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철 /@@8Ky5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완독을 원하는 모든 분을 응원하는 브런치입니다. ko Fri, 16 May 2025 04:14:59 GMT Kakao Brunch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완독을 원하는 모든 분을 응원하는 브런치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tat9-54vlgToKYWgosf-v9_p1d4 /@@8Ky5 100 100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10-4. 식상한 르네상스는 가라, 네덜란드의 바로~크 /@@8Ky5/43 빛의 화가 그리고, 셀카마니아.&nbsp;렘브란트. 17세기 네덜란드의 독립과 정치, 경제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종교개혁'과 '대서양 시대'였다. '종교개혁'은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반 스페인 적이며, 도시 상공인 중심의 신교인 '칼뱅주의'를 받아들여 성상, 성화를 배격하였고 오직 성경만을 강조한 엄격한 금욕주의로 종교미술의 퇴조를 불러왔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eoHwpgwCPscB1eFS1HDMqe-81O4.jpg" width="500" /> Sun, 11 May 2025 10:00:05 GMT 최영철 /@@8Ky5/43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10-3. 식상한 르네상스는 가라, 바로~크 시대, 17세기 중후반 /@@8Ky5/42 사물은 빛에 따른 색의 덩어리야! 고야, 달리 그리고, 피카소. 여러분들이 익히 들어본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거장들이다. 또한, 스페인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그럼, '디에고 벨라스케스'라는 미술가는 알고 있는가? 만약, 그가 없었다면 위의 거장들 또한 존재하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 그만큼 미술사에서 그의 족적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1<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iMjXQtpGhm-nUQNLT-gkhQGXa1k.jpg" width="500" /> Sun, 04 May 2025 10:00:04 GMT 최영철 /@@8Ky5/42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10-2. 식상한 르네상스는 가라, 바로~크 시대. 17세기 전반기 /@@8Ky5/41 썩어도 준치, 르네상스 in&nbsp;바로크 17세기초 당시 로마는 오늘날의 미술가들에게 있어 파리나 뉴욕과 흡사했다. 이유는 가톨릭의 수도가 로마였고 가톨릭과 교황은 유럽 최대의 예술 후원자였기 때문이다. 막강한 후원과 문화적 권위를 가진 로마에서 인정을 받으면 유럽 전체에서 명성을 얻는 구조로 이탈리아는 물론, 유럽 각지의 내로라하는 예술가들이&nbsp;로마로&nbsp;모여<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i352Ubkg9P6k_hIDIivLutAqJV4.jpg" width="500" /> Sun, 27 Apr 2025 10:00:04 GMT 최영철 /@@8Ky5/41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10-1. 식상한 르네상스는 가라, 바로~크 시대. 17세기 전반기 /@@8Ky5/40 빛과 어둠속의&nbsp;리얼한 현실, 카라바조 르네상스를 뒤이은 양식을 보통 바로크(Baroque)라고 부른다. 16세기 보석과 진주 무역의 중심지였던 포르투갈의 보석상들이 기형적이고 못생긴 진주의 상품 등급을 'barroco'라고 불렀고,&nbsp;이 말이 유럽으로 퍼지면서 유래가 되었다.&nbsp;오늘날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예술 양식 이름들은 이렇듯&nbsp;처음에는 그 양식을 낮<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aWcguYUxYq0UTchYkr5rhwXXEAg.jpg" width="500" /> Sun, 20 Apr 2025 10:00:03 GMT 최영철 /@@8Ky5/40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9-3. 르네상스를 넘어, 16세기 중후반 /@@8Ky5/39 고난 속에 핀 꽃, 초상화(花)와 풍속화(花) 16세기 중반 신교도 지역의 화가들은 더 이상 교회의 제단화를 그릴 수 없게 되자 책의 삽화나 초상화가 주요 수익원이 되었다. 독일에서 이미 유명했던 미술가 '한스 홀바인'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독일을 떠나 영국에서 정착하여 헨리 8세의 궁정 화가가 되었다. 그가 주로 그렸던 성모상은 왕실의 초상화로 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crU0lz1wm6xNZwshDf13KWGoJug.jpg" width="500" /> Sun, 13 Apr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39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9-2. 르네상스를 넘어, 16세기 중후반 /@@8Ky5/38 사진기의 발명을 예견한 미술가, 엘 그레코 종교 개혁에 의해 초래된 신교도들의 성상에 대한 우상 숭배 논란은 북유럽 미술이 계속해서 존속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심각한 문제와 부딪치고 있었다. 반면에 앞장에서 언급한 '엘 그레코'의 주요 활동 지역인 남유럽의 미술가들은 새롭고 놀라운 기법으로 그림을 그리는 문제와 씨름하기만 하면 되었다. 특히, '엘 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2TAppOHf2hmA2om9vxkiRiF1WoI.jpg" width="500" /> Sun, 06 Apr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38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9-1. 르네상스를 넘어, 16세기 중후반 /@@8Ky5/37 더 자극적으로 더 감정적으로, 매너리즈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르네상스 또한 '완벽한 균형'이라는 익숙하고 정형화된 양식으로 여겨지기 시작했고&nbsp;예술가들은 언제나처럼 새로운 방식을&nbsp;탐구하기&nbsp;시작했다.