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디 /@@FP5 와우디랩 대표 최송일(테디)입니다. 와우디랩은 디자인씽킹 기반 교육훈련 전문기업이며, 디자인씽킹을 통해 고객 중심 일하는 방식, 창의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ko Sun, 11 May 2025 12:07:19 GMT Kakao Brunch 와우디랩 대표 최송일(테디)입니다. 와우디랩은 디자인씽킹 기반 교육훈련 전문기업이며, 디자인씽킹을 통해 고객 중심 일하는 방식, 창의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FKmEYd5d5lPgBORRSO7naEDNLlo.png /@@FP5 100 100 9. 고객의 마음을 푸는 마지막 열쇠, 꼬리질문 - 말의 끝이 아닌, 마음의 시작을 여는 꼬리 질문, 왜 중요한가요? /@@FP5/57 &ldquo;당신은 참 질문을 예쁘게 잘합니다.&rdquo;나는 가끔 이런 말을 듣는다.그럴 때마다 스스로에게 묻곤 한다.&ldquo;내 질문이 왜 그렇게 들릴까?&rdquo; 곰곰이 생각해 보면,그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내가 먼저 알아차렸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그리고 그것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는 데항상 함께했던 것이 있다.바로 &lsquo;꼬리질문&rsquo;이다. � 꼬리질문은 여행가이드다 꼬리질문은 사람의 말이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5sHsmanBTXa4v6C5Mxs82wkIKl8.JPG" width="500" /> Fri, 09 May 2025 00:52:42 GMT 테디 /@@FP5/57 회고는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 와우디랩의 일하는 방식 '흔한 회고의 모습' /@@FP5/55 워크숍이 끝났습니다.모든 발표가 마무리되고,사진도 한 장 남겼고,&ldquo;수고하셨습니다!&rdquo;라는 인사도 주고받았죠. 보통은 여기서 마무리됩니다.그리고 바로 다음 프로젝트로 넘어갑니다. 그런데 와우디랩은그 순간,이런 질문을 가지고 회고를 시작합니다. &quot;이번 워크숍 기획하고 현장에서 운영하면서 어떤 새로운 배움이 있었나요?&quot; &quot;우리의 의도와 다르게 진행된 점은 무엇인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mjNbi3ybohS_06OWhmDcAZ2cpjg.heic" width="500" /> Thu, 08 May 2025 01:25:32 GMT 테디 /@@FP5/55 8. 고객도 모르는 고객의 마음을 알고 싶다면 - 아이디어가 태어나는 질문 7가지 /@@FP5/54 고객 인터뷰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출발점이 됩니다. 하지만 정작 고객에게 물어봐도, &ldquo;정확한 니즈를 잘 모르겠어요.&rdquo; &ldquo;고객이 말은 해주지만 실질적인 아이디어로 연결되진 않아요.&rdquo; 라는 고민이 여전히 많습니다.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고객 자신도 자신의 마음을 모를 때가 많기 때문입니다 고객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이 불편한지, 왜 이걸 쓰는지 스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pWz0IOL4WBu2bomsH_CJ5DrtzmI.PNG" width="500" /> Tue, 06 May 2025 22:57:33 GMT 테디 /@@FP5/54 7. 당연한 것을 다시 묻다 - 정의 질문이 주는 놀라운 기회 /@@FP5/53 오프라인 매장이란 무엇인가요? 공간의 정의를 바꾸자, 아이디어도 달라졌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너무 익숙한 개념에 질문을 던지지 않습니다. 매장, 시장, 고객, 선물&hellip; 익숙한 단어는 그대로 두기보다 그것이 다양한 관점에서 새롭게 정의 내려 보면 생각지도 못한 기회가 찾아옵니다 새로운 기회는 정의 자체를 다시 묻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ldquo;오프라인 매장<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lXho8ROGiliwd8l7Y18vQiCJmYQ.PNG" width="500" /> Sat, 03 May 2025 23:44:25 GMT 테디 /@@FP5/53 6. 