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e /@@7Jpi IT/비즈니스에 관심이 많습니다. 핀테크 스타트업에서 Product Manager로 일하고 있습니다. ko Wed, 30 Apr 2025 22:43:22 GMT Kakao Brunch IT/비즈니스에 관심이 많습니다. 핀테크 스타트업에서 Product Manager로 일하고 있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ad4QBF4ant7smmfAAObplXNtARI.JPEG /@@7Jpi 100 100 모두가 윈윈 하는 제품 만들기 /@@7Jpi/57 왜 모두가 윈윈 해야 할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는 한쪽만의 노력으로 만들어지지 않아요. 정부, 회사(서비스), 사용자라는 세 주체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며 서로 협력할 때, 비로소 시장과 사회가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어요. 모두가 윈윈 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해요. 정부가 공정한 환경을 만들어야 지속 가능한 시장을 유지할 수 있고, 회사는 규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wHjrsNVHol_AjUU6NdcYpYI3uEI.png" width="500" /> Sun, 15 Dec 2024 08:34:37 GMT June /@@7Jpi/57 성공에 고정된 방식은 없어요. /@@7Jpi/56 성공 방식은 고정되지 않아요.(일반화를 주의해요.) 우리는 제품을 만들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여러 실험을 거치곤 해요. 어떤 방식이 사용자에게 가장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우리 제품의 지표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nbsp;대부분의 시도는 실패하지만, 간혹 성공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때, 우리는 이 한 번의 성공이 너무 기쁜 나머지 이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vVJIQzlNuSfGANcEVyNccu_2Pgk.WEBP" width="500" /> Sun, 13 Oct 2024 07:34:21 GMT June /@@7Jpi/56 더하기보다 바꾸거나 빼기 /@@7Jpi/55 더하기 우리가 새로운 제품(또는 스타트업)을 만드는 것은 기존에 존재하는 제품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이 존재해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만들기 위함이거나 아니면 기존에 정말 없는 시장이라고 생각해 새로운 시장을&nbsp;개척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어떤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살펴보면 이미 시장에서 잘하고 있는 제품들이 있거나, 없을 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xp9PbivMqbaghlz-xLlw3agns0U.png" width="500" /> Sun, 02 Jun 2024 08:19:16 GMT June /@@7Jpi/55 커뮤니케이션 충돌을 헤쳐나가기 /@@7Jpi/54 커뮤니케이션 여러 팀원과 함께 제품을 만들다 보면,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에 대해서 고민하게 됩니다. PM이 정의하는 문제 및 해결방안, 요구사항에 대해서 메이커들이 이를 디자인하고, 구현하고, 분석하는 형태가 되다 보니 PM이 업무 요청 또는 업무 지시/할당을 진행하게 됩니다. 물론 훌륭한 조직에서는 메이커들이 스스로 이를 판단하여 업무를 진행하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mcQJiQBByULG10PHjCj1beYdhiU.png" width="500" /> Sun, 26 May 2024 06:01:42 GMT June /@@7Jpi/54 유저 시나리오가 요구사항입니다 /@@7Jpi/53 정책 정해주세요. PM, 기획자로 일을 하면서 디자이너나 개발자로부터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는 정책을 정해 달라는 말이에요. 근데 늘 저는 이미 정책은 이미 잡았다고 생각했어요. 정책에 기반한 요구사항도 정해놓았어요. 가령 아래와 같이 말이에요. 000 법과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의 재산권 보호와 앱의 보안을 위해 앱 잠금 기능을 구현합니다. 한편, 이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_2fpI0TG_htmF3kY287M8pQESm4.jpg" width="500" /> Mon, 29 Jan 2024 16:16:24 GMT June /@@7Jpi/53 PM에게 필요한 &quot;추상화&quot; 역량 /@@7Jpi/52 추상화라고요? 컴퓨터 과학에서 추상화란 복잡한 자료, 모듈, 시스템 등으로부터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능을 간추려 내는 것을 말해요. 컴퓨터 과학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추상화는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묶거나 여러 가지 사물이나 개념에서 공통되는 특성이나 속성 따위를 추출하여 파악하는 작용을 말해요. PM이나 PO로서 우리는 매일 수많은 사람들, 문제들을 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XVfdFhOIWhkhSS5G3542oNZV2bM.jpg" width="500" /> Sun, 20 Aug 2023 07:37:19 GMT June /@@7Jpi/52 예측 가능하게 만들기 /@@7Jpi/51 예측 가능함. '예측하다'는 '미리 헤아려 짐작하다'를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즉 예측이란,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와 통찰을 토대로 결과를 미루어 짐작하는 것을 말해요. 