&nbsp;그 결정적 계기가 되는 사건이 1517년 발생하는데,&nbsp;마틴 루터가 가톨릭 교회를 향해 '95개 조 반박문'을 발표하며&nbsp;'종교개혁'이 시작된 것이다. 이 개혁<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jNs1yLrgsw6HOVjGCfyOd2VVg9I.jpg" width="500" /> Sun, 30 Mar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37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12.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북유럽 /@@8Ky5/36 여전히 종교적인 그러나, 세속적인 북유럽 르네상스 16세기 초 북유럽의 미술은 중세적 전통과 르네상스적 요소가 공존하는 독특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마티아스 그뤼네발트'는 예술적인 기량면에서 '뒤러'와 비견할 수 있는 유일한 독일 화가라는 평을 받는데, 르네상스적 합리성과 고전적 조화보다는&nbsp;중세적 신비주의와 강렬한 종교적 감성을 강조하여 '뒤러'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mQ7Q04z_d5nl2N49bY-x-NS38so.jpg" width="500" /> Sun, 23 Mar 2025 10:00:04 GMT 최영철 /@@8Ky5/36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11.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독일 /@@8Ky5/35 독일 미술의 아버지,&nbsp;알프레히트 뒤러 이탈리아 거장들의 위업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그것은 과학적인 원근법의 발견, 인체를 완벽하게 표현하게 만든 해부학에 관한 지식, 고전(클래식) 시대의 건축 형식에 관한 지식이다. 알프스 북쪽에 사는 사람들 중 학문이나 문화 부흥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누구나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지혜와 보물들이 발견되는 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9D49Wy-Vp5b-GQfYiRefQFUNbLI.jpg" width="500" /> Sun, 16 Mar 2025 10:00:01 GMT 최영철 /@@8Ky5/35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10.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북부 이탈리아 /@@8Ky5/34 가장 극적이고 가장 환상적인 시골 미술가, 코레조 미술가들이 새로운 가능성과 새로운 발견을 위해서 정진한 것은 비단 베네치아와 같은 큰 도시뿐만은 아니었다. 북부 이탈리아의 소읍인 파르마에서도 당대 가장 진보적이고 가장 과감한 혁신가로 평가받는 화가가 있었으니 '코레조'라 불리는 '안토니오 알레그리'였다. 그러나, 그는 당시 르네상스 미술가 중 가장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ggyVeVAXU5xUNLvb0Lawe48VdIQ.jpg" width="500" /> Sun, 09 Mar 2025 10:00:03 GMT 최영철 /@@8Ky5/34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9.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베네치아 /@@8Ky5/33 베네치아 미술, 작가주의를 완성하다. 이탈리아 미술에 있어 피렌체의 위상에 버금가는 도시가 베네치아였다. 일찍이 십자군 전쟁의 혜택(중계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였고 동방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던 이 도시는 르네상스 양식을 다른 이탈리아 도시보다 더디게 받아들였으나 일단 받아들인 후에는 색채와 감각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것은 피렌체의 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V874WeSZp0nVZGTEgDA5PJsMmfw.jpg" width="500" /> Sun, 02 Mar 2025 10:00:01 GMT 최영철 /@@8Ky5/33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8.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피렌체 /@@8Ky5/32 자연보다 더 자연스러운, 라파엘로 산치오 16세기 르네상스 절정기의 피렌체 3대 거장 중 막내인 '라파엘로'는 37세에 요절한 천재 미술가였다. 그의 고향 우르비노에서 피렌체에 막 도착한 그에게는, 그 보다 30살이 많은 다 빈치와 같은 광범위한 지식도, 미켈란젤로 같은 왕성한 정력도 없었다. 그러나, 그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부드러운 성격의 사교적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uahEEd3EJ4uQiFB_K55SjGzOKxM.jpg" width="500" /> Sun, 23 Feb 2025 01:15:45 GMT 최영철 /@@8Ky5/32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7.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피렌체 /@@8Ky5/31 인류 최초&nbsp;만능 예술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16세기 이탈리아 미술을 빛낸&nbsp;두 번째 피렌체 미술가는 '미켈란젤로'이다. 그는 '레오나르도'와 같이 해부학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으나 해부학을 인간에 대한 수많은 수수께끼 중 하나로 본 '레오나르도'와는 달리 이 하나의 문제만을 완전하게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그를 모든 각도에서 인체의 표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Gzb2exYpE0V59JGS1WWFlDOEUAY.jpg" width="500" /> Sun, 16 Feb 2025 10:00:03 GMT 최영철 /@@8Ky5/31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6. 