고객의 하루를 상상하면, 아이디어는 달라집니다 - 제품 중심에서 시나리오 중심으로 전환하는 질문법 /@@FP5/52 고객을 더 잘 이해하고 싶은데, 인터뷰를 해도, 데이터를 봐도 아이디어가 막힐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이렇게 물어보세요. &ldquo;고객이 이 제품을 쓰는 하루의 한 장면을 상상해 본다면 어떤 모습일까?&rdquo; 기능, 가격, 사용성&hellip; 그보다 먼저 고객의 맥락, 감정, 순간을 상상해 보는 것. 그게 아이디어를 바꾸는 전환점이 됩니다. 제품 설명보다 시나리오가 먼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yzyVr1NKRMBtLqAlSzajfeLBO68.PNG" width="500" /> Thu, 01 May 2025 21:47:50 GMT 테디 /@@FP5/52 5. 고객이 사지 않을 이유부터 물어본 이유 - 질문 하나가 바꾼 제품의 방향 /@@FP5/51 워크숍에서 나왔던 아이디어는 꽤 괜찮았습니다. 하지만 어딘가 어색했습니다. 고객의 니즈에서 출발한 느낌보다는 공급자의 의도, 확신, 기대가 더 많이 보였죠. 그래서 질문을 바꿔봤습니다. &ldquo;고객은 왜 이걸 안 살까?&rdquo; 그 순간, 팀원들의 얼굴이 바뀌었습니다. 처음엔 당황했지만, 곧 웃으며 솔직한 이야기가 쏟아졌습니다. &ldquo;귀찮아서 안 살걸요.&rdquo; &ldquo;비건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aPU--H7J4a6UTr-4y91uEcOeNNY.PNG" width="500" /> Thu, 01 May 2025 05:03:17 GMT 테디 /@@FP5/51 좋은 교육은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시작됩니다 - 좋은 교육은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 /@@FP5/50 이마트 신임 점장 교육을 설계하기 전, 우리는 먼저 한 분의 점장님을 만나 그분의 삶을 들었습니다. LG전자 서비스 엔지니어 교육을 준비할 땐, 3일간 그들과 동행하며 현장에서 하루를 함께 보냈습니다. 단순히 &ldquo;어떤 스킬을 가르칠까?&rdquo;보다, &ldquo;이분들은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rdquo; &ldquo;삶은 어떨까?&rdquo; &ldquo;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rdquo; 그들의 맥락과 언어, 감정<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GAEo1YOunUhjI-46lrfVOVzMTuk.PNG" width="500" /> Thu, 01 May 2025 04:21:31 GMT 테디 /@@FP5/50 문제를 쏟아내는 법 (Problem Flow) - 아이디어보다 먼저 문제에 몰입해 보기 /@@FP5/49 좋은 아이디어는 흐름을 탈 때 찾아옵니다. 머릿속에 생각이 끊이지 않고 흘러나오며 마치 물줄기처럼 이어질 때, 우리는 종종 이렇게 말하죠. &ldquo;지금 완전히 플로우에 빠졌어.&rdquo; &ldquo;아이디어가 막 쏟아져 나와.&rdquo; 이걸 아이디어 플로우(Idea Flow) 상태라고 한다 그렇다면, 아이디어처럼 문제도 그렇게 쏟아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이 질문에서 시작해 하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hPxVadHj2D9OXSSNu8G2MuBT9Rs.PNG" width="500" /> Wed, 30 Apr 2025 12:30:18 GMT 테디 /@@FP5/49 3. 질문 하나가 바꾼 시청의 역할 - 순천시민의 삶에서 출발한 공간 디자인 이야기 /@@FP5/48 &ldquo;시민들이 원하는 시청은 어떤 모습일까?&rdquo; 우리는 이 질문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순천시에 새로운 신청사를 설계하기 위한 리서치. 시민의 목소리에서 답을 찾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200명 가까운 시민들과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처음엔 흔히 묻는 질문부터 시작했죠. &ldquo;시청에 가면 보통 뭐 하세요?&rdquo; &ldquo;어떤 공간이 있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vFUCZ-8SKvSaaCuEdQGrvWyYdqM.PNG" width="500" /> Wed, 30 Apr 2025 12:12:31 GMT 테디 /@@FP5/48 1. 프레임을 깨고 싶다면 질문부터 바꿔보세요 - 의자를 디자인하지 말고, &lsquo;앉는 경험&rsquo;을 상상해 보는 법 /@@FP5/47 디자인 워크숍을 진행하다 보면 자주 듣는 질문이 있습니다. &ldquo;정말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어떻게 떠올릴 수 있을까요?