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 Son /@@Wr4 Strategy consultant. 기업 결정의 중심에 탐사 보도 취재 방식의 소비자 현실을 제시합니다. ko Fri, 25 Apr 2025 22:20:50 GMT Kakao Brunch Strategy consultant. 기업 결정의 중심에 탐사 보도 취재 방식의 소비자 현실을 제시합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cJyHZj1gojekOglnt91jbgZWS8w.jpg /@@Wr4 100 100 예측은 끝났다, 지금은 전시下의 적응기다 - From the Edge: 체제 전쟁 시대의 감정, 소비 /@@Wr4/261 2025년 4월, 백악관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두 가지 중요한 발표를 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은 자연계가 아니라 인위적 조작의 결과라는 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유전자 조작이 이루어졌으며, 인간 간 감염만을 기반으로 확산된 흔치 않은 전염병이라는 점을 명시했다.&nbsp;(White House, Addressing the Origins of CO<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c-fxtuTZsWe2aHgglPQIzcUFYog.png" width="500" /> Sun, 20 Apr 2025 09:30:39 GMT Ryan Son /@@Wr4/261 질서 전환기의 경계에서, 기업 전략을 다시 묻다 - From the Edge &ndash; Prologue /@@Wr4/260 2025년, 더 이상 &lsquo;예측 불가능성&rsquo;은 새롭지 않다. 오히려 우리가 마주한 현실은, 질서 자체가 흔들리는 시대다. 이건 단지 경기 사이클이나 공급망 문제, 혹은 일시적 지정학적 충돌이 아니다. 우리가 지금 직면한 건 체제 간 전쟁, 그리고 그 전쟁의 한복판에 기업이 놓여 있다. 그럼에도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을 다루는 논의 대부분은 여전히 &lsquo;<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srg1BP3VJSKf1iGWV7NHOpXRCOY.jpg" width="500" /> Mon, 14 Apr 2025 08:10:15 GMT Ryan Son /@@Wr4/260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 /@@Wr4/259 &ldquo;일본이 어떻게 해야 한국이 용서해 줄까요?&rdquo; 클라이언트였던 한 일본인의 질문이 순간 나를 멍하게 만들었던 기억이 있다. 일본 출장 하루 전, 관례처럼 동행하는 이의 SNS 프로필을 살폈다. 거기에는 대동아공영권 지도&mdash;일본 제국주의 시절의 영토 구상이 담긴 이미지가 올려져 있었다. 그 안에는 한국과 중국 일부가 붉은색으로 칠해져 있었고, 나는 다음 날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5EMHgMAn-UiSNpJMHerdI8XUK6I.jpeg" width="500" /> Tue, 08 Apr 2025 06:53:52 GMT Ryan Son /@@Wr4/259 예측은 끝났다, 이제는 적응이다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58 지난주, 미국 전역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정부 구조 축소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약 60만 명이 참여한 것으로 보도된 이번 시위에서 시민들이 외친 것은 단지 정책 반대가 아니라, 물가 상승을 동반한 불확실성에 대한 근본적인 불안이었다. 미국의 대대적인 관세 정책은 경제를 넘어 지정학, 외교, 문화, 기술, 사이버보안 등 다층적 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0EMvAk3yBZkSY7jFYWqo88HIqag.jpeg" width="500" /> Mon, 07 Apr 2025 03:10:29 GMT Ryan Son /@@Wr4/258 동화가 아닌 조절: AI 시대 에이전시의 생존 법칙 /@@Wr4/257 지난주, AI 기반 마케팅 스타트업 Lyra가 350만 달러(약 47억 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Lyra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자동화하는 AI 에이전트로, 기존 마케팅 에이전시들이 담당했던 업무를 AI가 대신 수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CEO 발표에 따르면, Lyra는 이미 2,500명 이상의 인플루언서와 매달 협업하며, Sh<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wcFwF0UZ3MFMxKEj0IPIvy_OXqg.jpeg" width="500" /> Wed, 26 Mar 2025 01:36:40 GMT Ryan Son /@@Wr4/257 상식, HR 분야의 새 기준: 탈글로벌주의 시대의 경영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56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채용 비리가 드러나면서, 대한민국의 공정성과 윤리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감사원의 감사 결과, 선관위는 지난 10여 년간 간부들의 자녀를 비공개 채용하거나 면접 점수를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총 878건의 부정 채용을 저질러왔다고 한다. 