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찬 /@@cyuy 음식과 식당에 관한 실타래를 풀어내는 이야기꾼, 권오찬입니다. 알려주고 싶은 음식과 식당 견문록 시리즈로 &lt;서울 노포 식당&gt;과 &lt;지방의 향토음식점&gt;을 테마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ko Tue, 29 Apr 2025 21:27:13 GMT Kakao Brunch 음식과 식당에 관한 실타래를 풀어내는 이야기꾼, 권오찬입니다. 알려주고 싶은 음식과 식당 견문록 시리즈로 &lt;서울 노포 식당&gt;과 &lt;지방의 향토음식점&gt;을 테마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pdsxRuU8U6DRRDHGk6pGYm4Z2W8.jpg /@@cyuy 100 100 세상에 단 하나뿐인 이북식 만두국밥집 - 경기도 파주시 순못길 114-7 「이북식 손만두 국밥 」 /@@cyuy/94 파주시 다율동의 한적한 골목에 자리 잡은 「이북식 손만두 국밥」은 단순한 식당을 넘어 이북 지역의 탕반 문화를 오롯이 경험할 수 있는 식당이다. 이곳은 본래 인천 부평 청천동에서 오랜 세월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았었으나, 재개발의 물결을 피해 파주로 둥지를 옮긴 노포이다. 파주는 속초의 아바이마을이나 강화의 교동도처럼 실향민들이 집단적으로 모여 정착<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WcNe8fx6n1Ca3z5Ijd4yvgoHN1s.png" width="500" /> Wed, 23 Apr 2025 08:26:27 GMT 권오찬 /@@cyuy/94 서울에 없던 음식, 이북식 삼계백반을 경험하다 - 서울 종로구 율곡로1길 7 「무구옥」 /@@cyuy/93 광화문에서 안국 방향으로 가다 보면 경복궁 동쪽 담장의 망루 역할을 했던 '동십자각'이 외딴섬처럼 자리하고 있다. 그리하여 경복궁 사거리에 서면 조선의 유물인 경복궁의 망루와 대한민국의 발전을 상징하는 번잡한 도시 풍경이 공존하는 '시간의 통로'를 마주한 기분이 든다. 삼청동 방향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대한항공 땅콩 사태 회항으로 우여곡절 시민의 품으로 돌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SC-pWInCV0FJ0B0HgJc6w7Lb-uc.JPG" width="500" /> Mon, 07 Apr 2025 08:04:35 GMT 권오찬 /@@cyuy/93 속초식 숯불 생선구이를 아십니까? - 강원도 속초시 중앙부두길 71 「88 생선구이」 /@@cyuy/92 설악산의 울산바위를 병풍 삼아 영랑호를 품고 있으며, 동해바다와 맞닿아 있는 도시인 속초는 이러한 자연환경적 특성과 실향민 문화라는 역사적 특징에 의해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달한 곳이다. 일단 동해안의 풍부하고 다양한 해산물이 집산되는 곳이고, 피난민들이 와서 정착시킨 속초만의 독특한 실향민 음식문화가 결합되어 있으며, 설악산이 내준 다채로운 산나물과 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XM9qFaKENx_oAh2RxR8l2P7qqBc.png" width="500" /> Tue, 01 Apr 2025 08:00:01 GMT 권오찬 /@@cyuy/92 Since 1971, 간짜장에 담긴 노사부의 인생 -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022-1 「원성식당」 /@@cyuy/91 강릉의 한갓진 동네 자리한 이 식당의 간짜장이 대단하다는 것을 진즉 알고 있긴 했지만 정작 내 눈을 사로잡은 건 방 한편에 걸린 서예가의 글귀였더랬다. 홀 안쪽의 방에는 「천직으로 알고 쉼 없이 달려온 길, 늘 달리고자 한다」라는 글귀가 적힌 액자가 걸려 있는데 이는 1971년 개업하여 55년째 불기운에 맞서 웤을 다룬 노사부가 지난 세월을 돌아보며 내뱉<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6QvhWGAzy6V88mzzWby_5ujDvXg.png" width="500" /> Thu, 26 Dec 2024 08:00:32 GMT 권오찬 /@@cyuy/91 Since 1910, 대한제국 시절 개업한 안성 영흥루 -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412번길 26 「영흥루」 /@@cyuy/90 우리네 관념상 '백 년'은 1년이 백번 모인 시간의 축적 개념이라기보다는 &lt;아주 오랜 기간&gt;을 의미한다. 백년가약과 백년해로라는 단어의 백 년에는 '부부의 평생'이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처럼.. 