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cVlg 부동산 시장과 금융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은 업게 종사자입니다. ko Tue, 13 May 2025 19:59:27 GMT Kakao Brunch 부동산 시장과 금융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은 업게 종사자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FLtSRL7IrgEaFprXgcmPXQUvCAM.jpeg /@@cVlg 100 100 [업계] 부동산신탁, 자본조달과 손실관리가 급선무 /@@cVlg/58 2024년 국내 14개 부동산신탁 전업사는 10여년 만에 처음으로&nbsp;당기순손실을 기록하였다. 14개사의 '24년 합산 영업수익(1.64조원)은 '23년과 유사했다. 하지만 주요 수익원이자 고수익 사업인 토지신탁 수수료는 0.64조원에 그쳐 '23년(0.86조원)보다 25%나 줄었다. 늘어난 신탁계정대의 부수효과로 이자수익이 0.12조원 증가하고 신탁 이외의 Wed, 30 Apr 2025 06:01:11 GMT 우분투 /@@cVlg/58 [시장] 기업형 민간임대 시장의 관건, 거래규제 완화 /@@cVlg/61 국내 민간임대주택은 등록임대와 비등록임대로 구분할 수 있다. 비등록임대는 개인이 비공식적으로 전월세를 놓는 경우이고, 등록임대는 지자체/세무소에 임대주택/임대사업자로 신고하여 임대료 증액 규제를 받는 대신 세제혜택을 받는 임대주택이다. '22년 기준 658만호의 민간임대주택 중 등록임대는 144만 호에 불과한데, 정부는 등록임대 시장을 더욱 키우려 하고 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FXd1mccW5GPWVqJo1y9z4O3Saps.jpg" width="500" /> Tue, 15 Apr 2025 03:12:21 GMT 우분투 /@@cVlg/61 [시장] 코리빙 시장, 공급이 성장 병목 /@@cVlg/60 코리빙은 1~2인 가구를 겨냥한 소형/공용 주거시설이다. 전용 주거면적 외에 공용 생활시설이 있고, 운영자가 있다는 점에서 고시원/기숙사와 비슷하다. 좀 거칠게 표현하면, 전문기업과 정식 임대차계약을 맺고 입주하는 시설 좋은 고시원이라 볼 수 있다. 1~2인 가구가 늘고, 전문 운영사가 시장에 진출하면서 최근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SK D&amp;D의 에피소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sZEUX64p6x2xUg6gS5uk2TG1N2U.jpg" width="400" /> Thu, 10 Apr 2025 13:40:28 GMT 우분투 /@@cVlg/60 [시장] 가계부채와 지분형 모기지 /@@cVlg/59 지난 4/3일 한국은행과 한국금융연구원은 &lsquo;부동산 신용집중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rsquo;이라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금융당국(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후원하는데다 발표자로도 참석하였고, 행사 말미에는 국내 경제 수장들인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 이른바 F3의 특별 대담까지 있었다. 정부에서 상당히 공을 들인 행사였던 셈인데, 이 날의 스포트라 Tue, 08 Apr 2025 23:41:02 GMT 우분투 /@@cVlg/59 [업계] 시장 전환기, 효과적 대응전략이 필요 /@@cVlg/53 부실정리와 시장축소 속에서도 부동산 PF 시장의 자금경색은 다소 완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최근 통계에 의하면, 토지담보대출을 포함한 국내&nbsp;부동산 PF 잔액은 '23년말&nbsp;231조원에서 '24년말&nbsp;202조원으로 30조원 가깝게 줄었지만&nbsp;PF 신규취급액은 '23년 4분기 12.8조원에서 '24년 1분기 9조원으로 줄었다가 2~4분기에는 연속으로 15조원을 넘 Thu, 27 Mar 2025 23:41:14 GMT 우분투 /@@cVlg/53 [업계] 부동산 담보대출 영업기회 확대 /@@cVlg/49 PF 시장 전체적으로는 부진하지만, 서울권 대형 개발사업과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25년 PF 시장에서는 대규모 자금조달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대형 개발사업은 10조원 내외, 데이터센터는 3조원 내외에 달하는 PF 자금모집이 추진될 것으로 보이는데, '23.4분기부터 '24.3분기까지 신규로 취급된 PF 대출이 53조원 가량이었음을 감안하면, 연간 신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j2tZhiCLY7_ro8vNgXV4oRhPiCw.jpg" width="500" /> Tue, 14 Jan 2025 11:54:03 GMT 우분투 /@@cVlg/49 [업계] 기사로 본 2024년 부동산 금융시장의 흐름 /@@cVlg/50 [1월]&nbsp;2023년말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부동산 금융시장에 한파가 불어왔다. 