다시 말해서 현재 처해진 상황과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충분히 고민하고, 생각하며 통제하여 결과를 짐작하는 것으로 이는 굉장히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요. 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NmRtkg1cNMlSpLu1UeCS3KGTJ4s.jpg" width="500" /> Sun, 13 Aug 2023 08:35:55 GMT June /@@7Jpi/51 일이 자꾸만 커진다면. /@@7Jpi/50 일은 자꾸 커질 수 있어요. 기능을 만들다 보면 최초에 생각했던 것보다 큰일이 되는 경우들이 발생하곤 해요. 특히 제품의 복잡성이 커질수록 이렇게 일이 커지는 경우가 많아질 수 있어요. 간단한 기능의 추가정도라고 생각했던 것이 다른 제품이나 기능에 영향을 준다거나, 제품의 기존 정책에 수정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어요. 결국 최초에 구현하고자 했던 범위에 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qh1zaDehEZuzU8tCjegBr2J8xcQ.png" width="500" /> Sat, 20 May 2023 07:21:00 GMT June /@@7Jpi/50 지키면서 만드는 혁신 /@@7Jpi/49 지킬 건 지키고, 가치를 만들어 혁신을 추구해요. 정도(正道), 사업을 운영함에 있어 올바르고 당당하게 함을 말해요. 정도를 지키는 것이 곧 혁신이에요. 비윤리적이거나 규제와 법규를 무시하는 형태로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때때로 더 빠른 길처럼 보이고,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문제가 생기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전보다 훨씬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_x6FPtnkI7Phrf4CrSnw6r9cgoI.jpg" width="500" /> Sun, 19 Mar 2023 06:16:13 GMT June /@@7Jpi/49 공급자 관점에서 탈피하기 /@@7Jpi/48 우리는 공급자의 관점에서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제품은 시장에서 외면받기 쉽다. 창업 전선에 뛰어들어 고군분투하고 있거나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거예요. 하지만 실행해보려고 해도 쉽지 않아요. 일단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토대로 제품을 구현하는 것이 보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AGKG-zEtLa6VWghX-TxWEdesUhQ.jpg" width="500" /> Sun, 26 Feb 2023 06:23:18 GMT June /@@7Jpi/48 인스파이어드에서 살펴본 Discovery - PM 필독 도서, 인스파이어드를 읽다 /@@7Jpi/47 Discovery 만들 만한 가치가 있는 제품이 아니라면 엔지니어팀이 얼마나 훌륭한지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가 뛰어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다고 해서 고객이 제품을 사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제품/시장 궁합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제품/시장 궁합이란, 특정 시장의 고객들이 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WHJJjoU9z9hYRFWgLXZjHLCS3-4.jpg" width="500" /> Thu, 01 Dec 2022 07:20:06 GMT June /@@7Jpi/47 사용자 리텐션에 대한 고찰 /@@7Jpi/46 사용자가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우리는 제품을 더 널리 알리고, 새로운 사용자를 더 많이 획득하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하곤 합니다. 물론 새로운 사용자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많은 정성을 쏟는 것도 좋지만, 우리 제품이 더 지속 가능하고,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더 오래 잔류하고, 지속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만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f9SIeh4ZiVdBcZ8a5tMo58n0YEE.jpg" width="500" /> Sat, 06 Aug 2022 07:00:40 GMT June /@@7Jpi/46 Product Discovery /@@7Jpi/45 지금, Product Discovery를 해야 하는 이유 앞서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서 Discovery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했었다. Product Discovery는&nbsp;새로운 기능이나 새로운 제품을 탐색하고 발굴하는 활동을 말한다.&nbsp;우리 제품이 제공하지 않았던 새로운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가치를 찾는 과정이며, 우리 제품이 나아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_U1EP1o3iugqEoLdtn35OuxJYbc.jpg" width="500" /> Sun, 19 Jun 2022 07:51:13 GMT June /@@7Jpi/45 서비스 기획 살펴보기 /@@7Jpi/44 서비스 기획, 뭘 하는 걸까? 서비스 기획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하나의 서비스, 제품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말한다.