이 땅에 외식산업이 본격적으로 꽃 피우기 시작한 시기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이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본격적으로 대한민국이 발전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kxPwGusNphAs7Fj26tYi-qX-A24.png" width="500" /> Fri, 25 Oct 2024 09:01:16 GMT 권오찬 /@@cyuy/90 흑백요리사, 이모카세의 인생 요리 - 서울시 동대문구 고산자로36길 3 청년몰 신관 지하 1층 「안동집」 /@@cyuy/89 매주 화요일이 기다려진다. 9월 셋째 주 화요일, Netflix에서 공개하여 12회차로 구성된 《흑백요리사 : 요리계급전쟁》에 관한 이야기이다. 지난달 17일 흑백요리사가 첫 공개되기 직전만 해도 「한식대첩」이나 「마스터셰프코리아」처럼 기존의 요리 경연과 크게 다르지 않은 요리 서바이벌 예능 정도로 예상됐던 흑백요리사는 회차가 진행될수록 인물별 서사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YIA9QSzhxsFILeYr76O9rAC_fOI.jpg" width="500" /> Sun, 06 Oct 2024 09:35:29 GMT 권오찬 /@@cyuy/89 Since 1996, 세계 최초! 치킨과 막국수 조합 -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42 /@@cyuy/88 한반도의 중앙에 자리한 죄로 삼국시대 삼국의 각축장이 되어 시대에 따라 고구려의 땅이 되기도 했다가, 신라와 백제에 속하기도 했던 곳이 바로 충주이다. 그리하여 충주에는 고구려 장수왕 시절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것을 기념한 「중원 고구려비」, 백제의 우수한 철기 문화의 정점을 보여주는 백제의 「제철 유적」, 한반도 3대 악성(樂聖)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Oyzf-D52x8EBhiNHTbUOHOqvzb8.png" width="500" /> Mon, 30 Sep 2024 09:00:05 GMT 권오찬 /@@cyuy/88 인사동의 못 생긴 소나무, 심우방 -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12길 1, 「심우방」 /@@cyuy/87 우리 속담에 '못 생긴 소나무가 선산을 지킨다'라는 말이 있다. 곧게 자란 나무는 집의 서까래가 되기 위해 베여 나가는데 구부러진 나무는 쓰임새가 없어 거목이 될 때까지 끝까지 살아남아 선산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대부분의 노포가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식당일이란 것이 본디 「남의 밥」을 차려주는 일인 데다 새벽에 일어나 장을 보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oWCzWcNh8aR3M_LMxqO5LApmZwE.png" width="500" /> Wed, 11 Sep 2024 02:56:59 GMT 권오찬 /@@cyuy/87 평양냉면 역사의 산 증인, 우래옥 - 서울시 중구 창경궁로 62-29, 「우래옥」 /@@cyuy/86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 상표권을 보유했으며, 최고로 오래된 평양냉면집이자 최고로 인기 있는 식당 중 하나이고, 사시사철 오픈런을 해도 대기를 해야 하는 식당이 있다. 바로 을지로에 위치한 「우래옥」이다. 「우래옥」의 전신은 평양에서 「명월관」이란 식당을 운영하던 장원일, 나 정일 부부가 광복 직후 남하하여 1946년경 서울에 문을 연 「서북관」이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WtKb67le0NbCx8HphGOqDWWHj8E.jpg" width="500" /> Mon, 26 Aug 2024 08:20:46 GMT 권오찬 /@@cyuy/86 봉화의 단종과 이몽룡 그리고 송이버섯 이야기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다덕로 526-4 「용두식당」 /@@cyuy/85 경북 내륙 깊숙이 자리 잡은 봉화는 백두대간을 끼고 있어 수려한 산세를 조망하여 한유로운 여행을 즐기기 좋은 고장이지만, 요란스러운 볼거리는 실상 많지 않은 곳이다. 화려한 볼거리는 부족할지언정 조상 대대로 한 자리에 살아온 차분한 시골 마을 일상이나 깊은 산속 역사가 장구한 사찰이 뿜어내는 담담한 풍경은 봉화가 갖고 있는 가장 큰 매력이다. 