절정의 르네상스, 16세기 초 피렌체 /@@8Ky5/30 절정의 첫 주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드디어, 르네상스 미술의 가장 절정기라 할 수 있는 16세기에 접어들었다. 특히, 곰브리치는 이&nbsp;시기의 르네상스를 설명하기 위해 유럽을 세&nbsp;지역('토스카나와 로마', '베네치아와 북부 이탈리아', '독일과 네덜란드')으로 나누어 지면을 할애하고 있어 당시&nbsp;위대한 미술가들의 업적과&nbsp;그&nbsp;위상을 짐작케 한다. 토스카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kj8fI6bkLZTw0BZBW_6AyaIV15Q.jpg" width="500" /> Sun, 09 Feb 2025 10:00:04 GMT 최영철 /@@8Ky5/30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5. 과도기의 르네상스, 15세기 중후반 /@@8Ky5/29 전통과 혁신, 시간이 필요해 2. 르네상스 최초의 화가 마사초가 죽은 지도 약 130년이 지난 15세기 중후반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는 완숙한 원근법을 기반으로 회화의 구도, 소재, 빛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었다. 오늘은 이러한 시도를 통해 르네상스 미술을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린 3명의 작가를 중심으로 소개를 하고자 한다. 14<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93q0SCDnO3amkNpfYAuAEvTh6Ak.jpg" width="500" /> Sun, 02 Feb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29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4. 과도기의 르네상스, 15세기 중엽 /@@8Ky5/28 전통과 혁신, 시간이 필요해 1. 약 1400년까지는 유럽 각지의 미술이 비슷한 수준으로 발전해 갔다. 회화나 조각의 목적이 모두 종교라는 한 가지로 점철되었기 때문이며, 이 시기의 고딕 화가들과 조각가들의 양식을 '국제 고딕 양식'이라 불리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그러나, 15세기 초 이탈리아와 북유럽의 미술가들이 이룩한 새로운 발견들은 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FEfgJR1duvVH_0xQaYq4inS8WJ4.jpg" width="500" /> Sun, 26 Jan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28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3. 일상의 거울, 북유럽의 르네상스(15세기) /@@8Ky5/27 르네상스도 다 같은 르네상스가 아니더라 15세기초, 이탈리아와 북유럽의 르네상스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nbsp;전개되어 갔다. 이탈리아의&nbsp;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부활, 인체의 이상화, 원근법에 중점을 둔 반면, 북유럽의 르네상스는 종교적 주제는 물론, 일상의 세부 표현, 상징적 의미에 초점을 맞춰 발전하였다. 특히, 북유럽의 르네상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imxsusUbG6dOy_fVIXBq46czQeo.jpg" width="500" /> Sun, 19 Jan 2025 10:00:02 GMT 최영철 /@@8Ky5/27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2. 클래식의 부활, 르네상스 조각(15세기) /@@8Ky5/26 최초 르네상스 화가의 동네 형, 최초 르네상스 조각가 부르넬레스키와 친분을 쌓은 인물 중 가장 위대한 조각가는 동료 마사초보다 15살 많은 '도나텔로'였다. 브루넬레스키와 함께 로마에서 고대 미술을 연구한 그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재현하고자 하였고 부조 형식의 조각에 원근법을 적용한 최초의 르네상스 조각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가 생존할 당시 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HwbKXJKdTkyVn8Hwxm_4KjuIIZE.jpg" width="500" /> Sun, 12 Jan 2025 10:00:31 GMT 최영철 /@@8Ky5/26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8-1. 클래식의 부활, 르네상스(15세기) /@@8Ky5/25 27세에 요절한 최초의 르네상스 화가 클래식이란, '고전'이라는 뜻으로 일류의, 최고 수준의, 대표적인 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며, 시대를 초월하여 지속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을 우리는 흔히 '클래식하다'라고 표현한다.&nbsp;특히, 미술사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고전기'라 불리는 기원전 5~4세기의 미술과 르네상스 시기의 미술을 지칭하는데, 중세&nbsp;이탈리아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Gvlfl26hwSucrQVQZ4eLdnOrNDg.jpg" width="500" /> Sun, 05 Jan 2025 10:00:30 GMT 최영철 /@@8Ky5/25 왜 그렇게 그렸니? 서양미술사 - 7-3. 고딕 양식의 절정, 국제 고딕 (14세기말~15세기초) /@@8Ky5/24 기억의 습작 No, 관찰의 습작 Yes 앞서 언급한 '국제 고딕'양식을&nbsp;곰브리치는 '국제적 양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고 양식적 특징은 자연에 대한 관찰력과 아름답고 섬세한 표현으로&nbsp;그들 주변 세계를 묘사하는 데 적용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quot;이 양식의 경의적인 예로 프랑스의 대가가 영국 왕을 위해 그린 &lt;윌튼 두폭화&gt;를 들 수 있다. 실제 역사적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Ky5%2Fimage%2FpDqsld5tLzF7q2mCJ-6cC19H8xw.png" width="500" /> Sun, 29 Dec 2024 10:00:32 GMT 최영철 /@@8Ky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