&nbsp;서비스 기획은 무언가를 만들어내기 위해 고민하는 행위를 수반하는데,&nbsp;무언가를 만들어낸다는 것은 사용자가 겪고 있거나 겪게 될 문제를 찾아내고,&nbsp;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서 해결 방법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한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hVlBxes9eMxeAww4JXXALe58e3U.jpg" width="500" /> Sun, 27 Mar 2022 06:58:55 GMT June /@@7Jpi/44 간편한 자산관리, 로보 어드바이저 /@@7Jpi/43 투자자문 서비스의 대중화 자산을 관리하는 방법은 예금, 적금, 주식 및 채권 투자, 코인 투자, 부동산 투자&nbsp;등 여러 방식이 있다. 예금과 적금을 제외하고 투자라는 개념 중에서&nbsp;주식은 자산 관리 및 투자를 막 시작하는 사람이&nbsp;접근하기 쉬운 방식일 것이다. 물론&nbsp;처음&nbsp;접근하는 만큼 어떤 종목을 골라야 할지, 자산배분은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해지기 마련이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yw5k84tNafQcd0r4WvaXOvDD6JI.jpeg" width="500" /> Mon, 14 Mar 2022 15:07:29 GMT June /@@7Jpi/43 &ldquo;아하!&quot; 하는 순간, &quot;Aha Moment&quot; /@@7Jpi/42 &ldquo;아하!&rdquo;하는 순간이라고? 어떤 특정한 순간에서 갑자기 무언가를 깨닫거나 느껴 &ldquo;아하!&rdquo;라고 외치는 순간을 &ldquo;Aha Moment&rdquo;라고 한다. 영어 관용어 표현으로 문자 그대로 아하!라고 외치는 순간을 말하는데, 이를 제품 관점으로 옮겨와 보면 사용자가 우리 제품을 사용하면서 가치를 발견하는 순간을 말한다. 오늘은 &ldquo;아하!&rdquo;하는 순간인 &ldquo;Aha Momen<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93RnBX-m4IQf790spmRNSq_VQvg.jpeg" width="500" /> Mon, 28 Feb 2022 08:33:17 GMT June /@@7Jpi/42 A/B Test, 강력한 제품 검증 도구 /@@7Jpi/41 위험을 줄이면서 제품을 테스트해볼 수 있다면?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늘 질문하게 되는 구간이 있다. &ldquo;이건 정말 해결할 필요가 있는 문제일까?&rdquo;, &ldquo;개선할 필요가 존재하는 문제인가?&rdquo;, &ldquo;임팩트가 클 것인가?&rdquo; 즉 문제와 아이디어를 정의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질문하게 된다. 또는 &ldquo;괜히 이 기능/디자인을 적용했다가 사용자가 이탈하면 어쩌지?&rdquo;, &ldquo;매출이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S2GrLVNTHn7Eh2IE6OSLHBF3tX4.jpeg" width="500" /> Mon, 21 Feb 2022 04:59:28 GMT June /@@7Jpi/41 제품 개발의 시작, 1 Pager /@@7Jpi/40 1 Pager는 무엇일까? 1 Pager는 제품 및 프로덕트를 만드는 구성원이 제품 개발에 대한 목표를 파악하고, 이유를 공감하며, 무엇을 만들어야 할지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를 말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1 Pager 문서를 토대로 각자 어떤 방식에서 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지 파악하고, 자신의 역할에 맞추어 제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QpM3QVOUMfQm-VxMGCNOLjTqjaI.jpeg" width="500" /> Sun, 13 Feb 2022 05:27:21 GMT June /@@7Jpi/40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 - Discovery &amp; Delivery /@@7Jpi/38 Discovery와 Delivery는 무엇일까? 제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는 과정인 Discovery와 이미 발굴한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Delivery가 그것이다. 두 가지를 한 번에 진행하기는 어렵기도 하고, 완전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이나 리소스가 많지 않은 팀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Bwdwr3x2r-B2gY6U1VuNSskM_n0.jpeg" width="500" /> Thu, 03 Feb 2022 03:50:08 GMT June /@@7Jpi/38 퍼널 분석과 퍼널 뿌시기 /@@7Jpi/37 퍼널(Funnel) 모든 프로덕트에는 퍼널이 존재한다. 퍼널은 깔때기라는 뜻으로 사용자가 유입되어 결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또는 더&nbsp;나아가 재구매를 하거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거나, 주변에 추천하는 과정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수가 퍼널의 각 과정을 지날 때마다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이런 모습이 깔때기와 같아 퍼널이란 용어를 사용하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7Jpi%2Fimage%2F435haMP3OF_rMI6pfHVu50nCGyA.jpg" width="500" /> Fri, 24 Dec 2021 04:22:20 GMT June /@@7Jpi/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