&rdquo; &ldquo;생각이 고정돼 버린 것 같은데, 어떻게 깨야 할까요?&rdquo; 저는 그럴 때마다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ldquo;질문을 바꿔보세요.&rdquo; 한 워크숍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주제는 &lsquo;세상에 없는 새로운 의자 만들기&rsquo;. 참여한 디자이너들은 자연스럽<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nKOAn3eOlKHQEg3_VOp-O9h5_H4.PNG" width="500" /> Wed, 30 Apr 2025 12:05:05 GMT 테디 /@@FP5/47 4. 교육장을 떠나 고객의 집으로. - 진짜 배움은 삶 가까이에서 시작된다 /@@FP5/46 &ldquo;우리의 고객은 정말 무엇을 필요로 할까?&rdquo; 일룸의 교육은 이 질문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타겟층, 새로운 공간 솔루션. 그 대상이 누구인지, 그들에게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리는 정말 알고 있었을까요? 처음엔 늘 그렇듯, 데이터를 모으고, 제품 정보를 검토하고, 시장을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뭔가가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결심했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NPAPl_mpaXK0S5apPK1StWbO330.PNG" width="500" /> Tue, 29 Apr 2025 22:11:38 GMT 테디 /@@FP5/46 2. 좋은 교육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느냐? - 좋은 교육을 위한 현업자 인터뷰 5가지 질문 /@@FP5/45 교육을 설계할 때마다 드는 고민이 있습니다. 어떤 콘텐츠를 넣을지, 어떤 강사를 부를지보다 먼저 이런 질문이 떠오릅니다. &ldquo;이건 정말 필요한 교육일까?&rdquo; 특히 고객과 직접 접점이 없는 기술 연구직 대상 교육일수록 그 질문은 더 또렷하게 다가옵니다. 최근 한 고객사와의 미팅에서 선행 연구자들을 위한 교육 기획을 논의하게 되었습니다. 교육 담당자의 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zh5kv7bTOSZs_FK0N1PRoJYU3os.PNG" width="500" /> Thu, 24 Apr 2025 01:31:17 GMT 테디 /@@FP5/45 당신은 어떤 질문을 하는 교육자인가요?(4~5단계) - 문제공감/문제정의 (학습자의 고민) /@@FP5/44 [Dear. 퍼실리테이터] 이 글은 질문을 통해, 몰입과 성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하는 '퍼실리테이터'. 더 나은 퍼실리테이터를 꿈꾸는 교육자 분들을 위해, 교육자로써 학생들에게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 보는 시리즈 글입니다. 당신은 어떤 질문을 하는 교육자인지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nbsp;지난 화(/@song<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CkjOmyByAf1Hk5O9AdxtcFSzMwY.png" width="500" /> Thu, 26 Jan 2023 06:18:19 GMT 테디 /@@FP5/44 당신은 어떤 질문을 하는 교육자인가요?(2~3단계) - 프로젝트 목표/결과물/주제 정하기 (학습자의 고민) /@@FP5/43 [Dear. 퍼실리테이터] 이 글은 질문을 통해, 몰입과 성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하는 '퍼실리테이터'. 더 나은 퍼실리테이터를 꿈꾸는 교육자 분들을 위해, 교육자로써 학생들에게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리즈 글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학습자의 팀 프로젝트를 9단계로 나눴을 때,&nbsp;'1단계 : 첫 만남 + 자기소개'에서 학습자가 겪는 고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TeD%2Fimage%2FD2EjqBufqYtCZd_ousilnBYYOJQ.png" width="500" /> Tue, 04 Oct 2022 09:33:39 GMT 테디 /@@FP5/43 당신은 어떤 질문을 하는 교육자인가요?(1단계) - 학습자의 고민 : 첫 만남 + 자기소개 /@@FP5/42 [Dear. 퍼실리테이터] 질문을 통해, 몰입과 성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하는 '퍼실리테이터'.