또한 신라 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koMwo0KAvRqrzHxhnt9rdPm96aI.png" width="500" /> Thu, 22 Aug 2024 22:12:00 GMT 권오찬 /@@cyuy/85 태백 광부들의 음식, 물닭갈비 이야기 - 강원도 태백시 시장남1길 7-1 「김서방네 닭갈비」 /@@cyuy/84 그 어느 때보다도 불볕 폭염으로 한창인 올해, 유일하게 열대야로부터 자유로운 도시가 바로 강원도 태백시이다. 동고서저(東高西低)의 지형인 한반도에서 가장 동쪽 높은 곳에 자리한 태백시는 '남쪽의 백두산'이라 불리는 태백산과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 낙동강의 발원지 황지연못을 품은 땅이다. 4대강 가운데 두 강이 한 고장에서 발원한다는 사실이 놀랍다. 태백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mn59lvyrWyNKAOGIunf15OTniZk.png" width="500" /> Tue, 20 Aug 2024 08:00:00 GMT 권오찬 /@@cyuy/84 Since 1957, 헐리우드를 꿈꾸는 문경의 화상노포 - 경상북도 문경시 신기3길 11-2 「동성반점」 /@@cyuy/82 문경은 석탄산업이 호황을 누리던 1970~1980년대 경북선이 점촌역을 지나고, 탄전지대에 문경선과 가은선의 두 개 철도 노선이 있을 정도로 석탄과 철도의 황금시대를 누린 곳이다. 작은 문경 지역에 8개의 기차역이 있을 정도로 철도 교통이 발달했고, 사람보다 무연탄이나 탄광 자재 등 화물열차가 더 많이 다녔더랬다.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7rd1j9t28xeurXY2r9warSsgORo.png" width="500" /> Fri, 09 Aug 2024 08:26:51 GMT 권오찬 /@@cyuy/82 영천을 육회의 도시로 만든 편대장 영화식당 - 경상북도 영천시 강변로 50-15 「편대장 영화식당」 /@@cyuy/83 경북 영천은 백두대간의 보현산과 낙동정맥의 굳센 정기를 이어받은 곳으로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더불어 유불교의 각종 문화유산이 산재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매력적인 도시이다. 영천에는 국내 광학 천문관측의 메카인 보현산 천문대가 자리 잡고 있고, 죽음으로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킨 포은 정몽주 선생을 기리는 임고서원이 소재하여 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XWSooWDY8SrNd5F3Sx3BHRTf1Nk.png" width="500" /> Tue, 23 Jul 2024 08:03:37 GMT 권오찬 /@@cyuy/83 지리산을 오롯이 담아낸 약초 가득 비빔밥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로3번길 「지리산 산나물」 /@@cyuy/81 지리산은 전남의 구례와 전북의 남원, 경남의 하동과 함양, 산청에 이를 정도로 가장 '넓은' 산이자 부속도서를 제외한 대한민국 본토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면적이 넓은 만큼 천왕봉과 노고단 등 1천 m 이상의 높이를 자랑하는 봉우리만 해도 20여 개가 넘는다. 봉우리는 높고 골짜기는 깊은 데다 토질이 바위보다는 흙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종 약초가 자생하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I7bs-B3bNDRC1zogrtAhnFZa3ZU.JPG" width="500" /> Sun, 30 Jun 2024 14:46:50 GMT 권오찬 /@@cyuy/81 Since 1990, 짜장면에 대한 우리의 편견 - 대전광역시 서구 사마6길 35 「홍운장」 /@@cyuy/80 대중들이 부담 없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이나, 가장 평가절하된 음식이 바로 짜장면이다. 우리네 전통 한식은 김치와 된장, 간장 등 시간이 켜켜이 쌓아 올린 발효 소스를 사용해 조화로운 맛의 균형을 이뤄낸 고유의 식문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고기와 나물 반찬의 균형 잡힌 식단이 그러하고, 뜨거운 국물 요리와 차가운 무침 요리의 궁합이 그러하다. 그리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7N3JMlgehqHq71KwnDBbIZ1pWfc.jpg" width="500" /> Tue, 18 Jun 2024 01:27:30 GMT 권오찬 /@@cyuy/80 우당탕탕 책을 출간하다 - 「한국인의 오래된 밥집을 찾아서 ; 하움출판사」 /@@cyuy/79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 국민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1년에 단 한권의 책도 읽지 않은 성인이 10명 가운데 무려 6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여기에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제외하고 활자 종이책으로만 한정한다면 그 수는 7명으로 올라갑니다. 