내부 직원은 '선관위는 가족회사다'라는 말을 공식 석상에서조차 거리낌 없이 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rJCv0MjJgjLFKW-kOCq11feWL-s.jpeg" width="500" /> Mon, 10 Mar 2025 06:26:12 GMT Ryan Son /@@Wr4/256 대한민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은 어디에 있는가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54 23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5개 기술 분야 기초 역량이 모두 불과 2년 만에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해당 결과는 지난해 9월 4조 3천억이 투자된 삼성 반도체 핵심 공정 기술을 빼돌려 중국에서 반도체 제조업체를 세운 전직 임원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idklDG_R_NupT94Z51wJzMhGUNY.jpeg" width="500" /> Sun, 23 Feb 2025 14:00:48 GMT Ryan Son /@@Wr4/254 한반도 내 어떤 국가에서 살 것인가? /@@Wr4/253 살면서 절대 참으면 안 되는 순간이 있다. 바로 존재와 권리를 무시당할 때다. 지하철을 기다리는 상황, 누군가 당신 앞에 새치기를 한다. 그는 모두가 지켜보는 앞에서 우리 사회의 상식적 룰을 어기며, 그 룰에 의해 보호받아야 할 당신의 권리를 공개적으로 무시했다. 상대가 부정한 행동으로 표현한 당신을 향한 사회적 무시를 받아들이고 침묵할 것인가? 아니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qOuPV7oSmjhh1KHrqXKALwAhHsI.jpeg" width="500" /> Sat, 08 Feb 2025 08:28:31 GMT Ryan Son /@@Wr4/253 DeepSeek, 기술은 정치와 분리될 수 있는가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52 &lsquo;정치 얘기는 좀...&rsquo; DeepSeek의 공개 이후, AI 관련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던 한 단체 채팅방에서 확인된 메시지였다. 보안과 데이터 수집 우려, 중국 공산당(CCP)과의 연관성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자 일부 사용자들은 대화를 회피하려는 듯 이같이 반응했다. 지난주 28일, 트럼프 미 대통령은 DeepSeek의 릴리즈에 대해 &lsquo;미국이 주도하던 A<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DU6L5zxMCvAnP5nZRnl7Edo5mzE.jpeg" width="500" /> Mon, 03 Feb 2025 07:56:54 GMT Ryan Son /@@Wr4/252 상식이 무너진 시대,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Wr4/251 &quot;요즘 애들에게는 지금의 민주주의는 과분해. 다른 결의 민주주의가 맞아.&quot; 약 2주 전, 식당에서 들은 한 남성의 말이다. 그는 기자가 되려면 과거에는 힘들게 시험을 통과해야 했지만, 요즘 애들은 너무 쉽게 입사할 수 있음에도 근성과 의지가 부족하다고 한탄했다. 어쩌면 현존하는 언론사 중 한 곳에서 높은 직책을 맡고 있는 인물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5O_W84ykwBwcL-tEJevN4LnX7oI.jpeg" width="500" /> Wed, 29 Jan 2025 08:25:05 GMT Ryan Son /@@Wr4/251 인간 편향에서 기회로: 메타의 정보 검증 실험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50 2025년 1월, 메타(Meta)는 기존 중앙집중적 콘텐츠 관리 체제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커뮤니티 노트(Community Notes)' 시스템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기존의 콘텐츠 관리 방식은 소수의 전문가와 외부 기관이 정보를 검토하고 규제하는 구조였다. 이는 신뢰성과 권위를 보장했지만, 특정 정치적 편향에 따라 정보가 억압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96IrLaJDjyCB5Jafx7nsQ6rcuLE.jpeg" width="500" /> Mon, 27 Jan 2025 05:40:37 GMT Ryan Son /@@Wr4/250 AI 보편화 기업 전략의 시대, 인간 독창성에 투자하라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49 &lsquo;AI는 그 자체로 비즈니스를 의미한다.&rsquo; 작년 11월, 월스트리트저널의 팟캐스트에서는 아민 바다트와 이를 주제로 대화를 나눈 바 있다. 구글의 머신러닝, 시스템 및 클라우드 AI 부문 부사장인 아민 바다트는 지난 20년간 AI 발전을 가까이에서 지켜보았고, 발전을 이끌기도 했다. 그는 그동안 소비자용 AI 애플리케이션이 주목받고 연일 뉴스의 헤드라인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qBe2F0fgDa5cAlQ6DdaDte7koI.jpeg" width="500" /> Mon, 20 Jan 2025 04:12:20 GMT Ryan Son /@@Wr4/249 틱톡, 카카오톡, 그리고 음모론의 교차로 /@@Wr4/248 미국 정부는 틱톡(TikTok)이 중국 정부의 데이터 수집 및 조작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을 문제 삼아 강력한 규제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 1월, 연방 대법원은 틱톡 금지 법안을 둘러싼 마지막 공방을 들으며, 틱톡의 법적 생존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틱톡 금지 법안의 핵심은 앱의 다운로드, 유지, 업데이트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애플과 구글 같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qu_S2_xFvSMLjLnDh8wrAc4qJIA.jpeg" width="500" /> Mon, 13 Jan 2025 05:20:05 GMT Ryan Son /@@Wr4/248 대한민국 vs 반대한민국? /@@Wr4/247 십 수년 전 언론사를 떠난 이후 난 정치에서 시선을 돌렸다. 국회를 점거해 농성을 벌이는 현장을 담기 위해 국회의사당 바닥에서 철야를 하며 나름 이 판의 복잡하고 어두운 민낯을 충분히 보아 왔다고 느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 시절 통일 관련 헌법 조항에서 &lsquo;자유민주주의&rsquo;의 &lsquo;자유&rsquo;를 빼겠다는 발표를 들었을 때에도 &lsquo;왜?