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 /@@cJkn ‘나’를 들여다보기 위한 리뷰를 씁니다. ko Tue, 29 Apr 2025 08:26:04 GMT Kakao Brunch ‘나’를 들여다보기 위한 리뷰를 씁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Jkn%2Fimage%2FFph5WkrSn_jZBCRxfmMzmD_t0yg.jpg /@@cJkn 100 100 카뮈의 <이방인> : 유한한 삶을 살아가는 법 /@@cJkn/17 “다른 사람들도 역시 장차 사형 선고를 받을 거야. 신부인 그 역시 사형을 선고 받을 거야.” 책의 마지막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뫼르소는 다른 사람들도 어느 날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이라고 한다. 그는 한 아랍인을 죽이고, 재판을 거쳐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런데 도대체 왜 다른 사람들도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이라고 하는가? 모든 인간의 삶은 죽음을 Sat, 13 Apr 2024 11:45:13 GMT 방랑자 /@@cJkn/17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괴물> - 틀에서 벗어나 ‘나’와 타인을 수용하기 /@@cJkn/16 ‼️ 스포있음 ‼️ ​​​​​ ​ 영화를 보자마자 바로 썼어야 했는데 너무 늦게 써야겠다고 생각해서 무슨 말부터 적어야할지 모르겠다. 기록해두고 싶은 말들이 휘발되기 전에 지금이라도 적어야겠다는 생각이다. ​ ​ “타인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가?” 최근에 이런 의문이 들었는데, 여기서부터 시작해보고 싶다. 이런 질문을 하게 된 이유는 단순하다 Tue, 09 Apr 2024 06:59:28 GMT 방랑자 /@@cJkn/16 열등감의 미학 (4) : 열등감의 올바른 방향 /@@cJkn/15 열등감을 들여다봄으로써 자신이 추구하는 ‘나’의 이상적인 모습을 인식하면, 열등감이 표출되어야 할 방향은 꽤 명확해진다. 열등감은 시선, 평가, 사회, 인정과 같은 외부 세계에서 벗어나 지금보다 성장하고 싶은 ‘나’를 향해야 한다. 사람은 완벽해질 수 없고, 늘 이상적인 모습으로 살아갈 수는 없지만 더 나은 ‘나’의 모습을 꿈꾼다면 그 모습에 조금씩 가까워 Fri, 04 Aug 2023 14:35:43 GMT 방랑자 /@@cJkn/15 열등감의 미학 (3) : 열등감 들여다보기 /@@cJkn/13 열등 콤플렉스에 빠지지 않으려면 열등감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열등감이 숨겨야 하는 부끄러운 감정이라는 착각에서 빠져나와, 일상에 녹아 있고 ‘나’의 내면에 존재하는 열등감을 제대로 들여다봐야 한다는 의미다. 이 열등감을 제대로 이해한 후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열등감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면 비로소 열등 콤플렉스가 아닌 건강한 열등감을 받아들일 Thu, 29 Jun 2023 12:48:09 GMT 방랑자 /@@cJkn/13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 인간과 삶에 대한 고찰. /@@cJkn/12 앞서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을 논하며 '인간이란 무엇일까?'에 대한 의문을 던졌다. 이런 의문을 제기하며 나는 이전에 읽었던 알렉산드로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라는 책을 떠올렸다. 물론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는 자기혐오의 소재를 다루지는 않았지만, <인간실격>과 마찬가지로 인간을 통찰하기에는 적절한 작품이 아닌가 싶다 Wed, 21 Jun 2023 14:52:41 GMT 방랑자 /@@cJkn/12 열등감의 미학 (2) : 열등 콤플렉스를 유도하는 사회 /@@cJkn/11 어린 시절부터 어른이 된 이후까지 우리는 한평생 일명 ‘줄 세우기’를 하며 살아간다. 성인이 되기 전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도 성적으로 1등부터 꼴등까지 학생들을 비교하여 등수를 매기고, 그 등수에 따라 등급을 알려준다. 비교는 성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외모로도 서로를 평가하며 경쟁한다. 그 외에도 통장의 숫자, 집의 크기, 옷의 가격 등을 Wed, 21 Jun 2023 14:35:16 GMT 방랑자 /@@cJkn/11 열등감의 미학 (1) : 열등감과 열폭, 열등 콤플렉스 /@@cJkn/8 열폭한다. 열폭하지 마! 인터넷 댓글 창에서 흔히 쓰이는 말이다. 온라인상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로 인터넷 문화에 익숙하지 않다면 잘 모르는 표현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열폭은 ‘열등감 폭발’의 준말이다. 열등감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은 흥분하지 않는 상황에도 쉽게 화를 내는 모습을 비판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유명인의 뛰어난 능력을 칭찬하는 기사를 보고 해당 Sat, 17 Jun 2023 14:33:47 GMT 방랑자 /@@cJkn/8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 모순된 나를 마주하기 - 예술가로서의 고뇌에 대한 소설. /@@cJkn/7 대체 나는 왜 이렇게 이상하게 생겨먹어서 모든 사람과 충돌하는 것일까? 왜 선생님들과는 사이가 좋지 않고, 다른 소년들 사이에 있으면 왜 서먹서먹하게만 느껴지는 것일까? 저 선량한 학생들과 건전한 평범성을 갖춘 학생들을 좀 봐라! 그들은 선생님을 우스꽝스럽다고 여기지도 않고, 시를 쓰지도 않으며, 누구나 그렇게 생각하고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것만을 생각 Sat, 17 Jun 2023 14:10:28 GMT 방랑자 /@@cJkn/7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 : 자기혐오를 고백하다 -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cJkn/5 자기혐오는 불편하고 찜찜한 소재다.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으면서도 마주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 한 번이라도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나는 왜 이렇지?'라고 한탄하고, 자신을 비난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경쟁사회를 살아가면서 그렇게 하지 않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인간 실격>의 주인공인 오바 요조와 작가 다자이 오사무의 삶은 닮아있다. Thu, 15 Jun 2023 13:47:25 GMT 방랑자 /@@cJkn/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