&nbsp;더 나은 퍼실리테이터를 꿈꾸는 교육자 분들을 위해,&nbsp;교육자로써&nbsp;학생들에게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지시와 평가를 위한 질문이 아니라몰입과 성장을 돕는 질문은 어떤 질문일까요? 먼저 학습자의 팀 프로젝트 경험을 9<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8TeD%2Fimage%2FD2EjqBufqYtCZd_ousilnBYYOJQ.png" width="500" /> Mon, 26 Sep 2022 08:11:11 GMT 테디 /@@FP5/42 '디자인씽킹 피드백'할 때 꼭 해야 되는 3가지 질문 - 스스로 답을 찾도록 질문하는 것 /@@FP5/39 [Dear 퍼실리테이터] 교육&nbsp;현장에서&nbsp;'디자인씽킹&nbsp;피드백'할 때,&nbsp;중요하게&nbsp;생각해야&nbsp;되는&nbsp;것은 무엇일까요? 디자인씽킹&nbsp;관점에서&nbsp;피드백을&nbsp;할 때,&nbsp;꼭&nbsp;해야 되는&nbsp;3가지&nbsp;질문을 남겨봅니다. 피드백은&nbsp;처음부터&nbsp;마지막까지 '질문'으로&nbsp;진행합니다.답을 주려고 하지 말고 스스로 답을 찾도록 질문하는 것이 피드백의 핵심입니다. Q1. (공감)&nbsp;공감하고자&nbsp;하 Wed, 03 Aug 2022 00:48:19 GMT 테디 /@@FP5/39 디자인씽킹과 보고가 함께 만난다면 어떻게 될까요? - 우리는 무엇을 듣고 싶어 할까요? /@@FP5/38 &quot;보고할 때 임원과 상사는 무엇을 듣고 싶어 할까요?&quot; 이 질문 덕분에 몇 가지 생각이 떠올라서 글을 남깁니다. 누군가에게 보고할 일이 있나요? 보고를 준비할 때 디자인씽킹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질문들을 먼저 생각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공감하기&nbsp;단계 1) 보고를 받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어떤 성향의 사람인가요? 이 보고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 Tue, 02 Aug 2022 13:25:07 GMT 테디 /@@FP5/38 포스트잇에 쓰게 할까? VS 그냥 대화하게 할까? - 정답이 없는 현장에서 /@@FP5/37 [Dear 디자인 씽킹을 하도록 돕고 싶은 사람] 현장은 참 다이나믹합니다. 주제가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고 사람들이 누구냐에 따라 다릅니다. 심지어 같은 사람이라도 오늘 처한 상황이나 대화 주제에 따라서도 또 다릅니다. 그렇게 정답이 없는 현장에서 사람들 간의 참여를 촉진하는 노하우는 무엇일까요? 1. 첫째는 관찰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 사실을 Wed, 27 Jul 2022 08:47:49 GMT 테디 /@@FP5/37 디자인 씽킹을 재정의한다면? - &lsquo;나에게 디자인 씽킹이란?&rsquo; /@@FP5/36 [Dear&nbsp;디자인 씽킹을 직접 하고 싶은 사람] 디자인 씽킹의 인기를 많이 실감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는 디자인 씽킹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경험의 인사이트를 잘 표현하고 정리할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디자인 씽킹에 대한 정의가 새롭게 일어나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디자인 씽킹은 무엇인가요? 다시 정의 내려 본다면 Tue, 12 Jul 2022 11:14:51 GMT 테디 /@@FP5/36 퍼실리테이션 미션 2. 커뮤니티 디자인 - 퍼실리테이션 [일:상(UP)] 프로젝트 8일 차 가이드 /@@FP5/35 이 세상 하나밖에 없는 졸업식 미션은 어떠셨어요? 3개의 질문만으로 회의를 만든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시죠? 3개로 줄이면서 어떤 고민들을 하셨고, 어떤 배움이 일어났는지도 궁금합니다. 두 번째 미션 주제를 제시합니다. 아래 미션을 잘 읽고 1시간 30분짜리 워크숍을 설계해 주세요. 두 번째 요청서 : 커뮤니티 비전&nbsp;세우기 두 번째 미션 : &quot;커뮤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FP5%2Fimage%2FGYzWV0aCaO10R1QI4hEfZHD3Bu0.PNG" width="500" /> Tue, 12 Jan 2021 23:14:58 GMT 테디 /@@FP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