&rsquo;라는 머릿속 질문을 의도적으로 삼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FbDzhn8dKywLO_6vY2iKzRsoLIQ.jpeg" width="500" /> Tue, 07 Jan 2025 07:29:21 GMT Ryan Son /@@Wr4/247 DIve In, 기술 의미를 재발견하는 CES 2025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45 이번주부터 시작하는 CES 2025는 &lsquo;Dive in&rsquo;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lsquo;Dive in&rsquo;이라는 슬로건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제시한 '플로우(Flow)' 개념을 연상시킨다. 플로우는 단순한 몰입을 넘어 행위자가 활동 속에서 깊은 만족감과 의미를 발견하는 최적의 경험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작년의 슬로건 &lsquo;All Together, All On&rsquo;과 비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g2CXgsWi7zdvHGziuBQDRTZD4WI.jpeg" width="500" /> Mon, 06 Jan 2025 04:16:49 GMT Ryan Son /@@Wr4/245 비극과 논란 사이: 정보 소비의 책임을 돌아보다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44 어제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사고는 비극이었다. 많은 이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었고, 그 슬픔은 남겨진 가족들의 몫이 되었다. 하지만, 이 비극이 보도되는 과정에서 사고의 본질과는 동떨어진 논란이 불거져 나왔다. 사고 현장을 단독으로 취재한 MBC의 영상에서 '탄핵:817'이라는 문구가 화면에 노출된 것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사고 이후 긴급회의를 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madZ0_PhuoAmG5oH7WOOLu34v0o.jpeg" width="500" /> Mon, 30 Dec 2024 03:34:18 GMT Ryan Son /@@Wr4/244 미 의회를 멈춘 머스크의 트윗: 디지털 시대 맥락 붕괴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43 지난 19일, 일론 머스크는 X를 통해 미국 의회의 정부 예산안 논의에 개입하며 약 150개의 관련 글 게시를 통해 해당 예산안을 '범죄적'이라 비난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공화당 의원들에게 직접 연락을 취했고, 하원의장은 문자 대화를 통해 예산안의 배경을 설명하며 설득을 시도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이러한 머스크의 공개적 메시지는 공화당<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hq7G7ivWNlFPwWpMURhXS_73rw4.jpeg" width="500" /> Mon, 23 Dec 2024 02:44:17 GMT Ryan Son /@@Wr4/243 AI, '나'의 도구에서 '우리'의 중재자로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41 2024년 한 해 동안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챗GPT를 활용한 흥미로운 사례들이 등장했다.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한 국회의원은 대통령실 전화번호로 의심되는 '02-800-7070'에 대해 챗GPT에 질문해 보았다며 해당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답변을 촉구해 상대를 압박했다. 또 다른 의원은 로또복권 당첨번호 예측 시스템 특허의 타당성을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tRqJG-Ky0xnO5QRyPhcv2K-vfcY.jpeg" width="500" /> Mon, 16 Dec 2024 02:56:18 GMT Ryan Son /@@Wr4/241 하이브의 260억, 과연 존중받았는가? /@@Wr4/240 2024년은 우리가 상식이라 믿어온 사회적 관행들이 근본적으로 시험받는 사건들이 잇따랐던 해였다. 그중 하나는 하이브의 자회사 어도어에 대한 260억 원의 투자와 이후 벌어진 갈등이다. 그중 하이브가 자회사 어도어에 투자한 &lsquo;260억&rsquo;. 이 260억은 관련 사안을 두고 누가 옳고 그른가를 향한 대중의 관심과 평가와는 다른 그동안의 국내 엔터업계 비즈니스 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L_voxhgWA3ZIRKk_-aAzRHxUttY.jpeg" width="500" /> Thu, 12 Dec 2024 08:09:39 GMT Ryan Son /@@Wr4/240 AI의 환각, 결함이 아닌 창조의 시작 - Humanizing Tech Investments /@@Wr4/239 지난 7월 산업자원통상부는 AI 디자인 확산 전략을 발표하며 인공지능과 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전 산업의 디자인 활용률을 현재의 37%에서 60%로 높이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소비재 디자인, 공학 부품 설계, 제조공정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를 활용한 혁신을 기대케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려면 디자인 저작권, 데이터 프라이버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Wr4%2Fimage%2FOKaLpoXDaKUbWfnodmCM6RmOFFY.jpeg" width="500" /> Mon, 09 Dec 2024 03:02:21 GMT Ryan Son /@@Wr4/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