태영건설 구조조정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웠고, 태영건설 외에 다른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 가능성도 언급되면서, 개발사업 PF 시장이 전체적으로 냉각되었다. 정부는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과 건설업/PF업계의 유동성을 지원하면서도,&nbsp;PF&nbsp;부실사업장은 빠르게 정 Sun, 29 Dec 2024 11:33:33 GMT 우분투 /@@cVlg/50 [업계] PF시장, 서울권 Mega Deal로 집중 /@@cVlg/48 부동산 PF은 전반적으로 부진하지만, 서울시 대규모 개발사업에는 자금이 몰리고 있다. 현대건설/인창개발은 서울 CJ가양동 부지의 본PF를 모집중이다. 12월초 착공을 추진하면서 KB증권 주관으로 2.8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자금을 모으고 있다. 하나증권/KB증권/IBK증권도 서소문 11/12지구 오피스 개발사업에 1.6조원의 PF를 모집하였고, (주)한화가 Thu, 12 Dec 2024 02:18:21 GMT 우분투 /@@cVlg/48 [업계] PF 구조개선방안의 영향 /@@cVlg/47 지난 11/14일, 정부에서 PF 구조개선방안을 발표했다. PF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주택공급을 활성화한다는 것이 제도개선의 취지이다. 현물출자 인센티브, 임대운영사업 지원, PF 취급규제 개선, 사업성 평가 강화, 책임준공 합리화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고, 항목별로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세부 시행방안을 결정해 나갈 예정이다. 구조개선방안의 세부안이 어떻<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obmyAiazihqQJvRooy2Zx60ugts.png" width="500" /> Mon, 18 Nov 2024 11:46:46 GMT 우분투 /@@cVlg/47 [시장]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의 교란 요인 /@@cVlg/46 입주물량은 주택가격을 가늠하고 투자타이밍을 결정할 때 많이 참조하는 지표다. 입주물량에 따라 전세가격이 영향을 받고, 전세가격은 다시 구매자의 심리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주택 개발사업이 부진하면서 앞으로 공급(입주)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고, 입주물량이 향후 주택시장을 전망할 때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입주물량은 국토교통부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F_-zjdhBx2O01uqa6RNj20ZfqFw.jpg" width="500" /> Tue, 12 Nov 2024 12:32:02 GMT 우분투 /@@cVlg/46 [시장] 숨겨진 가격, 재건축 분담금/부담금 /@@cVlg/45 강동구에서 입주를 앞둔 두 개의 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과 둔촌더샵포레의 국평 매물호가는 거의 10억원 가까이 차이난다. 포레온의 호가는 22억원 내외지만, 포레의 호가는 11.5억원~14억원 사이다. 물론 포레온이 1만 세대를 넘는 대규모 단지이고 지역의 랜드마크이기는 하지만, 10억에 달하는 가격 차이는 선뜻 납득하기 힘들다. 인근 둔촌푸르지오의 국평 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SBOFv3TITSWB8tm8JjP_XMy4E88.jpg" width="500" /> Tue, 05 Nov 2024 01:58:31 GMT 우분투 /@@cVlg/45 [시장] '25년 저렴 전세의 기회, 둔촌/이문/광명 /@@cVlg/39 '24년 주택시장의 화두는 전세가격 상승이다. 매매가격은 서울 일부를 제외하면 답보하거나 하락중이지만, 전세가격은 전국 대부분에서 올랐다. 실거래가 기준 서울/수도권/지방 아파트 전세가격은 '24.7월까지 전년말대비 4.6%/3.9%/0.0% 올랐다. '23년 연간상승률이 -0.8%/0.2%/-2.5%%였으니, 반등에 성공한 셈이다. 전국 단위로는 '22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aujXzygZ9QBfzFlFSBCZZ5I_jhg.jpg" width="500" /> Sun, 03 Nov 2024 02:48:38 GMT 우분투 /@@cVlg/39 [시장] 포스트 팬데믹, 골프장 가격의 조정 /@@cVlg/4 골프 인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nbsp;급증했다.&nbsp;2030 남성과&nbsp;여성으로 고객층이 넓어지고 신규 골퍼가 꾸준히 유입되던 차에, 팬데믹으로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이용객 증가세에 불이 붙은 것이다. 2019년 4천만명을 약간 상회했던&nbsp;2021년과 2022년, 연속으로 5천만명을 돌파했다. 2023년에는 이용객이 4,772만명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2020<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pGymTr_e4qHawsK1AlS7pxWoI1M.jpg" width="500" /> Tue, 29 Oct 2024 01:34:33 GMT 우분투 /@@cVlg/4 [시장]데이터센터의 병목, Equity 확보와 운영수익 /@@cVlg/44 데이터센터(DC)는 전세계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상업용부동산시장의 새로운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다. 