐광을 앞둔 석탄 광산이 있다.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가 바로 그곳인데 오는 2024년에 폐광 예정이다. 문제는 지역 사람들이다. 탄광촌의 특성 상 폐광이 되면 지역 경제는 멈출 수밖에 없다. 그래서 지금 태백 사람들은 지역 중심산업인 석탄 채굴이 멈춘 후의 불안한 미래를 걱정하고 있다. 그런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kkkJEh7KbogrppPrbmoShgVu1i8.jpg" width="500" /> Tue, 26 Jul 2022 06:10:18 GMT 소보로 /@@5ru/67 나의 삶을 스케치하다, 속초 라이프밸리 - 로컬그라운드 /@@5ru/66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 강원 속초 &lsquo;라이프밸리&rsquo; 설악산과 동해 그리고 호수까지 품고 있는 속초. 그런 속초에서 누가 먼저 청년마을을 만들지 항상 궁금했다. 그런데 드디어 주인공이 나타났다. 주인공 이름은 &lsquo;라이프밸리&rsquo;이다. 라이프밸리는 속초를 기반으로 활동해 온 로컬콘텐츠 기획사 (주)트리밸의 이승아, 이상혁 공동대표가 꾸리고 있다. 이들은 20<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wrRHldU5yc4-ReKfqmaU0hcIYlo.jpg" width="500" /> Tue, 19 Jul 2022 06:02:07 GMT 소보로 /@@5ru/66 스타트업 맛집, &lsquo;오히려하동&rsquo; 스타트, 업! - 청년마을 /@@5ru/65 고향은 언젠가 떠날 곳이기도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언젠가 돌아갈 곳이기도 하다. 영화 &lt;리틀 포레스트&gt;에서 혜원(김태리 분)은 양파 &lsquo;아주심기&rsquo;를 위해 언젠가 돌아올 것이라는 여운을 남기고 도시로 떠났다. 돌아갈 곳이 있다는 건 어떤 면에서는 축복이다. 그곳에서라면 뭐든 해볼 수 있으니까.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행안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결국 청년들 스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Jf_gzrW1SmGYbYbwWjeYYqeUXO8.jpg" width="500" /> Tue, 12 Jul 2022 06:55:29 GMT 소보로 /@@5ru/65 가자미로 어디까지 해봤니? - 로컬그라운드 /@@5ru/64 2022년 행정안전부(행안부) 청년마을로 선정된 12곳은 저마다 특색이 있고 개성이 넘친다. 특히 해당 지역에서만 접할 수 있는 지역자원을 재발견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청년마을이 눈에 띈다. 경주 &lsquo;가자미마을&rsquo;이 바로 그런 곳이다. 경주를 기반으로 &lsquo;가자미마을&rsquo;을 이끌고 있는 로컬콘텐츠 기업 &lsquo;주식회사 마카모디&rsquo; 김미나 대표는 경주 감포의 대표 지역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OVH1JI1qZ0TJ1l2TeXk27WqNCCo.jpg" width="500" /> Wed, 06 Jul 2022 01:24:15 GMT 소보로 /@@5ru/64 시골할매와 도시손녀의 맛있는 이야기 - 로컬그라운드 /@@5ru/63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 경남 함양 &lsquo;고마워! 할매&rsquo;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소울푸드가 있기 마련이다. 누군가는 어머니의 된장찌개일수도 있고, 다른 누군가는 아버지가 해준 계란찜일 수도 있다. 그런데 어느 쪽이든 그 맛의 원류는 할머니였을 확률이 높다.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로 선정된 12곳 중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시골 할머니의 손맛에 주목한 팀이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RXGv3e1UOO_FVXx2n6wg80lRCVM.jpg" width="500" /> Fri, 01 Jul 2022 10:14:44 GMT 소보로 /@@5ru/63 다 &lsquo;두고&rsquo;&nbsp;와! - 아산 청년마을 'DOGO 온천' /@@5ru/62 아산의 청년들이 뭉쳐 도고면에 청년마을 &lsquo;DOGO 온천&rsquo;을 만든다. 2022년 행안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선정된 곳이다. 지난 6월 13일 아산 지역 내 청년을 대상으로 한달살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청년마을의 출범을 알렸다. 그렇다고 이곳에서 새로운 온천을 개발하는 건 아니다. 여기서 &lsquo;DOGO&rsquo;는 &lsquo;두고&rsquo;라고 읽어야 하며 &lsquo;온천&rsquo;은 따뜻한 사람과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e-ZmJuTMsh5tSrypO54T_rZA0Js.jpg" width="500" /> Tue, 28 Jun 2022 04:13:24 GMT 소보로 /@@5ru/62 신중년(?)의 지역이주 - 로컬그라운드 /@@5ru/61 지방소멸과 인구감소 국면으로 치닫는 한국. 