과거 책을 통해 전해졌던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식과 경험들이 스마트폰의 등장과 유투브와 인스타그램 등 휘황찬란한 영상<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D7wXeD9DmlLShesDck1xEATDbsk.jpg" width="500" /> Wed, 05 Jun 2024 05:38:37 GMT 권오찬 /@@cyuy/79 Since 1968, 무가 들어간 옛날짜장을 아시나요?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주로 256 「죽산분식」 /@@cyuy/78 최근 아주 재미있게 읽고 있는 책이 바로 노중훈 작가의 「할매, 밥 됩니까 ; 2020년 중앙북스」이다. 노중훈 작가가 사랑한 골목 뒤꼍 할머니 식당에 관한 이야기인데 맛집 소개서라기보다는 정감 넘치는 방문을 기록한 에세이라고 봄이 마땅하다. 그는 &quot;할머니 식당은 제게 우주&quot;라는 표현을 책에서 사용했는데 내게 있어 노사부가 주방을 지키는 노포 중식당 역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onSZYEEng-WFgXVtYzK3T_8iqPw.JPG" width="500" /> Sun, 26 May 2024 11:52:07 GMT 권오찬 /@@cyuy/78 Since 1979, 물짜장을 아십니까? -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11길 60 「신동양」 /@@cyuy/77 음식은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나 역시 여행을 다니는 목적 중 하나가 지역색이 담긴 음식을 발견하고 경험하는 것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한식 뿐 아니라 이 땅에 자리한 중식 역시 사자표 춘장으로 획일화된 짜장면을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마다 독특한 낙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로는 여행 기간 내 한 끼니는 꼭 '중식 노포'를 찾아가곤 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c5ScIOJsN3xNDIe4dFgEo62U2zQ.JPG" width="500" /> Mon, 20 May 2024 06:20:04 GMT 권오찬 /@@cyuy/77 Since 1948, 시간을 기록하는 3대 대물림 노포 - 서울 동대문구 휘경로 「영화장」 /@@cyuy/76 2015년 방영된 삼대천왕을 필두로 냉장고를 부탁해, 맛있는 녀석들, 한식대첩, 전현무계획 등 음식과 요리, 식당이라는 화두가 예능 프로그램의 주된 키워드로 등극하며 덩달아 '밥장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 역시 크게 바뀌었다. 그러나 세상에서 가장 고된 일 중 하나가 바로 밥장사이다. 새벽부터 주방에 나가 식재료를 다듬고, 음식 만들고 설거지 하다가 음식<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6VsnrtYbf30tY7hkpLdRUfy5vlU.png" width="500" /> Sun, 12 May 2024 22:14:23 GMT 권오찬 /@@cyuy/76 Since 2000, 달인 여장부가 끓여낸 폐가짬뽕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성송반점」 /@@cyuy/75 고창군은 전라북도 서남부에 자리 잡은 인구 6만의 작은 지방 도시에 불과하나, 이 땅이 품고 있는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져 만들어낸 독특한 매력은 몇 마디 문장으로 설명이 불가능할 정도로 대단한 곳이다. 역사적으로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청동기 시대 고인돌이 자리한 곳이고, 민중이 주체가 되어 사회개혁 의지를 처음으로 드러낸 전국구 혁명이자 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cyuy%2Fimage%2FjR7tJesTWZ0AdmYZgqOP_M7yuH8.jpg" width="500" /> Thu, 09 May 2024 11:25:00 GMT 권오찬 /@@cyuy/75