데이터산업의 성장세는 가파른 반면 기반이 되는&nbsp;데이터 인프라 시설은&nbsp;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nbsp;국내에서는 통신사, 시스템 솔루션, 금융사 등이 자사용으로 데이터센터를 주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최근 네이버, 카카오, 아마존(AWS), MS, 구글 등 국내외 대형 I<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q6doGRIKA8ko_yjnRSYu-EHnNJU.jpg" width="500" /> Mon, 28 Oct 2024 06:53:03 GMT 우분투 /@@cVlg/44 [업계] 부동산 토큰증권(ST) 수익구조/성장방향(3) /@@cVlg/43 투자자의 확보는 기초자산의 다양성만큼이나 토큰증권 시장의 성장성을 좌우한다. 아무리 상품이 좋아도 사 주는 사람이 없다면 매출이 늘어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특히, 국내에서 토큰증권이&nbsp;금융시장의 외곽에 있었던 자산 위주로 상품화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새로운 투자자가 유입되지 않는다면 금융시장이 커지기보다 기존 금융시장을 잠식하는 제로섬 형태가 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SzoLE8GgaGkc-xEL4Xsv4ES0zz0.jpg" width="500" /> Thu, 24 Oct 2024 05:53:46 GMT 우분투 /@@cVlg/43 [업계] 부동산 토큰증권(ST) 수익구조/성장방향(2) /@@cVlg/42 국내 조각투자는 1) 신탁수익증권 또는 2) 투자계약증권을 기초로&nbsp;디지털 증서(카사의 'DABS', 루센트블록의 'SOU', 펀블의 'DAS' 등)를 발행한다. 신탁이 가능한 자산인 부동산 등은 관리처분신탁의 수익증권, 실무적으로 신탁이 어려운 미술품, 식품 등은 투자계약증권을 발행한다. 부동산을 신탁하는 이유는 '도산절연', 즉 토큰증권의 발행사가 부도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ZLQel_PoJmLb2eUceryhPfo-LSg.jpg" width="500" /> Tue, 22 Oct 2024 07:49:35 GMT 우분투 /@@cVlg/42 [업계] 부동산 토큰증권(ST) 수익구조/성장방향(1) /@@cVlg/26 금융위원회는 토큰 증권(Security Token)을, &quot;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활용해&nbsp;자본시장법상 증권을&nbsp;디지털화(Digitalization)한 것&quot;으로 정의하고 있다. 부동산, 미술품 등 실물자산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발행한 증권(토큰)을 의미하는데, 도입을 위한 법적절차가 완료되고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Vlg%2Fimage%2Frzt__-Iulo6ImFZfBw21ChBFIuw.jpg" width="500" /> Thu, 17 Oct 2024 00:19:11 GMT 우분투 /@@cVlg/26 [업계] 책임준공 약정은 어떻게 변화할까 /@@cVlg/41 책임준공 약정은 부동산 PF 계약에서 매우 중요하다. 시행사는 물론, 대출을 취급하는 금융기관(대주) 입장에서 가장 큰 위험은 공사가 지연되거나, 최악의 경우 무산되어 담보목적물인 건물이 제대로 완성되지 않는 것이다. PF 대출은 통상 토지비와 사업비(공사비와 기타 사업비)를 포함한 금액으로 이루어지므로, 건물이 완성되지 않으면 대주가 대출채권을 온전히 회 Tue, 15 Oct 2024 07:32:53 GMT 우분투 /@@cVlg/41 [시장] 해외부동산 투자 재개는 언제? /@@cVlg/40 국내 기관투자자가 해외 상업용부동산(commercial real estate, 오피스/물류센터/공장/데이터센터/상가/공동주택/호텔 등)에 투자한&nbsp;금액은 120조원 이상이다. 은행, 보험, 증권, 저축은행, 캐피탈 등 금융권에서 투자하는 금액이 57조원이고, 국민연금('23년말 42조원)과 주요 7개 공제회를 합한 투자액이 60조원에 달한다. 기타 연기금/공 Mon, 14 Oct 2024 06:23:35 GMT 우분투 /@@cVlg/40 [시장] 국내 부동산 금융시장의 규모 /@@cVlg/38 부동산 금융은 부동산의 개발, 매입, 운영, 임대차, 처분 등을 위한 자금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부동산의 개발 과정에 필요한 자금과 금융서비스(신탁/자산관리 등)를 공급하는 것은 개발금융이고, 완성된 부동산의 매입, 운영, 임대차, 매각/처분 등을 다루는 것은 실물금융에 속한다. 실물금융은 다시 대상이 되는 부동산의 유형에 따라 주택금융과 상업용부동산으로 Tue, 08 Oct 2024 04:36:43 GMT 우분투 /@@cVlg/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