언론과 사회는 저마다 OECD 국가 중 최저 출생률 수치를 강조하면서 이대로라면 미래의 한국은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거꾸로 출생률이 높아지면 지방소멸 문제도 해결될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으리라 본다. 현재의 지방소멸 문제는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에 있다. 젊은 세대가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JVz-8jQ3oBlqJ3JaTvieyVJen_A.jpg" width="500" /> Wed, 22 Jun 2022 09:05:23 GMT 소보로 /@@5ru/61 술 한 잔 사케! - 군산 청년마을 '술 익는 마을' /@@5ru/60 군산에 청년이 주도하는 &lsquo;술 익는 마을&rsquo;이 조성될 예정이다. 군산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지역자원 관리 기업 &lsquo;지방&rsquo;은 202년 행안부 &lsquo;청년마을 만들기 사업&rsquo;에 선정됐다. 그 중심에 있는 조권능 대표는 군산을 이끌었던 청주 산업에 주목했다. 근대 청주 산업 중심지였던 군산의 유산을 이어받아 수제 청주 양조법을 되살리고, 청년 감성으로 재해석한 청주 문화를 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uS42w7tJCpNMZ4sP1kg3zkQiKEM.jpg" width="500" /> Tue, 21 Jun 2022 04:59:25 GMT 소보로 /@@5ru/60 나는 잘 살고 있습니다 - 《서울이 아니라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5ru/59 오늘날 한국인에게 서울은 도시로서의 공간과 장소 개념을 떠나 삶을 장악한 거대한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에 살지 않아도 그 시스템의 영향에서 자유롭긴 쉽지 않다. 그래서 지역이주는 쉬운 일이 아니다. 《서울이 아니라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의 저자 김희주는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 서울이 아닌 곳에서 사는 게 특별한 일은 아니지만 어려운 일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t3W0u45S-nBws9mS5Yr3QSNFIQU.jpg" width="500" /> Wed, 15 Jun 2022 09:35:27 GMT 소보로 /@@5ru/59 열탕과 냉탕사이 어디쯤,&nbsp;《탈서울 지망생입니다》 - 뭐든지 보고,書 /@@5ru/58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많은 생명뿐 아니라 한 도시를 송두리째 앗아갔다. 살아남은 사람도 마찬가지였다. 가족과 동료를 잃은 슬픔뿐 아니라 자신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lsquo;장소&rsquo;를 느닷없이 상실한 것이다. 일본의 사상가 우치다 타츠루는 &lt;로컬로 턴!&gt;에서 일본인의 탈도쿄 러시가 이때부터 본격화했다고 말한다. 원자력발전소 폭발로 방사능 오염이 퍼지는 것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_09ezXU5Ae074P8ZI6EEO3D8Igs.jpg" width="500" /> Tue, 14 Jun 2022 08:50:59 GMT 소보로 /@@5ru/58 &lsquo;생텀마을&rsquo;에 어서 오세요 - 로컬탐방: 예천 생텀마을 /@@5ru/57 경북 예천 효자면에서 활동하는 &lsquo;소백산 생텀마을&rsquo;팀은 청년 힐링을 내세운 마을이다. 지금까지 청년마을은 농사짓기나 아니면 지역 자산을 활용한 제품을 만들어낸다거나 하는 식의 적극적 &lsquo;액션&rsquo;이 이뤄져왔는데 생텀마을은 &lsquo;명상&rsquo;이라는 치유의 마을을 메인 콘셉트로 들고 나왔다. 실제로 보건복지부 자료(2021년)에 의하면 2030 청년세대의 우울증 위험도가 심상<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8um4DMEM4sDvd1b3-7kG3gliZWU.jpg" width="500" /> Mon, 13 Jun 2022 09:09:10 GMT 소보로 /@@5ru/57 사라질수록 빛나는 순간, 오로라 아파트에서 무슨 일이? - 뭐든지 보고,書 /@@5ru/56 이경란 작가의 《오로라 상회의 집사들》은 재건축으로 철거를 앞둔 어느 강남의 오래된 아파트에 세 명의 청년이 함께 살게 되면서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실직 후 실업급여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며 구직 활동을 하는(다시 말해 백수) 민용과 공시족 연후 그리고 등록금 마련을 위해 휴학 후 편의점과 당구장 알바를 하는 저커가 우연한 기회에 곧 철거될 오로라 아파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5ru%2Fimage%2Fp0r9c6keEgwVG5wUMBOISLz97-k.jpg" width="500" /> Thu, 09 Jun 2022 07:48:10 GMT 소보로 /@@5ru/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